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 병원성 미생물 유전체 연구 기반 확보 = National pathogen Genomic Research Inf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57978

      • 저자
      • 발행기관
      • 발행연도

        2003년

      • 작성언어

        Korean

      • KDC

        510

      • 자료형태

        국립의과학지식센터(NCMIK)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manage the deposited pathogenic microbes resources in Genome Resources Bank (GRB), NIH, Korea from research production of the three Pathogenic Microbes Genomic Research Centers, we were trying to collect and preserve primary pcif** jgenic resources and products by genomic research and establish the quality control system for identification of the resources. The guidelines and QC system for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athogenic Microbes Genomic Resources Center were investigated after agreements by Biosafety and Resources Management sub-committee which is in the committee composed with 3 centers and NGRI. And the standard protocols for the quality control of the resources and the several formats for deposition and management of the resources and Biosafety were developed. The pathogenic microbes resources (2 microbial strain, 3 genomic DNA, recombinant clones, 1920 recombinant clones) were systematically collected and preserved from three Pathogenic Microbes Genomic Research Centers. The barcode tracking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the resources in GRB. several formats for resources deposition to the GRB and the protocols for Biosafety preservation system of resources were also developed The standard protocols for the quality control of the resources were developed to keep the high-quality of the deposited resources. It was expected that the pathogenic microbes resources from proceeding researches will be collected and eventually they will be distributed for domestic microbial researches.
      번역하기

      To manage the deposited pathogenic microbes resources in Genome Resources Bank (GRB), NIH, Korea from research production of the three Pathogenic Microbes Genomic Research Centers, we were trying to collect and preserve primary pcif** jgenic resources...

      To manage the deposited pathogenic microbes resources in Genome Resources Bank (GRB), NIH, Korea from research production of the three Pathogenic Microbes Genomic Research Centers, we were trying to collect and preserve primary pcif** jgenic resources and products by genomic research and establish the quality control system for identification of the resources. The guidelines and QC system for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athogenic Microbes Genomic Resources Center were investigated after agreements by Biosafety and Resources Management sub-committee which is in the committee composed with 3 centers and NGRI. And the standard protocols for the quality control of the resources and the several formats for deposition and management of the resources and Biosafety were developed. The pathogenic microbes resources (2 microbial strain, 3 genomic DNA, recombinant clones, 1920 recombinant clones) were systematically collected and preserved from three Pathogenic Microbes Genomic Research Centers. The barcode tracking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the resources in GRB. several formats for resources deposition to the GRB and the protocols for Biosafety preservation system of resources were also developed The standard protocols for the quality control of the resources were developed to keep the high-quality of the deposited resources. It was expected that the pathogenic microbes resources from proceeding researches will be collected and eventually they will be distributed for domestic microbial research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실험실에서 위해성이 매우 높은 병원체나 생명공학기술에 따른 잠재적 병원성을 지닌 유전자 변형생물체의 취급이 지속적으로 중가하고 있으며 실험 당사자에 대한 감염방지를 위해서 뿐 아니라 이들 병원체가 비의도적으로 방출될 경우 일반 국민에 대한 잠재적 재해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국가적 안전관리사항으로서 그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또한 족히 2003년말 발효가 예상되는 생물안전의정서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실험실 생물안전 확보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체 및 관련 유전자재조합 변형생물체 사용에 따른 생물안전관리에 대한 제반 법/제도 장치, 실험시설 및 장비, 연구자 안전의식의 면에서 취약한 우리나라에서 병원성 미생물유전체 사업울 수행함에 있어 각 센터별 연구자에게 실험실내 감염 방지 등 안전한 실험 여건이 조성되도록 하고 또 균주 유출 둥으로 인한 사고 가능성에 대비하여 병원성 균주 관리에 철처를 기하록 하는데 기여하고자 각 센터간 공유할 안전지침 및 안전취급정보를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병원성 미생물 자원 보존 현황 및 생물안전관리 현황을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병원성 미생물유전체연구센터의 생물안전판리 체계구축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과제를 수행하여 마련된 제반 연구 경과는 향후 유전자변형생물체국가간이동둥에 관한 법률에 따론 제반 생물안전 관련 고시안 및 유전자재조합실험지침개정안에 활용할 예정이며 본 연구를 통해 구성된 생물안전분과위원회 및 유전자원관리분과위원회, 협의회를 지속적으로 운영함으로써 병원성 미생물유전체 센터 뿐만 아니라 국내 제반 생물안전 이행체계 확보에 있어 자문 역할음 수행하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병원성미생물 유전자원 (균주, genomic DNA, clone 등) 및 관련 정보의 지속적 확보, 관리 및 관련 취급 기술 향상과 향후 병원성미생물 유전채 연구 자원 센터의 전문직제화 추진 등에 활용하여 병원성미생물 유전체 성과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지속적으로 구축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병원성미생물 유전체 연구 성과물의 안전한 보존 및 공급에 기여할 것이고, 연구성과물듈이 국가 차원에서 집중화되어 수집,보존, 관리되어지면 국내외 병원성미생물관련 연구기반의 확립과 관련 의약산업의 향상을 위한 기초기반이 될 것으로 본다.
      번역하기

      최근 실험실에서 위해성이 매우 높은 병원체나 생명공학기술에 따른 잠재적 병원성을 지닌 유전자 변형생물체의 취급이 지속적으로 중가하고 있으며 실험 당사자에 대한 감염방지를 위해...

      최근 실험실에서 위해성이 매우 높은 병원체나 생명공학기술에 따른 잠재적 병원성을 지닌 유전자 변형생물체의 취급이 지속적으로 중가하고 있으며 실험 당사자에 대한 감염방지를 위해서 뿐 아니라 이들 병원체가 비의도적으로 방출될 경우 일반 국민에 대한 잠재적 재해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국가적 안전관리사항으로서 그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또한 족히 2003년말 발효가 예상되는 생물안전의정서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실험실 생물안전 확보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체 및 관련 유전자재조합 변형생물체 사용에 따른 생물안전관리에 대한 제반 법/제도 장치, 실험시설 및 장비, 연구자 안전의식의 면에서 취약한 우리나라에서 병원성 미생물유전체 사업울 수행함에 있어 각 센터별 연구자에게 실험실내 감염 방지 등 안전한 실험 여건이 조성되도록 하고 또 균주 유출 둥으로 인한 사고 가능성에 대비하여 병원성 균주 관리에 철처를 기하록 하는데 기여하고자 각 센터간 공유할 안전지침 및 안전취급정보를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병원성 미생물 자원 보존 현황 및 생물안전관리 현황을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병원성 미생물유전체연구센터의 생물안전판리 체계구축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과제를 수행하여 마련된 제반 연구 경과는 향후 유전자변형생물체국가간이동둥에 관한 법률에 따론 제반 생물안전 관련 고시안 및 유전자재조합실험지침개정안에 활용할 예정이며 본 연구를 통해 구성된 생물안전분과위원회 및 유전자원관리분과위원회, 협의회를 지속적으로 운영함으로써 병원성 미생물유전체 센터 뿐만 아니라 국내 제반 생물안전 이행체계 확보에 있어 자문 역할음 수행하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병원성미생물 유전자원 (균주, genomic DNA, clone 등) 및 관련 정보의 지속적 확보, 관리 및 관련 취급 기술 향상과 향후 병원성미생물 유전채 연구 자원 센터의 전문직제화 추진 등에 활용하여 병원성미생물 유전체 성과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지속적으로 구축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병원성미생물 유전체 연구 성과물의 안전한 보존 및 공급에 기여할 것이고, 연구성과물듈이 국가 차원에서 집중화되어 수집,보존, 관리되어지면 국내외 병원성미생물관련 연구기반의 확립과 관련 의약산업의 향상을 위한 기초기반이 될 것으로 본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