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북핵 위협에 대한 확장억지 전략과 미국 핵우산을 활용한 한국의 안보 방향 = Extended Deterrence Strategy for North Korea’s Nuclear Threats and South Korea’s Security Direction using US Nuclear Umbrel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9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20년 1월 청와대 뒷산인 북악산에 패트리어트 포대가 배치됐다. 청와대 인근에 배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여 PAC-2와 PAC-3로 요격하려는 목적으로 경북 성주의 포대를 이전하였으며 배치 시기는 1월 초로 알려졌다. 북한은 지난 2017년 9월 6차 핵실험을 단행하였고 합참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한 해에만 단거리 미사일, 방사포, KN-23,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초대형방사포 등 13차례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확장억지(extended deterrence)란 한 국가가 보유한 억지력을 동맹국을 보호하는 데까지 확대하여 적대국가가 동맹국을 공격하는 것을 억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핵무기를 보유하지 못한 한국의 경우에는 이러한 위협이 더 심각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미국의 핵우산은 필요한 것일까? 확장억지란 무엇이고 북핵에 대한 확장억지가 성공하려면 어떤 조건이 지켜져야할까? 확장억지이론을 현 상황에 적용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 까? 미국의 핵우산이 필요하다면 어떻게 활용을 하여야 한국의 국가안보에 도움이 되는 것일까? 이 질문에 답하고자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갈수록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무기 위협을 해결하기 위해 확장억지 이론과 핵우산에 대하여 살펴보고 미국의 핵우산을 활용하여 갈수록 고도화 정밀화되는 북한의 핵위협에서 한국의 안보를 강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2020년 1월 청와대 뒷산인 북악산에 패트리어트 포대가 배치됐다. 청와대 인근에 배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여 PAC-2와 PAC-3로 요격하려는 목적으로 경북 성주...

      2020년 1월 청와대 뒷산인 북악산에 패트리어트 포대가 배치됐다. 청와대 인근에 배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여 PAC-2와 PAC-3로 요격하려는 목적으로 경북 성주의 포대를 이전하였으며 배치 시기는 1월 초로 알려졌다. 북한은 지난 2017년 9월 6차 핵실험을 단행하였고 합참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한 해에만 단거리 미사일, 방사포, KN-23,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초대형방사포 등 13차례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확장억지(extended deterrence)란 한 국가가 보유한 억지력을 동맹국을 보호하는 데까지 확대하여 적대국가가 동맹국을 공격하는 것을 억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핵무기를 보유하지 못한 한국의 경우에는 이러한 위협이 더 심각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미국의 핵우산은 필요한 것일까? 확장억지란 무엇이고 북핵에 대한 확장억지가 성공하려면 어떤 조건이 지켜져야할까? 확장억지이론을 현 상황에 적용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 까? 미국의 핵우산이 필요하다면 어떻게 활용을 하여야 한국의 국가안보에 도움이 되는 것일까? 이 질문에 답하고자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갈수록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무기 위협을 해결하기 위해 확장억지 이론과 핵우산에 대하여 살펴보고 미국의 핵우산을 활용하여 갈수록 고도화 정밀화되는 북한의 핵위협에서 한국의 안보를 강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January 2020, A patriot battery had been deployed at Bukaksan Mountain, behind Cheong Wa Dae. This is the first time it has been deployed near the Blue House. In response to North Korea s missile threat, PARK-2 and PAC-3 were relocated Gyeongbuk Seongju’s artillery unit. Placement time was known as early January. North Korea conducted the sixth nuclear test in September 2017, and according to data released by the Joint Chiefs of Staff, it launched 13 missiles, including short-range missiles, multiple rocket launcher, KN-23,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s, and super-massive multiple rocket launcher in 2019 alone. Extended deterrence means expanding the deterrence held by a nation to protect its allies and deter hostile nations from attacking them. In the case of Korea, which does not have nuclear weapons, this threat is more serious. Is the US nuclear umbrella necessary to counter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What is extended deterrence and what conditions must be maintained for extended deterrence on North Korea to succeed? What are the consequences of applying extended deterrence theory to the current situation? If US nuclear umbrella is needed, how should it be used to help Korea s national security? I began my research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examines extended deterrence theory and nuclear umbrella to solve North Korea s advanced nuclear weapon threat, and discusses how to use US nuclear umbrella to strengthen security in North Korea s advanced nuclear threat.
      번역하기

      In January 2020, A patriot battery had been deployed at Bukaksan Mountain, behind Cheong Wa Dae. This is the first time it has been deployed near the Blue House. In response to North Korea s missile threat, PARK-2 and PAC-3 were relocated Gyeongbuk Se...

      In January 2020, A patriot battery had been deployed at Bukaksan Mountain, behind Cheong Wa Dae. This is the first time it has been deployed near the Blue House. In response to North Korea s missile threat, PARK-2 and PAC-3 were relocated Gyeongbuk Seongju’s artillery unit. Placement time was known as early January. North Korea conducted the sixth nuclear test in September 2017, and according to data released by the Joint Chiefs of Staff, it launched 13 missiles, including short-range missiles, multiple rocket launcher, KN-23,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s, and super-massive multiple rocket launcher in 2019 alone. Extended deterrence means expanding the deterrence held by a nation to protect its allies and deter hostile nations from attacking them. In the case of Korea, which does not have nuclear weapons, this threat is more serious. Is the US nuclear umbrella necessary to counter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What is extended deterrence and what conditions must be maintained for extended deterrence on North Korea to succeed? What are the consequences of applying extended deterrence theory to the current situation? If US nuclear umbrella is needed, how should it be used to help Korea s national security? I began my research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examines extended deterrence theory and nuclear umbrella to solve North Korea s advanced nuclear weapon threat, and discusses how to use US nuclear umbrella to strengthen security in North Korea s advanced nuclear threa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이론적 검토: 확장억지와 확장억지 이론의 적용 3. 핵우산의 3가지 측면 분석 4. 북한의 위협에 대비한 미국의 핵우산 활용 전략 5. 결론 참고문헌
      • 1. 서론 2. 이론적 검토: 확장억지와 확장억지 이론의 적용 3. 핵우산의 3가지 측면 분석 4. 북한의 위협에 대비한 미국의 핵우산 활용 전략 5.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서항, "핵확산 금지조약(NPT)연장의 법적 쟁점과 전망" 15 (15): 1995

      2 김성철, "핵연구 관점에서 본 북핵과 비핵화" 통일평화연구원 11 (11): 79-118, 2019

      3 이수석, "핵비확산체제와 중견국가의 역할" 동서문제연구원 21 (21): 81-108, 2009

      4 이용호, "핵무기비확산조약(Non-Proliferation Treaty)과 미국의 핵정책" 대한국제법학회 51 (51): 83-105, 2006

      5 이장희, "핵무기비확산조약(NPT) 체제의 분석과 국제법적 평가" 법학연구원 (50) : 169-201, 2008

      6 장노순, "합리적 억지이론의 한계 : 정보전을 중심으로" 41 : 2001

      7 정진아, "한일협정 후 한국 지식인의 일본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33) : 91-124, 2011

      8 장원준, "한일 방위산업 비교분석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2018

      9 서재진, "한반도 냉전의 종언을 향하여: 10·3 핵 합의와 2007 남북정상선언의 의미" 통일연구원 2007

      10 김재엽, "한반도 군사안보와 핵(核)전략: 북한 핵무장 위협에의 대응을 중심으로"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9 (59): 27-55, 2016

      1 이서항, "핵확산 금지조약(NPT)연장의 법적 쟁점과 전망" 15 (15): 1995

      2 김성철, "핵연구 관점에서 본 북핵과 비핵화" 통일평화연구원 11 (11): 79-118, 2019

      3 이수석, "핵비확산체제와 중견국가의 역할" 동서문제연구원 21 (21): 81-108, 2009

      4 이용호, "핵무기비확산조약(Non-Proliferation Treaty)과 미국의 핵정책" 대한국제법학회 51 (51): 83-105, 2006

      5 이장희, "핵무기비확산조약(NPT) 체제의 분석과 국제법적 평가" 법학연구원 (50) : 169-201, 2008

      6 장노순, "합리적 억지이론의 한계 : 정보전을 중심으로" 41 : 2001

      7 정진아, "한일협정 후 한국 지식인의 일본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33) : 91-124, 2011

      8 장원준, "한일 방위산업 비교분석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2018

      9 서재진, "한반도 냉전의 종언을 향하여: 10·3 핵 합의와 2007 남북정상선언의 의미" 통일연구원 2007

      10 김재엽, "한반도 군사안보와 핵(核)전략: 북한 핵무장 위협에의 대응을 중심으로"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9 (59): 27-55, 2016

      11 손경호, "한미동맹의 역사 -동맹이론을 통해 본 한미동맹의 역할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17 (17): 39-64, 2013

      12 Roland B. Wilson, "한미동맹에 대한 이해- 전략적 소통의 재구축 및 활용에 대한 필요성" (99) : 2019

      13 이종섭, "한미동맹 발전을 위한 구상" 한국군사학회 98 : 2019

      14 "한국일보 2020년 1월 7일 1면"

      15 이준구, "한국의 연합국방 전략선택과 방위산업발전사 분석"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9 : 147-197, 2017

      16 민성기, "한국의 방위산업" 도서출판 문원 1996

      17 길병옥, "한국의 방산수출 활성화를 위한 지원제도 개선방안 -민군기술협력 제도개선과 방산소출 협업체계 구축을 중심으로-" 한국방위산업학회 26 (26): 1-16, 2019

      18 박휘락, "한국 핵억제전략의 보완: 핵민방위(核民防衛)의 포함 여부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20 (20): 41-70, 2014

      19 "통일부 북한정보포털"

      20 "조선중앙통신 2013년 3월 31일"

      21 현인택, "제2기 부시 행정부 하의 북한 핵문제의 미래"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1 (11): 7-32, 2004

      22 한국방위산업진흥회, "전술 탄도탄을 직접 요격하는 패트리어트-3 대공방어미사일체계"

      23 성황용, "일본의 외교정책과 군사전략" (142) : 1975

      24 손한별, "억제 효과 논쟁: 핵 억제와 재래식억제" 한국방위산업진흥회 (473) : 2018

      25 김지용, "야당의 의회 장악력, 지도자의 재임시점 그리고 청중비용: 2016-2022년 동안의 미국 행정부의 군사위협 신뢰성 예측"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62 (62): 63-92, 2019

      26 현인택, "안전보장을 통한 비핵화 : 한계와가능성"

      27 박정민, "북핵문제와 남북러 삼각 에너지협력" 극동문제연구소 24 (24): 43-72, 2008

      28 Selig S. Harrisoon, "북핵 협상 전망과 가스운송관" 30 (30): 2002

      29 정성윤, "북핵 문제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전략" 2017

      30 박창권, "북한의 핵운용전략과 한국의 대북 핵억제전략" 한국국방연구원 30 (30): 155-196, 2014

      31 전성훈, "북한의 ‘비핵화 국가전략’과 韓美의 ‘비핵화 외교’ :북핵 장기화에 대비한 중장기 국가전략의 필요성" 세종연구소 25 (25): 91-120, 2019

      32 윤태영,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압박·관여 전략과 한국의 대응방향" 국방안보연구소 3 (3): 41-53, 2019

      33 박영준, "북한 핵 문제와 한일 안보 협력방안" 13 (13): 2013

      34 전성훈, "북한 비핵화와 핵우산 강화를 위한 이중경로정책" 세종연구소 16 (16): 61-88, 2010

      35 임수호, "북한 3차 핵실험 이후 동북아정세와 남북관계"

      36 김승수, "방위산업의 국제경쟁력에 관한 연구" 11 (11): 2010

      37 설인효, "미국의 핵전략과 맞춤형 확장억제정책의 이해"

      38 정성화, "미국의 핵전략과 군수산업 및 군사과학의 발전" 명지사학회 10 : 10-, 1999

      39 이상현, "미국의 아태 확장억지 정책과 한국 안보"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6 (56): 1-22, 2013

      40 이근수, "미국의 대한국 핵우산 정책의 실효성 평가와 우리의 대 주변국 핵 정책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1999

      41 박원곤, "미국의 대한국 핵우산 정책 분석 및 평가" 한국국방연구원 23 (23): 35-62, 2007

      42 전호훤, "미국의 대한(對韓) 핵우산 공약에 대한 역사적 조명" 한국국방연구원 24 (24): 29-57, 2008

      43 전성훈, "미국에 대한 핵우산 정책에 관한연구" 통일연구원 2012

      44 고상두, "러시아 외교정책의 국내적 결정요인: 제 3 차 북핵 실험을 중심으로"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6 (56): 55-79, 2013

      45 전봉근, "동북아 핵전략 경쟁과 한국 안보"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6

      46 현인택, "동맹과 확장억지: 유럽의 경험과한반도에의 함의" 2009

      47 "뉴스1 2019년 10월 5일"

      48 박휘락, "남북 핵균형을 위한 미 핵무기 전진배치 방안 분석" 한국정치정보학회 22 (22): 123-148, 2019

      49 김성우, "나라사랑교육의 활성화 방안 - 부사관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국방안보연구소 1 (1): 23-32, 2017

      50 이근욱, "국제체제의 안정성과 새로운 핵보유 국가의 등장: 21세기의 핵확산 논쟁" 사회과학연구소 15 (15): 280-309, 2007

      51 정옥임, "국제레짐의 한계과 패권: 미 부시 행정부의 핵 비확산 정책" 국제학연구소 15 (15): 27-52, 2006

      52 "국방부 국방정책 홈페이지"

      53 "https://nkinfo.unikorea.go.kr/nkp/overview/nkOverview.do?sumryMenuId=MENU_17"

      54 "http://www.mnd.go.kr/user/boardList.action?command=view&page=1&boardId=I_43915&boardSeq=I_5231291&titleId=&siteId=mnd&id=mnd_010704010000"

      55 "http://www.mnd.go.kr/user/boardList.action?command=view&page=1&boardId=I_43915&boardSeq=I_3877973&titleId=&siteId=mnd&id=mnd_010704010000"

      56 Steven Pifer, "U.S. Nuclear and Extended Deterrence: Considerations and Challenges" Brookings Institute 2009

      57 에반스 리비어, "Time for ‘Plan B’: The Denuclearization Illusion, the U.S.-ROK Alliance, and the DPRK’s Strategic Game Plan"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4 (4): 29-65, 2019

      58 Thomas C. Schelling, "The Diplomacy of Violence" Yale University Press 1966

      59 Brodie, Bernard, "The Anatomy of Deterrence" as found in Strategy in the Missile 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9

      60 Bernard Brodie, "The Absolute Weapon:Atomic Power and World Order" Bace and Company 1946

      61 John Lewis Gaddis, "Strategies of Containment: A Critical Appraisal of American National Security Policy during the Cold Wa"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62 Glenn H. Snyder, "Security Dilemma in Alliance Politics" Princet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and Regional Studies 36 (36): 1984

      63 John Mueller·Karl Mueller, "Sanctions of Mass Destruction" 78 (78): 1999

      64 "National Security Strategy Archive, National Security Strategy"

      65 U.S. Department of Defense, "National Defense Strategy"

      66 황영채, "NPT와 한반도의 비핵화 문제" 1 (1): 1994

      67 이호령, "NPT 체제하에서 자위적 핵 주권, 가능한가?"

      68 Janne E. Nolan, "Military Industry in taiwan and south korea" St. Martins Press 1986

      69 O’Neil, Andrew, "Extended nuclear deterrence in East Asia: redundant or resurgent?" 87 : 6-, 2011

      70 Bruce Martin Russett, "Extended Deterrence with Nuclear Weapons: How Necessary, How Acceptable?" 50 (50): 1988

      71 James Everett Katz, "Arms production in Developing Countries" Lexington Books 1984

      72 조한승, "21세기 안보환경의 변화와 핵억지 전략의 문제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12 (12): 51-81, 2007

      73 김준석, "21세기 미국 유럽 동맹 관계의변환" 2009

      74 최정일, "2030세대의 통일관과 안보의식" 국방안보연구소 3 (3): 11-18, 2019

      75 국방부, "2018 국방백서"

      76 민병원, "1970년대 후반 한국의 안보위기와 핵개발정책이중적 핵정책에 관한 반(反)사실적 분석"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6 (26): 127-166,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