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예방행위 예측요인 : Factors Predicting Dementia-Preventive Behavior of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703551

      • 저자
      • 발행사항

        순천 :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순천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 2023. 2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12.8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전라남도

      • 형태사항

        p.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고은
        참고문헌 : p.

      • UCI식별코드

        I804:46008-000000010250

      • 소장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self-efficacy, and dementia-preventive behavior of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and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dementia-preve...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self-efficacy, and dementia-preventive behavior of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and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dementia-preventive behavior.
      Method: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conducted in August 2022 with 158 elderly, aged 65 and above, who visited senior centers and senior welfare centers located in Suncheon City, Jeollanamdo. The tool used to measure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and self-efficacy was developed by Song et al. (2001),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Song and Park (2018). The measurement tool for dementia-preventive behavior by Lim et al. (2018) was also used. The Cronbach’s α of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and self-efficacy were 0.74, 0.81, and 0.88 respectively, while the Cronbach’s α of dementia-preventive behavior was 0.76. test ,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logistic regression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s version 27.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dementia-preventive behavior of participants was 4.02-points. Amo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entia-preventive behavior were found in age (=8.31, p=.040) and regular gatherings/social activities (p=.010). Regarding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ementia education experiences (=4.40, p=.036), dementia patient experiences (=5.12, p=.024), dementia safety center use experiences (=5.93, p=.015), and perceived health status (=7.87, p=.020). Participants with good dementia-preventive behavior showed higher perceived benefits (t=-2.96, p=.004), higher self-efficacy (t=.48, p<.001), and lower perceived barriers (t=3.31, p=.001) compared to participants who had poorer dementia-preventive behavior. Dementia-preventive behavior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perceived benefits (r=.26, p=.001) and self-efficacy (r=.48, p<.001), bu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perceived barriers (r=-.29, p<.001). When perceived barriers increased by 1 point, the odds ratio of good dementia-preventive behavior decreased by 0.53 times (95% CI=0.32~0.87, p=.013), and when self-efficacy increased by 1 point, the odds ratio of good dementia-preventive behavior increased by 1.91 times (95% CI=1.10~3.32, p=.022).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of participants when developing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increasing the dementia-preventive behavior of elderly in the community, considering their perceived barri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기효능감 및 치매예방행위를 확인하고 치매예방행위의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

      목적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기효능감 및 치매예방행위를 확인하고 치매예방행위의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22년 8월 전라남도 순천시에 소재한 경로당과 노인복지관을 방문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1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송라윤 등(2001)이 개발하고 송라윤과 박문경(2018)이 수정·보완한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기효능감 측정도구와 임경춘 등(2018)의 치매예방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기효능감의 Cronbach’s α는 각각 .74, .81, .88이었으며 치매예방행위의 Cronbach’s α 는 .76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version 27.0 Program을 이용하여 test,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자의 치매예방행위는 평균 4.02점이었고,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8.31, p=.040), 정기적 모임/사회활동 여부(p=.01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치매예방행위의 차이가 있었으며, 건강관련 특성 중 치매교육 경험(=4.40, p=.036), 치매환자 경험(=5.12, p=.024), 치매안심센터 이용 경험(=5.93, p=.015) 및 지각된 건강상태(=7.87, p=.02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매예방행위를 잘하는 대상자는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지각된 유익성(t=-2.96, p=.004)과 자기효능감(t=.48, p<.001)이 높았고 지각된 장애성(t=3.31, p=.001)이 낮았다. 연구대상자의 치매예방행위는 지각된 유익성(r=.26, p=.001) 및 자기효능감(r=.48,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지각된 장애성(r=-.29,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지각된 장애성이 1점 상승할수록 치매예방행위를 잘할 확률의 승산비가 0.53배(95% CI=0.32~0.87, p=.013) 낮았으며, 자기효능감이 1점 상승할수록 치매예방행위를 잘할 확률의 승산비가 1.91배(95% CI=1.10~3.32, p=.022) 높았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노인의 치매예방행위를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대상자가 지각한 장애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