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009658
2019
-
373
KCI등재
학술저널
299-316(1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교과서에서 최초로 제시된 캐릭터 삽화를 내용적 측면에서 범주화하고 그 역할과 외형적 측면에서의 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3~6 학년 과학...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교과서에서 최초로 제시된 캐릭터 삽화를 내용적 측면에서 범주화하고 그 역할과 외형적 측면에서의 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3~6 학년 과학교과서의 물질과 에너지, 생명과 지구 영역 그리고 탐구 단원에 제시된 총 271개의 캐릭터 삽화에 포함된 텍스트의 역할을 동기 유발, 학습 활동 안내, 사고 촉진, 자료 제공, 탐구 결과로 범주화하여 학년별, 단원별, 영역별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캐릭터 삽화는 자료 제공 역할이 가장 많았으며 탐구 활동 안내, 동기 유발, 사고 촉진, 탐구 결과 순으로 나타났다. 캐릭터 삽화의 외형적 특성은 사람 형태의 캐릭터 221개 중에 남자 131개, 여자 87개가 제시되었으며, 동물 6개, 사물 38개가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의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교과서에서 그림과 텍스트의 복합적 형태로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분석은 향후 초등과학교과서 개발에서 캐릭터 삽화가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사고 촉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후속 연구 등을 통해 효과적인 캐릭터 삽화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朴始鉉, "한·일 국민학교 자연과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4
2 우종옥, "초등학교 자연교과서 개발 체제 분석 및 평가 연구" 12 (12): 109-128, 1992
3 성승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역할 분석: 2009개정 과학과 4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167-175, 2016
4 노태희, "초등학교 과학 관련 교재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16 (16): 1-9, 1997
5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6 신동희, "양성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 분석" 20 (20): 193-199, 2000
7 하소정, "사회·문화 교과서 발문 연구와 학습자 발문 흥미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정태범, "교과서 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2 : 25-27, 1989
9 Doblin, J.,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2" Plenum Press 98-111, 1980
10 Song, J., "How Korean students see scientists : The images of the scientist" 21 (21): 957-977, 1999
1 朴始鉉, "한·일 국민학교 자연과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4
2 우종옥, "초등학교 자연교과서 개발 체제 분석 및 평가 연구" 12 (12): 109-128, 1992
3 성승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역할 분석: 2009개정 과학과 4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167-175, 2016
4 노태희, "초등학교 과학 관련 교재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16 (16): 1-9, 1997
5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6 신동희, "양성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 분석" 20 (20): 193-199, 2000
7 하소정, "사회·문화 교과서 발문 연구와 학습자 발문 흥미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정태범, "교과서 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2 : 25-27, 1989
9 Doblin, J.,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2" Plenum Press 98-111, 1980
10 Song, J., "How Korean students see scientists : The images of the scientist" 21 (21): 957-977, 1999
11 이기영, "6차와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사진과 삽화의 기능 및 구조 비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8 (28): 811-824, 2007
12 양찬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제시된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분석" 대한화학회 58 (58): 210-220, 2014
13 강훈식,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글과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실태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5 (35): 454-468, 2016
14 이지현,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5 유지연,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대한화학회 56 (56): 509-517, 2012
초등교사의 소명의식과 행복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향상초점의 매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