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메를로-퐁티의 현상학(2): 언어적 몸짓에서 본 댄스스포츠 = Merleau Ponty’s Phenomenology(2): Dance Sport in Verbal Gest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621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 1908-1961)의 ‘언어’ 현상학에 초점을 맞추어 ‘언어의 의미와 신체적 표현’, ‘지각되는 신체와 몸짓 언어’로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가 논하는 언어의 신체 표현 능력에 대한 깊이를 ‘언어적 몸짓에서 본 댄스스포츠’에 접목하여, ‘남녀커플 주체의 신체 도식’과 ‘남녀커플의 몸짓 언어’에서 드러나는 고유성을 재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곧 남녀커플의 상호작용은 몸짓 언어 체계의 매개를 통한 이미 약속된 도법에 따르며, 특히 그 경로는 메를로-퐁티 언어의 논리적 확장이다. 결론적으로 언어적 몸짓은 댄스스포츠를 가능하게 하는 스포츠적·예술적, 감정적 측면을 모두 아우른다. 남녀커플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각자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신체움직임에 균형을 맞추고, 춤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결국 댄스스포츠에서 몸짓은 10종목별로 나타나는 고유한 남녀커플의 신체움직임 그 이상을 넘어, 언어적 몸짓으로 의미는 전달되며, 감정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예술작품으로서 댄스스포츠는 언어적 몸짓으로부터 해명해 보려는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메를로-퐁티 언어의 논리적 확장인 의미론적 지향성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 1908-1961)의 ‘언어’ 현상학에 초점을 맞추어 ‘언어의 의미와 신체적 표현’, ‘지각되는 신체와 몸짓 언어’로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그리...

      이 연구는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 1908-1961)의 ‘언어’ 현상학에 초점을 맞추어 ‘언어의 의미와 신체적 표현’, ‘지각되는 신체와 몸짓 언어’로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가 논하는 언어의 신체 표현 능력에 대한 깊이를 ‘언어적 몸짓에서 본 댄스스포츠’에 접목하여, ‘남녀커플 주체의 신체 도식’과 ‘남녀커플의 몸짓 언어’에서 드러나는 고유성을 재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곧 남녀커플의 상호작용은 몸짓 언어 체계의 매개를 통한 이미 약속된 도법에 따르며, 특히 그 경로는 메를로-퐁티 언어의 논리적 확장이다. 결론적으로 언어적 몸짓은 댄스스포츠를 가능하게 하는 스포츠적·예술적, 감정적 측면을 모두 아우른다. 남녀커플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각자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신체움직임에 균형을 맞추고, 춤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결국 댄스스포츠에서 몸짓은 10종목별로 나타나는 고유한 남녀커플의 신체움직임 그 이상을 넘어, 언어적 몸짓으로 의미는 전달되며, 감정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예술작품으로서 댄스스포츠는 언어적 몸짓으로부터 해명해 보려는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메를로-퐁티 언어의 논리적 확장인 의미론적 지향성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linguistic phenomenology of Maurice Merleau-Ponty's (1908-1961), specifically on the meaning of language and its bodily expression, the perceived body and gestural language. By applying the depth of his discussion on the bodily expressive capacity of language to dance sport as seen in linguistic gestures, it is possible to rediscover the uniqueness of the body schemata of male and female couple subjects and their gestural language of male and female couples. This means that the interaction of male-female couples follows a pre-determined path through the medium of a gestural language system, and in particular, that path is a logical extension of the Merleau-Ponty language. In conclusion, verbal gestures encompass the sporting, artistic, and emotional aspects that make dance sport possible. They play a key role in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men and women to fulfill their roles, balance their physical movements, and express the emotions of the dance. Ultimately, we can see that gestures in dance sport are much more than just the unique male-female couples' movements in each of the 10 sports; they are an important means of conveying meaning and expressing emotions through non-verbal gestures. Finally, as a work of art, dance sport is a new approach to elucidating from linguistic gestures, a semiotic orientation that is a logical extension of Merleau-Ponty's language.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the linguistic phenomenology of Maurice Merleau-Ponty's (1908-1961), specifically on the meaning of language and its bodily expression, the perceived body and gestural language. By applying the depth of his discussion on the bodi...

      This study focuses on the linguistic phenomenology of Maurice Merleau-Ponty's (1908-1961), specifically on the meaning of language and its bodily expression, the perceived body and gestural language. By applying the depth of his discussion on the bodily expressive capacity of language to dance sport as seen in linguistic gestures, it is possible to rediscover the uniqueness of the body schemata of male and female couple subjects and their gestural language of male and female couples. This means that the interaction of male-female couples follows a pre-determined path through the medium of a gestural language system, and in particular, that path is a logical extension of the Merleau-Ponty language. In conclusion, verbal gestures encompass the sporting, artistic, and emotional aspects that make dance sport possible. They play a key role in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men and women to fulfill their roles, balance their physical movements, and express the emotions of the dance. Ultimately, we can see that gestures in dance sport are much more than just the unique male-female couples' movements in each of the 10 sports; they are an important means of conveying meaning and expressing emotions through non-verbal gestures. Finally, as a work of art, dance sport is a new approach to elucidating from linguistic gestures, a semiotic orientation that is a logical extension of Merleau-Ponty's languag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