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양영희감독 영화에 나타난 평양의 공간성 = <디어 평양>(2006), <굿바이 평양>(2011), <가족의 나라>(2013)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14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로컬리티라는 담론을 중심에 두고 재일조선인의 삶에서 ‘평양’이라는 공간이 갖는 중층적인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재일조선인 양영희 감독의 <디어 평양>, <굿바이 평양>, <가족의 나라> 세 편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세 편의 영화에서 재일조선인 1세~3세를 서사의 주체로 놓고, 평양의 의미를 다층적으로 구성해보았다. 서사의 주체를 고정시켜 놓더라도 평양의 의미는 체험을 통해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였다. 평양이라는 공간을 둘러싼 재일조선인 1~3세의 시선의 교차와 의미의 간극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일조선인 1세에게 조국 평양은 차별과 억압이 없는 인간적인 곳이며, 지상낙원이자 어머니의 품처럼 포용력 있는 곳이었다. 하지만 아들을 통해 실체를 마주하게 된 평양은 이념적 공간에서 만남의 기쁨과 이별의 슬픔을 느껴야 하는 실제적 공간으로, 열린 공간에서 닫힌 공간으로 의미가 치환되었다. 평양이 담고 있는 의미는 변하였지만 아버지는 여전히 조국 평양을 위해 충성하고, 조국이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 이러한 아버지의 태도는 이념적 지향성을 넘어 평양을 아들 가족이 살아가야 하는 공간으로 인식하는데서 기인하였다.
      둘째, 재일조선인 2세에게 평양은 이해할 수도 없고, 납득할 수도 없는 ‘그 나라’로 3인칭의 공간이었다. 평양은 정서적으로 먼 곳에 존재하는 ‘그 나라’이지만 물리적으로는 나와 내 가족의 존재와 생존의 근거지가 되는 1인칭의 공간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 해서든 살아남아야 하는 공간이었다.
      평양의 의미를 구성했던 재일조선인 1세와 2세들의 시선은 엇갈렸고, 의미는 충돌할 수밖에 없었다. 재일조선인 2세는 아버지를 이해할 수 없었듯, 평양이라는 공간도 이해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들이 충돌하고 갈등하면서 마지막에 귀결되는 평양의 의미는 가족이 있는 곳이며, 거부할 수 없는 운명처럼 생존을 위해서는 받아들여야 하는 공간이었다. 양영희 영화 세 편은 충돌과 갈등의 공간을 보여주는 데서 그치지 않고, 평양이라는 로컬이 갖는 치유의 의미가 무엇인지까지 모색하고 있었다. 국민국가의 경계를 지우고 평양을 바라보았을 때, 평양은 보고 싶은 사람이 있는 곳, 보고 싶은 사람이 나를 기다리는 곳이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로컬리티라는 담론을 중심에 두고 재일조선인의 삶에서 ‘평양’이라는 공간이 갖는 중층적인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재일조선인 양영희 감독의 <디어 평양&g...

      본 연구의 목적은 로컬리티라는 담론을 중심에 두고 재일조선인의 삶에서 ‘평양’이라는 공간이 갖는 중층적인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재일조선인 양영희 감독의 <디어 평양>, <굿바이 평양>, <가족의 나라> 세 편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세 편의 영화에서 재일조선인 1세~3세를 서사의 주체로 놓고, 평양의 의미를 다층적으로 구성해보았다. 서사의 주체를 고정시켜 놓더라도 평양의 의미는 체험을 통해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였다. 평양이라는 공간을 둘러싼 재일조선인 1~3세의 시선의 교차와 의미의 간극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일조선인 1세에게 조국 평양은 차별과 억압이 없는 인간적인 곳이며, 지상낙원이자 어머니의 품처럼 포용력 있는 곳이었다. 하지만 아들을 통해 실체를 마주하게 된 평양은 이념적 공간에서 만남의 기쁨과 이별의 슬픔을 느껴야 하는 실제적 공간으로, 열린 공간에서 닫힌 공간으로 의미가 치환되었다. 평양이 담고 있는 의미는 변하였지만 아버지는 여전히 조국 평양을 위해 충성하고, 조국이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 이러한 아버지의 태도는 이념적 지향성을 넘어 평양을 아들 가족이 살아가야 하는 공간으로 인식하는데서 기인하였다.
      둘째, 재일조선인 2세에게 평양은 이해할 수도 없고, 납득할 수도 없는 ‘그 나라’로 3인칭의 공간이었다. 평양은 정서적으로 먼 곳에 존재하는 ‘그 나라’이지만 물리적으로는 나와 내 가족의 존재와 생존의 근거지가 되는 1인칭의 공간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 해서든 살아남아야 하는 공간이었다.
      평양의 의미를 구성했던 재일조선인 1세와 2세들의 시선은 엇갈렸고, 의미는 충돌할 수밖에 없었다. 재일조선인 2세는 아버지를 이해할 수 없었듯, 평양이라는 공간도 이해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들이 충돌하고 갈등하면서 마지막에 귀결되는 평양의 의미는 가족이 있는 곳이며, 거부할 수 없는 운명처럼 생존을 위해서는 받아들여야 하는 공간이었다. 양영희 영화 세 편은 충돌과 갈등의 공간을 보여주는 데서 그치지 않고, 평양이라는 로컬이 갖는 치유의 의미가 무엇인지까지 모색하고 있었다. 국민국가의 경계를 지우고 평양을 바라보았을 때, 평양은 보고 싶은 사람이 있는 곳, 보고 싶은 사람이 나를 기다리는 곳이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로컬리티와 재일조선인의 삶
      • 2. 재일조선인 1세 아버지의 평양: 이상과 실상의 거리감
      • 3. 재일조선인 2세의 평양: 3인칭 공간이자 1인칭 공간
      • 4. 재일조선인 3세를 위한 평양: 경계적 국가가 아닌 가족의 나라
      • 국문초록
      • 1. 머리말: 로컬리티와 재일조선인의 삶
      • 2. 재일조선인 1세 아버지의 평양: 이상과 실상의 거리감
      • 3. 재일조선인 2세의 평양: 3인칭 공간이자 1인칭 공간
      • 4. 재일조선인 3세를 위한 평양: 경계적 국가가 아닌 가족의 나라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제주도지편찬위원회, "제주항일독립운동사" 제주도 1996

      2 윤송아, "재일조선인의 평양 체험 -유미리, 『평양의 여름휴가-내가 본 북조선』과 양영희, 『가족의 나라』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47) : 369-399, 2013

      3 윤송아, "재일조선인 문학의 주체 서사 연구" 인문사 2012

      4 신명직, "재일 코리안과 다국가 시민권 : 영화 ‘피와 뼈’․‘디어 평양’․‘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를 중심으로" 석당학술원 (56) : 37-81, 2013

      5 이상봉,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으로서‘로컬리티 인문학’ 연구의 전망"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 : 41-73, 2009

      6 이명자, "양영희 영화에 재현된 분단의 경계인으로서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8-50, 2013

      7 천진, "사적다큐멘터리(personal documentary)를 통해 본 동아시아 냉전의 기억들" 한국중국소설학회 (34) : 245-268, 2011

      8 이재승, "분단체제 아래서 재일 코리언의 이동권" 민주주의법학연구회 (52) : 187-222, 2013

      9 Tessa Morris-Suzuki, "북한행 엑소더스" 책과함께 2008

      10 류지석, "로컬리티와 인문학" 대동철학회 (53) : 345-361, 2010

      1 제주도지편찬위원회, "제주항일독립운동사" 제주도 1996

      2 윤송아, "재일조선인의 평양 체험 -유미리, 『평양의 여름휴가-내가 본 북조선』과 양영희, 『가족의 나라』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47) : 369-399, 2013

      3 윤송아, "재일조선인 문학의 주체 서사 연구" 인문사 2012

      4 신명직, "재일 코리안과 다국가 시민권 : 영화 ‘피와 뼈’․‘디어 평양’․‘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를 중심으로" 석당학술원 (56) : 37-81, 2013

      5 이상봉,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으로서‘로컬리티 인문학’ 연구의 전망"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 : 41-73, 2009

      6 이명자, "양영희 영화에 재현된 분단의 경계인으로서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8-50, 2013

      7 천진, "사적다큐멘터리(personal documentary)를 통해 본 동아시아 냉전의 기억들" 한국중국소설학회 (34) : 245-268, 2011

      8 이재승, "분단체제 아래서 재일 코리언의 이동권" 민주주의법학연구회 (52) : 187-222, 2013

      9 Tessa Morris-Suzuki, "북한행 엑소더스" 책과함께 2008

      10 류지석, "로컬리티와 인문학" 대동철학회 (53) : 345-361, 2010

      11 양영희, "디어 평양(Dear Pyeongyang)"

      12 이상봉, "디아스포라와 로컬리티 硏究 -在日코리안을 보는 새로운 視角-" 한일민족문제학회 (18) : 107-146, 2010

      13 서도식, "도시 공간의 현상학과 아고라포비아" 새한철학회 4 (4): 225-244, 2009

      14 양영희, "굿바이 평양(Goodbye Pyeongyang)"

      15 양영희, "가족의 나라(Our Homelan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8 1.24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