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안적 소득보장제도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기본소득제도의 도입을 둘러싼 이론적, 현실적 쟁점들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본소득제도에 대해서는 다양한 입장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1677964
2021년
Korean
300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안적 소득보장제도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기본소득제도의 도입을 둘러싼 이론적, 현실적 쟁점들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본소득제도에 대해서는 다양한 입장이 ...
본 연구는 대안적 소득보장제도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기본소득제도의 도입을 둘러싼 이론적, 현실적 쟁점들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본소득제도에 대해서는 다양한 입장이 존재하는 만큼 그 의미와 모형을 구체화하고, 이와 경합하는 다른 대안적 소득보장제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본소득 제도를 정의하는 개념을 명확히 함으로써 제도의 외연을 확정할 수 있었다는 것은 정책적 논의의 중요한 성과이다. 이 연구에서는 그것이 개념의 위계화, 즉 보편성, 무조건성, 현금성, 정기성, 그리고 충분성이란 순서가 중시됨을 확인한 셈이다. 하지만 이러한 잠정적 합의가 개념 간 위계를 결정하는 원칙에 대한 동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공유부와 공화주의적 자유의 원칙과 기본소득을 연계시키는 것은 많은 과제를 남겨둔다. 또한 기본소득이 근거를 두고 있는 공유부 개념은 공유의 대상과 근거, 실현의 방법 등에 대해 많은 논의의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현행소득보장제도와 기본소득제도의 큰 차이를 고려할 때, 그리고 그 사이에 다양한 선택의 여지가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할 때, 각 대안들에 대해 면밀하게 검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