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불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506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TOPIK 수준에 따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불안 양상을 살펴보고 그 구성요인들을 분류하며, 쓰기 불안 구성요인들과 학습자의 개인적 변인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내 대학 부설 어학원, 학부 또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TOPIK 3급 이상 학습자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쓰기 불안을 확연하게 느끼고 있으며, 그중 3급 학습자들의 쓰기 불안이 가장 큰 반면 4급 학습자들의 쓰기 불안이 가장 낮은 걸로 나타났다. (2) 요인 분석 결과 전체 집단에서 ‘쓰기 교실 상황 또는 작문 요청시 느끼는 불안과 회피’, ‘한국어 쓰기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 ‘시간 제약과 평가에 대한 불안’, ‘작문 시 나타나는 심리적 그리고 신체적 긴장’, ‘비웃음에 대한 두려움과 혼란한 생각’과 같은 다섯 가지 쓰기 불안 구성요인이 나타났다. (3) 학습자의 TOPIK 수준에 따라 쓰기 불안의 구성요인에 차이를 보였다. 3급 학습자들은 쓰기불안의 구성요인 2, 3, 4, 5에서, 5급 학습자들은 요인 2, 3에서, 6급 학습자들은 구성요인 3에서 불안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평균값>3.00). (4) 3급 학습자들에게서 학습 기간과 쓰기 불안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학습 기간이 길어질수록 쓰기 불안이 증가함을 보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TOPIK 수준에 따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불안 양상을 살펴보고 그 구성요인들을 분류하며, 쓰기 불안 구성요인들과 학습자의 개인적 변인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

      본 연구는 TOPIK 수준에 따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불안 양상을 살펴보고 그 구성요인들을 분류하며, 쓰기 불안 구성요인들과 학습자의 개인적 변인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내 대학 부설 어학원, 학부 또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TOPIK 3급 이상 학습자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쓰기 불안을 확연하게 느끼고 있으며, 그중 3급 학습자들의 쓰기 불안이 가장 큰 반면 4급 학습자들의 쓰기 불안이 가장 낮은 걸로 나타났다. (2) 요인 분석 결과 전체 집단에서 ‘쓰기 교실 상황 또는 작문 요청시 느끼는 불안과 회피’, ‘한국어 쓰기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 ‘시간 제약과 평가에 대한 불안’, ‘작문 시 나타나는 심리적 그리고 신체적 긴장’, ‘비웃음에 대한 두려움과 혼란한 생각’과 같은 다섯 가지 쓰기 불안 구성요인이 나타났다. (3) 학습자의 TOPIK 수준에 따라 쓰기 불안의 구성요인에 차이를 보였다. 3급 학습자들은 쓰기불안의 구성요인 2, 3, 4, 5에서, 5급 학습자들은 요인 2, 3에서, 6급 학습자들은 구성요인 3에서 불안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평균값>3.00). (4) 3급 학습자들에게서 학습 기간과 쓰기 불안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학습 기간이 길어질수록 쓰기 불안이 증가함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To investigate whether Chinese learners of Korean would feel reading anxiety while writing Korean performance, explore what are the factors of theirs writing anxiety, and to examine whether the factors of writing anxiety would be affected by learner variables such as learning level. This study (n = 130) employed the SLWAI a survey questionnaire, and an interview method to collect data from Chinese students, who were learning Korean in Korea. Based on data analysis with SPSS 21.0, As for the results, this study figure out that (ⅰ) TOPIK 3급 participants would feel a high-level of writing anxiety while Writing in Korean, and very opposite situation was be found in the result of TOPIK 4급 participants. (ⅱ) In this study, 5 factors of writing anxiety were found such constructs as Avoidance Behavior, Evaluation Apprehension, Cognitive anxiety and so on. (ⅲ)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of writing anxiety and learner variables such as learning level, and learning experience. and TOPIK level 3 learners feel more anxiety in all of the factors as learning period increas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To investigate whether Chinese learners of Korean would feel reading anxiety while writing Korean performance, explore what are the factors of theirs writing anxiety, and to examine whether the factors of wri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To investigate whether Chinese learners of Korean would feel reading anxiety while writing Korean performance, explore what are the factors of theirs writing anxiety, and to examine whether the factors of writing anxiety would be affected by learner variables such as learning level. This study (n = 130) employed the SLWAI a survey questionnaire, and an interview method to collect data from Chinese students, who were learning Korean in Korea. Based on data analysis with SPSS 21.0, As for the results, this study figure out that (ⅰ) TOPIK 3급 participants would feel a high-level of writing anxiety while Writing in Korean, and very opposite situation was be found in the result of TOPIK 4급 participants. (ⅱ) In this study, 5 factors of writing anxiety were found such constructs as Avoidance Behavior, Evaluation Apprehension, Cognitive anxiety and so on. (ⅲ)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of writing anxiety and learner variables such as learning level, and learning experience. and TOPIK level 3 learners feel more anxiety in all of the factors as learning period increa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 방법
      • Ⅳ. 결과 분석
      • Ⅴ. 논의 및 교육적 함의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 방법
      • Ⅳ. 결과 분석
      • Ⅴ. 논의 및 교육적 함의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해순, "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불안감 인지-말하기, 듣기, 쓰기 불안감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0 (30): 127-151, 2013

      2 장지혜, "우리나라 EFL 학습자들의 쓰기 불안이 영어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중원언어학회 (30) : 209-228, 2014

      3 신현미, "대화일지 쓰기가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불안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 유성모, "논문작성을 위한 SPSS 통계분석 쉽게 배우기" 황소걸음 아카데미 2013

      5 Daly, J. A., "Writing apprehension, self-esteem, and personality" 17 : 327-341, 1983

      6 Kim, Kyung Ja, "Writing Apprehension and Writing Achievement of Korean EFL College Students" 한국영어교육학회 61 (61): 135-154, 2006

      7 Salem, A. A. M. S., "Writing Anxiety as a Predictor of Writing Self-Efficacy in English for Special Education Arab Learners" 7 (7): 128-134, 2014

      8 Daly, J. A., "The empirical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writing apprehension" 9 (9): 242-249, 1975

      9 Sarkhoush, H, "Relationship among Iranian EFL Learners’Self-efficacy in Writing, Attitude towards Writing, Writing Apprehension and Writing Performance" 4 (4): 1126-1132, 2013

      10 최숙기, "Rasch 평정척도 모형을 이용한 쓰기불안 척도 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87) : 273-301, 2011

      1 장해순, "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불안감 인지-말하기, 듣기, 쓰기 불안감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0 (30): 127-151, 2013

      2 장지혜, "우리나라 EFL 학습자들의 쓰기 불안이 영어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중원언어학회 (30) : 209-228, 2014

      3 신현미, "대화일지 쓰기가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불안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 유성모, "논문작성을 위한 SPSS 통계분석 쉽게 배우기" 황소걸음 아카데미 2013

      5 Daly, J. A., "Writing apprehension, self-esteem, and personality" 17 : 327-341, 1983

      6 Kim, Kyung Ja, "Writing Apprehension and Writing Achievement of Korean EFL College Students" 한국영어교육학회 61 (61): 135-154, 2006

      7 Salem, A. A. M. S., "Writing Anxiety as a Predictor of Writing Self-Efficacy in English for Special Education Arab Learners" 7 (7): 128-134, 2014

      8 Daly, J. A., "The empirical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writing apprehension" 9 (9): 242-249, 1975

      9 Sarkhoush, H, "Relationship among Iranian EFL Learners’Self-efficacy in Writing, Attitude towards Writing, Writing Apprehension and Writing Performance" 4 (4): 1126-1132, 2013

      10 최숙기, "Rasch 평정척도 모형을 이용한 쓰기불안 척도 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87) : 273-301, 2011

      11 Cheng, Y. S., "Language anxiety: Differentiating writing and speaking components" 49 (49): 417-446, 1999

      12 Charney, D., "I’m just no good at writing: Epistemological style and attitudes toward writing" 12 : 298-329, 1995

      13 Horwitz, E. K. .,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70 (70): 125-132, 1986

      14 Lee, S. Y, "Facilitating and inhibiting factors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writing performance: A model testing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55 (55): 335-374, 2005

      15 Woodrow, L, "College English writing affect: Self-efficacy and anxiety" 39 (39): 510-522, 2011

      16 Cheng, Y. S, "A measure of second language writing anxiety:Scale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13 (13): 313-335,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 for Humanities ->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8 0.86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