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9 개정 초등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역할 및 유형 분석 = An Analysis of the Characters Role and Type Presenting 2009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096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교과서에서 최초로 제시된 캐릭터 삽화를 내용적 측면에서 범주화하고 그 역할과 외형적 측면에서의 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3~6 학년 과학교과서의 물질과 에너지, 생명과 지구 영역 그리고 탐구 단원에 제시된 총 271개의 캐릭터 삽화에 포함된 텍스트의 역할을 동기 유발, 학습 활동 안내, 사고 촉진, 자료 제공, 탐구 결과로 범주화하여 학년별, 단원별, 영역별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캐릭터 삽화는 자료 제공 역할이 가장 많았으며 탐구 활동 안내, 동기 유발, 사고 촉진, 탐구 결과 순으로 나타났다. 캐릭터 삽화의 외형적 특성은 사람 형태의 캐릭터 221개 중에 남자 131개, 여자 87개가 제시되었으며, 동물 6개, 사물 38개가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의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교과서에서 그림과 텍스트의 복합적 형태로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분석은 향후 초등과학교과서 개발에서 캐릭터 삽화가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사고 촉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후속 연구 등을 통해 효과적인 캐릭터 삽화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교과서에서 최초로 제시된 캐릭터 삽화를 내용적 측면에서 범주화하고 그 역할과 외형적 측면에서의 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3~6 학년 과학...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교과서에서 최초로 제시된 캐릭터 삽화를 내용적 측면에서 범주화하고 그 역할과 외형적 측면에서의 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3~6 학년 과학교과서의 물질과 에너지, 생명과 지구 영역 그리고 탐구 단원에 제시된 총 271개의 캐릭터 삽화에 포함된 텍스트의 역할을 동기 유발, 학습 활동 안내, 사고 촉진, 자료 제공, 탐구 결과로 범주화하여 학년별, 단원별, 영역별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캐릭터 삽화는 자료 제공 역할이 가장 많았으며 탐구 활동 안내, 동기 유발, 사고 촉진, 탐구 결과 순으로 나타났다. 캐릭터 삽화의 외형적 특성은 사람 형태의 캐릭터 221개 중에 남자 131개, 여자 87개가 제시되었으며, 동물 6개, 사물 38개가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의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교과서에서 그림과 텍스트의 복합적 형태로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분석은 향후 초등과학교과서 개발에서 캐릭터 삽화가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사고 촉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후속 연구 등을 통해 효과적인 캐릭터 삽화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This study categorizes the roles of character illustrations that appear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provides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future textbooks through role and type analysi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character illustrations in textbooks of grade 3~6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to the content aspect and the external aspect. The contents aspect focuses on the texts included in the illustration, And analyzed the character itself.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ategorized the role of character illustrations in textbooks as motivation, guidance of learning activities, stimulation of thinking, providing data, and inquiry results. Second, in analyzing the character illustrations of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the character illustrations roled providing data are the most abundant, followed by guidance of learning activities, motivation, stimulation of thinking, and inquiry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by grades, 4th grade, 3th grade, 5th grade, and 6th grade appeared in that order. In terms of areas, life, exploration, earth, energy, and material were in ord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se character illustrations in terms of roles and utilization, considering grade, field, and uni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illustrations, 221 human characters and 44 non - human charact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tegorize the role of the character illustration presented in a complex form of picture and text and analyze the character artwork used in the textbook.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make the use of character illustration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next elementary science textbook.
      • This study categorizes the roles of character illustrations that appear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provides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future textbooks through role and type analysi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character illustrations in textbooks of grade 3~6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to the content aspect and the external aspect. The contents aspect focuses on the texts included in the illustration, And analyzed the character itself.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ategorized the role of character illustrations in textbooks as motivation, guidance of learning activities, stimulation of thinking, providing data, and inquiry results. Second, in analyzing the character illustrations of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the character illustrations roled providing data are the most abundant, followed by guidance of learning activities, motivation, stimulation of thinking, and inquiry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by grades, 4th grade, 3th grade, 5th grade, and 6th grade appeared in that order. In terms of areas, life, exploration, earth, energy, and material were in ord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se character illustrations in terms of roles and utilization, considering grade, field, and uni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illustrations, 221 human characters and 44 non - human charact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tegorize the role of the character illustration presented in a complex form of picture and text and analyze the character artwork used in the textbook.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make the use of character illustration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next elementary science textboo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朴始鉉, "한·일 국민학교 자연과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4

      2 우종옥, "초등학교 자연교과서 개발 체제 분석 및 평가 연구" 12 (12): 109-128, 1992

      3 성승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역할 분석: 2009개정 과학과 4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167-175, 2016

      4 노태희, "초등학교 과학 관련 교재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16 (16): 1-9, 1997

      5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6 신동희, "양성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 분석" 20 (20): 193-199, 2000

      7 하소정, "사회·문화 교과서 발문 연구와 학습자 발문 흥미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정태범, "교과서 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2 : 25-27, 1989

      9 Doblin, J.,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2" Plenum Press 98-111, 1980

      10 Song, J., "How Korean students see scientists : The images of the scientist" 21 (21): 957-977, 1999

      1 朴始鉉, "한·일 국민학교 자연과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4

      2 우종옥, "초등학교 자연교과서 개발 체제 분석 및 평가 연구" 12 (12): 109-128, 1992

      3 성승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역할 분석: 2009개정 과학과 4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167-175, 2016

      4 노태희, "초등학교 과학 관련 교재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16 (16): 1-9, 1997

      5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6 신동희, "양성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 분석" 20 (20): 193-199, 2000

      7 하소정, "사회·문화 교과서 발문 연구와 학습자 발문 흥미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정태범, "교과서 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2 : 25-27, 1989

      9 Doblin, J.,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2" Plenum Press 98-111, 1980

      10 Song, J., "How Korean students see scientists : The images of the scientist" 21 (21): 957-977, 1999

      11 이기영, "6차와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사진과 삽화의 기능 및 구조 비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8 (28): 811-824, 2007

      12 양찬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제시된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분석" 대한화학회 58 (58): 210-220, 2014

      13 강훈식,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글과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실태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5 (35): 454-468, 2016

      14 이지현,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5 유지연,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대한화학회 56 (56): 509-517,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