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MCN을 활용한 해외홍보문화원의 한국문화PR 사례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A Case Analysis on the Policy Directions of Korean Culture PR by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KOCIS) using Public MC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17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n-depth study on the Public MCN Project for Korean Culture PR was conducted by the Korea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KOCIS) in 2020. The focus was on the K-influencer program, which recruits non-Koreans fans of Korean culture and fosters PR experts in Korean culture, to measure the effect of Korean content customized for overseas markets. In addition, the research looked at the potential of overseas promotion using public MCN based on the organization and features of livestream channels and subchannels, content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led by government policy, number of views, and trends in subscriber growth. The cost effectiveness of PR for Korean culture was gauged using the legacy of traditional media and public MCN operations. In conclusion, the review of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e public MCN project led to the proposal of policy tasks seeking to expand and further develop operations of the project. Because studies on PR for Korean culture are non-existent, especially given the lack of related case studies abroa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not only on PR officials of the government and public agencies, but also scholars and industry representatives interested in public MCN in the belief that the research can provide useful policy and practical assistance to the field.
      번역하기

      This in-depth study on the Public MCN Project for Korean Culture PR was conducted by the Korea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KOCIS) in 2020. The focus was on the K-influencer program, which recruits non-Koreans fans of Korean culture and fosters PR ...

      This in-depth study on the Public MCN Project for Korean Culture PR was conducted by the Korea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KOCIS) in 2020. The focus was on the K-influencer program, which recruits non-Koreans fans of Korean culture and fosters PR experts in Korean culture, to measure the effect of Korean content customized for overseas markets. In addition, the research looked at the potential of overseas promotion using public MCN based on the organization and features of livestream channels and subchannels, content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led by government policy, number of views, and trends in subscriber growth. The cost effectiveness of PR for Korean culture was gauged using the legacy of traditional media and public MCN operations. In conclusion, the review of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e public MCN project led to the proposal of policy tasks seeking to expand and further develop operations of the project. Because studies on PR for Korean culture are non-existent, especially given the lack of related case studies abroa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not only on PR officials of the government and public agencies, but also scholars and industry representatives interested in public MCN in the belief that the research can provide useful policy and practical assistance to the fie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영신,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 국내외 MCN시장의 변화에 따른 사업자 전략"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2 정원준, "해외문화홍보원 50년의 성과와 과제, 미래" 한국PR학회 2019

      3 강정석, "해외PR 및 국가브랜드 제고를 위한 전략목표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13

      4 신철호, "해외 주요국의 국가 브랜드 관리 사례 연구" 2 (2): 91-126, 2009

      5 김근세, "한국정부의 해외PR" 대영문화사 2013

      6 "한국전파진흥협회"

      7 김하늘 ; 이해수 ; 박만수, "한국 MCN(Multi Channel Network) 기업들에 대한 연구: 자원기반이론과 SWOT 분석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5 (35): 103-143, 2018

      8 유재웅, "코로나19와 한국의 국제문화교류" 한국PR학회 2019

      9 유봉구, "중국의 국가이미지 제고 전략-소프트파워의 활용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소 (17) : 273-306, 2011

      10 차영란, "정부정책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SNS활용 PR 전략"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03-116, 2013

      1 조영신,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 국내외 MCN시장의 변화에 따른 사업자 전략"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2 정원준, "해외문화홍보원 50년의 성과와 과제, 미래" 한국PR학회 2019

      3 강정석, "해외PR 및 국가브랜드 제고를 위한 전략목표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13

      4 신철호, "해외 주요국의 국가 브랜드 관리 사례 연구" 2 (2): 91-126, 2009

      5 김근세, "한국정부의 해외PR" 대영문화사 2013

      6 "한국전파진흥협회"

      7 김하늘 ; 이해수 ; 박만수, "한국 MCN(Multi Channel Network) 기업들에 대한 연구: 자원기반이론과 SWOT 분석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5 (35): 103-143, 2018

      8 유재웅, "코로나19와 한국의 국제문화교류" 한국PR학회 2019

      9 유봉구, "중국의 국가이미지 제고 전략-소프트파워의 활용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소 (17) : 273-306, 2011

      10 차영란, "정부정책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SNS활용 PR 전략"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03-116, 2013

      11 임민, "왕홍이 활용하는 중국 플랫폼에 관한 연구: 대표적인 웨이보, 타오바오, 위챗을 중심으로"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9

      12 고문정 ; 윤석민,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 비즈니스 모델 탐색" 정보통신정책학회 23 (23): 59-94, 2016

      13 박상철 ; 이신형, "샌드박스네트워크의 MCN(Multi-Channel Network)시장 진입 전략" 한국경영학회 23 (23): 99-123, 2019

      14 김용희, "새로운 방송 서비스로의 이전:이주 이론을 통한 MCN으로 전환의도 연구" 한국유통과학회 10 (10): 59-67, 2019

      15 "방송통신위원회"

      16 양유신, "밀레니얼 제너레이션" 더숲 2010

      17 노주현, "미디어콘텐츠의 활용이 국가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8 (18): 259-268, 2020

      18 리지에, "리즈치(Li ziqi)의 유튜브(Youtube) 활용을 통한 죽국 생활문화의 홍보효과 연구" 청주대학교대학원 2021

      19 고진용 ; 정언용, "레페리(Leferi)의 뷰티인플루언서 시장 선도 전략 : MCN을 넘어 자체 브랜드와 커머스까지 진출" 서비스마케팅학회 13 (13): 31-41, 2020

      20 이유나 ; 김유경 ; 정윤재, "대한민국의 국가브랜드 PR현황 연구 : 정부 실무자의 국가정체성 인식조사 및 PR관리과정 분석" 한국광고PR실학회 8 (8): 62-101, 2015

      21 황순학 ; 김은영 ; 채경진 ; 천세학, "다중 채널 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 비즈니스의 수익 모델과 마케팅 전략: 국내 MCN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17-24, 2017

      22 윤혁진, "고속성장 중인 1인 미디어 산업" SK증권 2019

      23 권택경, "“여왕 인스타 운영하실 분” 영국 왕실이 SNS 관리자 모집하며 내건 근무조건"

      24 주영재, "‘1인 미디어’의 왕자 트럼프의 트위터 정치"

      25 Storie, L. K., "Relationship cultivation in public diplomacy : A qualitative study of relational antecedents and cultivation strategies" 29 (29): 295-310, 2017

      26 박성환, "MCN 시장의 현황과 새로운 콘텐츠의 필요성: 문화유산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109-112, 2017

      27 김치호, "MCN 사업의 현황과 과제" 인문콘텐츠학회 (40) : 167-187, 2016

      28 Djafarova, E., "Exploring the credibility of online celebrities' instagram profiles in influencing the purchase decisions of young female users" 68 : 1-7, 2017

      29 Che, J. W., "Consumer purchase decision in instagram stores:The role of consumer trust" 24-33, 2017

      30 이지영, "BTS 예술혁명-방탄소년단과 들뢰즈가 만나다" 파레시아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16 1.39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