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산군의 딸 휘순공주(徽順公主)의 혼인과 이혼 = The marriage and divorce of the Younsangun’s daughter, Wheesun Prin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295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Princess Wheesun(휘순공주), the daughter of Younsangun(연산군), married to Gumunkyung(구문경), who was the fourth son of Gusooyoung(구수영) at Younsangun 8th year. Princess Wheesun became the daughter – in –law of the family of Gusooyoung who was the son –in-law of Youngeng prince(영응대군), son of King Sejong(세종). Younsangun not only built a large house where Wheesun Princess could live When she was married but also continued to support the economic benefits. However, the princess was divorced after only five years of marriage because when the Younsangun was abolished by Jungjong coup, the Princess and her husband were also deprived
      Also, all the benefits that were given to the Younsangun were confiscated by the state. Then Gusooyoung demanded the King Jungjong(중종) to cancel his son’s marriage. Wheesun Princess became the only Princess out of her marriage after marriage,
      However, two years after the Princess was kicked out, the prime ministers insisted that their divorce should be reunited because of JungJong coup inevitably. And prime ministers set out the reason that innocent wife or daughter – in –law should not be cast out. The Princess was reunited with him again in two years, and got a house again. She was not easily divorced because of her family affairs, and even if they were divorced, they were reunited again.
      번역하기

      Princess Wheesun(휘순공주), the daughter of Younsangun(연산군), married to Gumunkyung(구문경), who was the fourth son of Gusooyoung(구수영) at Younsangun 8th year. Princess Wheesun became the daughter – in –law of the family of Gusooy...

      Princess Wheesun(휘순공주), the daughter of Younsangun(연산군), married to Gumunkyung(구문경), who was the fourth son of Gusooyoung(구수영) at Younsangun 8th year. Princess Wheesun became the daughter – in –law of the family of Gusooyoung who was the son –in-law of Youngeng prince(영응대군), son of King Sejong(세종). Younsangun not only built a large house where Wheesun Princess could live When she was married but also continued to support the economic benefits. However, the princess was divorced after only five years of marriage because when the Younsangun was abolished by Jungjong coup, the Princess and her husband were also deprived
      Also, all the benefits that were given to the Younsangun were confiscated by the state. Then Gusooyoung demanded the King Jungjong(중종) to cancel his son’s marriage. Wheesun Princess became the only Princess out of her marriage after marriage,
      However, two years after the Princess was kicked out, the prime ministers insisted that their divorce should be reunited because of JungJong coup inevitably. And prime ministers set out the reason that innocent wife or daughter – in –law should not be cast out. The Princess was reunited with him again in two years, and got a house again. She was not easily divorced because of her family affairs, and even if they were divorced, they were reunited agai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연산군의 맏딸 휘순공주(생몰년 미상)는 혼인한 이후 휘신공주로 봉호를 개칭했다. 대략 11살 즈음인 연산군 8년(1502)에 구수영의 아들 구문경과 혼인한 후 1년 정도 더 궁궐에 살다가 출합(出閤) 한 것으로 보인다. 시아버지 구수영은 영응대군의 사위이다. 휘순공주는 당대 왕실과 혼인관계를 구축하고 연산군의 총애를 받으며 출세가도를 달리던 구수영의 며느리가 되었다. 연산군은 휘순공주가 혼인을 하게 되자 규정 이상의 매우 큰 집을 새로 지어주었을 뿐만 아니라 말, 면포, 쌀, 비단, 호초, 노비 등 많은 경제적 혜택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주었다.
      그러나 휘순공주는 혼인한지 불과 5년 만에 이혼을 당하였다.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되자 휘순공주와 구문경은 폐위되어 공주와 부마의 지위를 박탈당하고 서인이 되었다. 또한 연산군 재위 시 받았던 많은 물건과 가사(家舍), 토지, 노비 등도 모두 국가로 몰수되었다. 그러자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공신이 된 구수영은 조정에 연산군과의 절혼(絶婚)을 청하였다. 조선왕실의 공주로서 결혼 후 시집에서 쫓겨난 경우는 휘순공주가 유일하였다.
      그러나 휘순공주의 이혼에 대해 대간과 대신들은 허용하지 않았다. 휘순공주가 쫓겨난 지 2년 뒤에 대간들은 휘순공주와 구문경의 이혼이 중종반정이라는 변란을 만나서 부득이하게 이루어졌던 것이니 이들 부부를 재결합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간들은 ‘출가한 딸은 그 친부 쪽의 죄에 연좌시키지 않는 뜻’을 명분으로 내세워 휘순공주와 구문경의 재결합을 주장하였다. 휘순공주는 2년 만에 다시 구문경과 재결합했고, 집도 다시 얻게 되었다. 공주는 친정의 일로 인해 쉽게 이혼을 당하지 않았고, 이혼을 당했다고 하여도 다시 재결합하였다.
      번역하기

      연산군의 맏딸 휘순공주(생몰년 미상)는 혼인한 이후 휘신공주로 봉호를 개칭했다. 대략 11살 즈음인 연산군 8년(1502)에 구수영의 아들 구문경과 혼인한 후 1년 정도 더 궁궐에 살다가 출합(出...

      연산군의 맏딸 휘순공주(생몰년 미상)는 혼인한 이후 휘신공주로 봉호를 개칭했다. 대략 11살 즈음인 연산군 8년(1502)에 구수영의 아들 구문경과 혼인한 후 1년 정도 더 궁궐에 살다가 출합(出閤) 한 것으로 보인다. 시아버지 구수영은 영응대군의 사위이다. 휘순공주는 당대 왕실과 혼인관계를 구축하고 연산군의 총애를 받으며 출세가도를 달리던 구수영의 며느리가 되었다. 연산군은 휘순공주가 혼인을 하게 되자 규정 이상의 매우 큰 집을 새로 지어주었을 뿐만 아니라 말, 면포, 쌀, 비단, 호초, 노비 등 많은 경제적 혜택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주었다.
      그러나 휘순공주는 혼인한지 불과 5년 만에 이혼을 당하였다.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되자 휘순공주와 구문경은 폐위되어 공주와 부마의 지위를 박탈당하고 서인이 되었다. 또한 연산군 재위 시 받았던 많은 물건과 가사(家舍), 토지, 노비 등도 모두 국가로 몰수되었다. 그러자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공신이 된 구수영은 조정에 연산군과의 절혼(絶婚)을 청하였다. 조선왕실의 공주로서 결혼 후 시집에서 쫓겨난 경우는 휘순공주가 유일하였다.
      그러나 휘순공주의 이혼에 대해 대간과 대신들은 허용하지 않았다. 휘순공주가 쫓겨난 지 2년 뒤에 대간들은 휘순공주와 구문경의 이혼이 중종반정이라는 변란을 만나서 부득이하게 이루어졌던 것이니 이들 부부를 재결합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간들은 ‘출가한 딸은 그 친부 쪽의 죄에 연좌시키지 않는 뜻’을 명분으로 내세워 휘순공주와 구문경의 재결합을 주장하였다. 휘순공주는 2년 만에 다시 구문경과 재결합했고, 집도 다시 얻게 되었다. 공주는 친정의 일로 인해 쉽게 이혼을 당하지 않았고, 이혼을 당했다고 하여도 다시 재결합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민혁, "조선후기 공주와 옹주, 군주의 嘉禮 비교 연구" 온지학회 (33) : 283-318, 2012

      2 한희숙, "조선 초기 대군들의 이혼사례와 처의 지위" 한국여성사학회 (22) : 63-100, 2015

      3 한희숙, "조선 초기 延安李氏 李續 가문의 행적과 동향"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6) : 89-122, 2016

      4 차호연, "조선 초기 公主․翁主의 封爵과 禮遇" 조선시대사학회 (77) : 77-123, 2016

      5 국립고궁박물관, "조선 왕실 공주와 옹주의 생활" 2012년도 국립고궁박물관학술용역 결과 보고서 2012

      6 "經國大典"

      7 "璿源系譜"

      8 "燃藜室記述"

      9 석창진, "朝鮮 前期 綾城 具氏 家門의 展開와 具致寬의 위상" 고려사학회 (69) : 7-36, 2017

      10 "國朝人物考"

      1 임민혁, "조선후기 공주와 옹주, 군주의 嘉禮 비교 연구" 온지학회 (33) : 283-318, 2012

      2 한희숙, "조선 초기 대군들의 이혼사례와 처의 지위" 한국여성사학회 (22) : 63-100, 2015

      3 한희숙, "조선 초기 延安李氏 李續 가문의 행적과 동향"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6) : 89-122, 2016

      4 차호연, "조선 초기 公主․翁主의 封爵과 禮遇" 조선시대사학회 (77) : 77-123, 2016

      5 국립고궁박물관, "조선 왕실 공주와 옹주의 생활" 2012년도 국립고궁박물관학술용역 결과 보고서 2012

      6 "經國大典"

      7 "璿源系譜"

      8 "燃藜室記述"

      9 석창진, "朝鮮 前期 綾城 具氏 家門의 展開와 具致寬의 위상" 고려사학회 (69) : 7-36, 2017

      10 "國朝人物考"

      11 "世祖實錄 ∼ 중종실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52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