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한 한국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해체과정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를 통해 국제결혼부부의 이혼의 과정을 분석하고 이혼후의 삶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가족해체에 대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65612
201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한 한국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해체과정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를 통해 국제결혼부부의 이혼의 과정을 분석하고 이혼후의 삶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가족해체에 대한...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한 한국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해체과정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를 통해 국제결혼부부의 이혼의 과정을 분석하고 이혼후의 삶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가족해체에 대한 체계적인 예방과 해체가족의 안정적인 생활을 위한 지원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다문화가족지원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사회통합에 기여하고자 한다. 국제결혼부부의 해체과정과 결과를 분석하고자 할 때 생애사 접근법이 갖는 방법론적 함의는 무엇인가?첫째, 외부인의 관점이 아닌 내부자로서의 이혼한 남성과 여성 각자의 이야기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생애사 접근법에서 시간은 삶에 대한 연구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서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서로 영향을 끼친다고 본다. 경험은 시간적 순서에 따라 단순히 누적되는 것이 아니라 기층경험과의 관련을 통해 변증법적으로 통합되며, 이러한 경험 성층화가 개인의 의식을 형성하는 기반이 된다는 것이다(박재홍, 1999). 따라서 한국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국제결혼 해체의 의미는 그 이전에 어떠한 삶을 살아왔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이혼의 과정은 정적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특징지어지기 보다는 박탈의 복잡한 누적과정에 의해 역동적인 과정에 의해서 특징지어진다는 해석이 이루어지면서 생애사연구가 해체과정을 설명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계획한다.
(1) 문헌연구
질적연구를 위한 개방형질문지의 문항을 구성하고 국제결혼부부의 이혼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시하기 위해 국내외의 서적과 출판물 등을 중심으로 생애사 질적 연구와 국제결혼 경험이 있는 한국남성과 외국인여성의 이혼에 관한 자료들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수집하여 정리․분석한다.
(2) 전문가가 심의회 및 협의회 구성
다문화가족 연구경험자와 질적 연구경험자, 가족복지실천현장 전문가 등을 자문진으로 구성하여 두 차례 이상에 걸친 자문회의를 통하여 한국사회에서 국제결혼후 이혼한 이들의 어려움과 문제점 등의 해결 방향 및 극복내용, 현황 조사 연구의 범위, 활동의 현장적용 가능성 등에 대한 자문을 받는다. 필요하다면 전화나 이메일 등도 활용한다.
(3) 면접 조사
국제결혼후 이혼한 한국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이혼과정과 후의 삶에 대한 결과를 직접 심층면접하여 조사한다.
① 연구참여자
국제결혼후 이혼한 한국남성과 외국인여성을 중심으로 의도적인 유의표집과 눈덩이 표집방법을 하여 각각 개별 심층면접한다.
② 질문 구성
구체적인 질문내용으로는 이혼전 국제결혼 후 가장 큰 위기로 다가온 사건은 무엇인가? 이혼을 결정하게 된 동기는 무엇인가? 이혼을 결정할 당시 심정은 어떠한가? 이혼결정을 할 때 주저하게 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혼후 자신의 삶의 미래에 대한 생각은 어떠하였는가? 현재의 삶속에서 이혼을 후회하는가? 이혼전보다 이혼후 더 만족해 하는가? 만족하지 않는다면, 만족한다면 어떤 점이 그러한가? 이혼전과 후의 가족과 사회에 대한 이들의 욕구는 무엇인가? 이혼후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인가? 오히려 더 나은 점은 무엇인가?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은 지원소재와 내용은 무엇인가? 무엇을 얼마만큼 받았는가? 이혼후 자녀양육부담이나 가족관계의 변화는 어떠한가? 현재의 삶의 동력은 무엇인가? 미래 삶에 대한 희망은 무엇인가? 재혼에 대한 고려는 하고 있는가? 등을 중심으로 면접한다.
③ 자료의 분석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생애사로부터 의미를 찾아나가기 위해 본 연구는 Liebich 등(1998)이 범주화한 4개의 분석방법 중 통합적 내용분석(holistic-content approach)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생애사 연구의 분석적 개념 틀의 필요성을 강조한 Mandelbaum(1973)은 삶의 영역, 전환점, 그리고 적응이라는 세 개념을 기본 틀로 제시할 것이며 결과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자문진의 자문과정을 거쳐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4) 연구결과의 해석 및 논의
이혼의 과정은 결혼관계에서 이혼의도요인의 발생에서부터 이혼후 독립된 생활을 재형성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연구에서 얻은 자료들을 근거로 하여 국제결혼한 부부의 이혼의 과정과 결과를 내부자적 관점에서 사회적 맥락과 누적된 경험을 통해 제시한다.
(5) 보고서 작성 및 발표
서론, 선행연구고찰,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등으로 최종 작성하여 저명 학술지에 결과물을 발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