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 지역(region)에 대한 감정 평가와 이용 경험 차별성이 장소경쟁력 평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시의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지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evaluation and differentiation of experience in use on evaluation of competitiveness in urban regions: Focusing on the Gentrification Regions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17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 공간을 경험하고, 소비하면서 발생하는 인식과 감정들은 도시를 구성하는 여러 장소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 지역을 브랜드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감성적 가치와 경험 차별성을 중심으로 장소경쟁력 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의 파악을 통해서 장소브랜드 관리와 젠트리피케이션 문제 해결에 대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이 갖는 감정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도시 지역에 형성되는 감정 가치 유형을 도출하고, 도시 장소를 방문(소비)하는 목적에 따라서 5가지 형태로 구분하고, 각 경험 만족 수준에 따라 도시 지역에 대한 감정에 미치는 차이와 도시 지역에 대한 감성 가치가 브랜드 태도와 지속적 소비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 지역과 관련하여 사람들은 슬픔, 애정, 재미, 싫증의 4가지 감정 유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지역에 대한 소비 경험이 감정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먹거리와 데이트 경험이 큰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 공간에 대한 전반적 태도와 향후 지속 이용 의도에 미치는 감정은 애정과 재미 요소가 중요한 감정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시 지역의 소비 경험은 데이트와 먹거리 경험 요소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 지역의 경제적 변화와 발전 속에서도 경쟁력과 매력을 잃지 않는 방법에 대한 논의를 이용자의 감정과 경험 중심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를 통해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장소의 경험 경쟁력과 감성적 평가의 결합이 장소의 전반적인 경쟁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연구를 통해서 도시의 경쟁력과 젠트리피케이션 문제 해결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도시 공간을 경험하고, 소비하면서 발생하는 인식과 감정들은 도시를 구성하는 여러 장소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 지역을 브랜드의 관점에서 이...

      도시 공간을 경험하고, 소비하면서 발생하는 인식과 감정들은 도시를 구성하는 여러 장소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 지역을 브랜드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감성적 가치와 경험 차별성을 중심으로 장소경쟁력 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의 파악을 통해서 장소브랜드 관리와 젠트리피케이션 문제 해결에 대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이 갖는 감정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도시 지역에 형성되는 감정 가치 유형을 도출하고, 도시 장소를 방문(소비)하는 목적에 따라서 5가지 형태로 구분하고, 각 경험 만족 수준에 따라 도시 지역에 대한 감정에 미치는 차이와 도시 지역에 대한 감성 가치가 브랜드 태도와 지속적 소비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 지역과 관련하여 사람들은 슬픔, 애정, 재미, 싫증의 4가지 감정 유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지역에 대한 소비 경험이 감정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먹거리와 데이트 경험이 큰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 공간에 대한 전반적 태도와 향후 지속 이용 의도에 미치는 감정은 애정과 재미 요소가 중요한 감정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시 지역의 소비 경험은 데이트와 먹거리 경험 요소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 지역의 경제적 변화와 발전 속에서도 경쟁력과 매력을 잃지 않는 방법에 대한 논의를 이용자의 감정과 경험 중심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를 통해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장소의 경험 경쟁력과 감성적 평가의 결합이 장소의 전반적인 경쟁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연구를 통해서 도시의 경쟁력과 젠트리피케이션 문제 해결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해연 ; 최종안, "한국인의 정서 구조와 측정"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30 (30): 89-114, 2016

      2 서용원 ; 손영화, "한국인의 소비 정서 항목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5 (5): 5-5, 2004

      3 이영민 ; 권필 ; 유기윤 ; 김지영, "한국어 장소 리뷰를 이용한 공간 감성어 사전 구축 방법" 대한공간정보학회 25 (25): 3-12, 2017

      4 최석재 ;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빅데이터 연구센터 ; 비스위스 수브르더 ; 권오병, "텍스트마이닝 기반의 효율적인 장소 브랜드 이미지 강도 측정 방법"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1 (21): 113-129, 2015

      5 김혜진, "초등 지리교육에서 재현된 ‘장소감’ 내용 분석" 한국지리학회 7 (7): 275-287, 2018

      6 김인겸, "지역 브랜딩의 개념과 성공사례" 4 (4): 59-63, 2014

      7 최기숙, "조선시대 감정론의 추이와 감정의 문화 규약 - 사대부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 국학연구원 (159) : 3-52, 2012

      8 박수애 ; 안진경, "정서적 자극에 대한 기억에 있어서의 남녀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6 (6): 29-43, 2003

      9 이은미 ; 전중옥, "재개념화에 따른 브랜드 감정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25 (25): 25-53, 2010

      10 Relph, E., "장소와장소상실" 논형 2005

      1 최해연 ; 최종안, "한국인의 정서 구조와 측정"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30 (30): 89-114, 2016

      2 서용원 ; 손영화, "한국인의 소비 정서 항목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5 (5): 5-5, 2004

      3 이영민 ; 권필 ; 유기윤 ; 김지영, "한국어 장소 리뷰를 이용한 공간 감성어 사전 구축 방법" 대한공간정보학회 25 (25): 3-12, 2017

      4 최석재 ;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빅데이터 연구센터 ; 비스위스 수브르더 ; 권오병, "텍스트마이닝 기반의 효율적인 장소 브랜드 이미지 강도 측정 방법"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1 (21): 113-129, 2015

      5 김혜진, "초등 지리교육에서 재현된 ‘장소감’ 내용 분석" 한국지리학회 7 (7): 275-287, 2018

      6 김인겸, "지역 브랜딩의 개념과 성공사례" 4 (4): 59-63, 2014

      7 최기숙, "조선시대 감정론의 추이와 감정의 문화 규약 - 사대부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 국학연구원 (159) : 3-52, 2012

      8 박수애 ; 안진경, "정서적 자극에 대한 기억에 있어서의 남녀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6 (6): 29-43, 2003

      9 이은미 ; 전중옥, "재개념화에 따른 브랜드 감정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25 (25): 25-53, 2010

      10 Relph, E., "장소와장소상실" 논형 2005

      11 이석환,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32 (32): 169-184, 1997

      12 이세규, "장소애착이 도시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함평나비축제를 사례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0 (30): 331-352, 2016

      13 김유경, "장소브랜딩(Place Branding)의 역할과 전략적 관리" 2009

      14 임승빈 ; 정윤희 ; 허윤선 ; 권윤구 ; 변재상 ; 최형석, "장소 경험 분석을 통한 도시 내 장소성 특성 연구" 한국조경학회 39 (39): 46-56, 2011

      15 김재영, "온라인 브랜드 체험을 통한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의 이중 경로가 브랜드 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정보학회 29 (29): 123-146, 2010

      16 이현정, "소비자의 복합적 감정경험이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학회 33 (33): 63-73, 2015

      17 이학식 ; 임지훈, "소비관련 감정척도의 개발" 한국마케팅학회 17 (17): 55-91, 2002

      18 이나영 ; 안재섭, "서울 신사동 가로수길의 소비문화 경관" 한국사진지리학회 22 (22): 199-216, 2012

      19 유민태 ; 박태원,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지역 방문소비자 유형화와 계층별 장소 선택 특성 비교분석" 한국도시부동산학회 11 (11): 115-141, 2020

      20 Cialdini, R. B., "사회심리학: 마음과 행동을 결정하는 사회적 상황의 힘" 웅진지식하우스 2020

      21 이유재 ; 이지영,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 감정, 브랜드 로열티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품간의 비교" 한국방송광고공사 (65) : 101-125, 2004

      22 박소영, "문화관광축제도시의 지각된 도시브랜드개성이 도시태도 및 거주의도에 미치는 영향: 진주남강유등축제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30 (30): 215-226, 2016

      23 전기흥 ; 오영택, "도시의 경험적 요인이 도시 브랜드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학회 33 (33): 41-47, 2015

      24 권규상, "도시 내 다중심성이 도시 어메니티 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리학회 56 (56): 311-323, 2021

      25 신정엽 ; 김감영, "도시 공간 구조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의 비판적 재고찰과 향후 연구 방향 모색" 한국지리학회 3 (3): 67-87, 2014

      26 Simon, A., "국가브랜드의 세계적인 권위자 안홀트의 장소 브랜딩"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5

      27 김희정 ; 김시중, "관광지 선택속성과 경험적 가치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백제역사유적지구를 대상으로" 국토지리학회 46 (46): 147-159, 2012

      28 고경순, "경험마케팅" 도서출판 대명 2004

      29 김해룡, "감정을 팔아라 (마케팅을 결정하는 소비 감정의 힘)" 원앤원북스 2019

      30 이종성, "『순언』에 나타난 정치철학적 믿음의 함의" 한국동서철학회 (80) : 27-50, 2016

      31 Masterson, V. A., "The contribution of sense of place to social-ecological systems research :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22 (22): 22-34, 2017

      32 Chaudhuri, A.,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s to brand performance : The role of brand loyalty" 65 (65): 81-93, 2001

      33 Shamai, S., "Sense of place : An empirical measurement" 22 (22): 347-358, 1991

      34 Vaske, J. J., "Place attachment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32 (32): 16-21, 2001

      35 Trentelman, C. K., "Place attachment and community attachment : A primer grounded in the lived experience of a community sociologist" 22 (22): 191-210, 2009

      36 Kotler, P., "Marketing places: Attracting investment, industry, and tourism to cities, states and nations" Free Press 1993

      37 Berscheid, E., "Close relationships" W. H. Freeman 1983

      38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16 1.39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