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스마트폰 센서를 이용한 물리수업이 과학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Using a Smartphone Sensor in a Physics Class on Motivation for Science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379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of a smartphone in a physics class on motivation for science learning. Studen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measured the acceleration of an object with a smartphone sensor while those from the comparison group performed the same task with a time rec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obtained using the smartphone sensor, we measured the acceleration of the object on an inclined plane by using both the smartphone sensor and the time recorder. The acceleration due to gravity g was determined as 9.62 m/s2 and 9.28 m/s2 with the smartphone sensor and the time recorder, respectively. On Likert’s 5-point scale,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comparison group was found to have increased from approximately 3.67 before to 3.77 after the class. Notably, on the same scale,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from 3.67 before to 4.32 after the clas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otivation for science learning was increased by the use of a smartphone sensor to measure the acceleration of an object in a physics class.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of a smartphone in a physics class on motivation for science learning. Studen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measured the acceleration of an object with a smartphone sensor w...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of a smartphone in a physics class on motivation for science learning. Studen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measured the acceleration of an object with a smartphone sensor while those from the comparison group performed the same task with a time rec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obtained using the smartphone sensor, we measured the acceleration of the object on an inclined plane by using both the smartphone sensor and the time recorder. The acceleration due to gravity g was determined as 9.62 m/s2 and 9.28 m/s2 with the smartphone sensor and the time recorder, respectively. On Likert’s 5-point scale,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comparison group was found to have increased from approximately 3.67 before to 3.77 after the class. Notably, on the same scale,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from 3.67 before to 4.32 after the clas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otivation for science learning was increased by the use of a smartphone sensor to measure the acceleration of an object in a physics cla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를 활용한 과학실험수업이 과학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물체의 가속도 측정실험을 스마트폰 센서를 활용하는 실험반과 시간기록계를 활용하는 비교반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스마트폰 센서를 활용한 실험에서는 가속도 센서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경사면에서의 빗면 가속도 측정 실험을 통해 중력가속도를 측정하였다.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였을 때는 중력가속도 g = 9.62 m/s2나타났으며, 시간기록계를 활용하였을 때는 g = 9.28 m/s2로 나타났다. 리커르트 5단계 척도법으로 조사한 비교반의 수업 전·학습동기는 각각 3.62, 3.77로 나타난 반면에 실험반의 학습동기는 각각 3.67, 4.32로 수업 후의 학습동기가 수업 전보다 0.65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 부터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해서 가속도 측정 수업을 하였을 때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를 활용한 과학실험수업이 과학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물체의 가속도 측정실험을 스마트폰 센서를 활용하는 실험반...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를 활용한 과학실험수업이 과학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물체의 가속도 측정실험을 스마트폰 센서를 활용하는 실험반과 시간기록계를 활용하는 비교반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스마트폰 센서를 활용한 실험에서는 가속도 센서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경사면에서의 빗면 가속도 측정 실험을 통해 중력가속도를 측정하였다.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였을 때는 중력가속도 g = 9.62 m/s2나타났으며, 시간기록계를 활용하였을 때는 g = 9.28 m/s2로 나타났다. 리커르트 5단계 척도법으로 조사한 비교반의 수업 전·학습동기는 각각 3.62, 3.77로 나타난 반면에 실험반의 학습동기는 각각 3.67, 4.32로 수업 후의 학습동기가 수업 전보다 0.65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 부터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해서 가속도 측정 수업을 하였을 때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 Nott, 7 : 579-, 1998

      2 C. H.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6

      3 E. M. Anderman, 31 : 811-, 1994

      4 H. S. Park, 1288 : 1-, 2007

      5 R. Thornton, 58 : 858-, 1990

      6 Y. Ku, 50 : 494-, 2009

      7 W. H. Leonard, 20 : 807-, 1983

      8 K. Tobin, 90 : 403-, 1990

      9 S. G. Gangoli, 17 : 233-, 1995

      10 박금홍,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MBL실험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331-340, 2008

      1 M. Nott, 7 : 579-, 1998

      2 C. H.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6

      3 E. M. Anderman, 31 : 811-, 1994

      4 H. S. Park, 1288 : 1-, 2007

      5 R. Thornton, 58 : 858-, 1990

      6 Y. Ku, 50 : 494-, 2009

      7 W. H. Leonard, 20 : 807-, 1983

      8 K. Tobin, 90 : 403-, 1990

      9 S. G. Gangoli, 17 : 233-, 1995

      10 박금홍,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MBL실험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331-340, 2008

      11 박지연,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활용한 과학탐구활동 제안" 한국물리학회 62 (62): 121-127, 2012

      12 박지연, "고무동력바퀴를 활용한 마찰력 수업에 관한 연구" 한국물리학회 61 (61): 119-124, 2011

      13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jp. daikiko.Accelogger&hl=ko"

      14 S. I. Kwak, "Physics II Textbook for 12th Grade" Chunjae-education Publisher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