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은 헌법을 수호하고 실현하는 것을 제일의 목적으로 삼고 있어서 궁극적으로 입헌주의와 헌법국가를 실현하고 헌법의 규범력과 실효성을 보장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헌법재판은 헌법을 수호하고 실현하는 것을 제일의 목적으로 삼고 있어서 궁극적으로 입헌주의와 헌법국가를 실현하고 헌법의 규범력과 실효성을 보장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
헌법재판은 헌법을 수호하고 실현하는 것을 제일의 목적으로 삼고 있어서 궁극적으로 입헌주의와 헌법국가를 실현하고 헌법의 규범력과 실효성을 보장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헌법국가에서는 국가권력이 헌법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에 방치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게 되고 국가권력은 헌법에 기속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당해 역할을 헌법재판이 수행하기 때문에 헌법재판은 현재 대부분의 국가들이 채용․운영하고 있다.
헌법재판의 그와 같은 지위와 역할을 고려하면 국제적인 차원에서 헌법재판제도가 상정하는 것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하지만 유럽연합은 일반 국제기구의 면모를 상당 정도 극복하고 있으며 실제로 적지 않은 측면에서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특징을 보이게 됨에 따라 과연 유럽연합은 헌법재판제도를 보유하고 있는 지에 대한 의문이 든다. 실제로 유럽연합은 국제기구와는 달리 회원국에 독립하여 자신의 방식으로 통합의 방향을 정하고 통합의 장애를 극복하고 있다는 실체, 다시 말해 전례를 찾아 볼 수 없는 고유한 실체(sui generis entity)라는 평가가 설득력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의 전유물이라고 할 수 있는 헌법재판제도의 유럽연합 보유 여부에 대한 고찰은 유럽연합의 정체성에 대한 평가와 나아가 유럽연합의 통합방향에 있어서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적절한 좌표를 제공해 줄 것이기 때문에 당해 고찰은 유의미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헌법재판제도의 범주 특히 헌법재판제도의 대표격이라고 할 수 있는 위헌법률심판제도, 헌법소원제도, 위헌정당해산제도, 권한쟁의심판제도, 탄핵제도 등을 중심으로 고찰을 하면 유럽연합은 통합에 필수적인 사항인 유럽연합법 우위의 원칙을 관철시키기 위하여 규범통제제도를 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타냐 크라일 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당해 시도는 성공적이다. 하지만 다른 헌법재판제도의 경우에는 국가가 수행하는 것만큼의 운영을 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물론 유럽연합의 현 정체성을 현시해주는 사항이라고 생각된다. 회원국과의 관계에서 주도권을 보유하지 못한 유럽연합으로서는 헌법재판제도와 같은 통상적인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제도를 아직 보유할 수는 없으며 간접적인 방식으로나마 이를 보유․�운영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향후 유럽연합이 그 통합의 정도를 강화하면 할수록 자신의 헌법재판제도를 강화하고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어렵지 않게 예상해볼 수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회원국과 아직까지도 긴장상황을 유지하고 있는 유럽연합으로서는 그와 같은 외부의 제도를 당분간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 또한 자신의 법규범의 실효성과 통합의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한 유럽연합 차원의 헌법재판제도의 필요성을 간접적으로 현시하고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ystem of judicial review(norm regulation) means that the judicial department has the power and authority to review whether a lower-level legislation is compatible with the Constitution and to refuse to enforce or implement governmental acts shoul...
The system of judicial review(norm regulation) means that the judicial department has the power and authority to review whether a lower-level legislation is compatible with the Constitution and to refuse to enforce or implement governmental acts should the court hold it unconstitutional. What is more, the courts are capable of invalidating the acts that are in conflict with the Constitution. The system of judicial review is indispensible to a federal state, as it is necessary for the judicial enforceability of constitutional norms and it is a duty of the judicial branch to declare what the law is. Furthermore, the system is required, since it is the very obligation for courts to enforce and implement the Constitution and to disregard and invalidate the statutes inferior thereto conflict with the Constitution. Thus most States are possessed of the system of judicial review i.e. the system of norm regulation as the representative system of the consitutional adjudication. By the way, we are able to expect that European Union is equipped with the consitutional adjudication similar to that of states on the ground of the fact that European Union is evaluated as the sui generis entity unlike general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fact, Prof. Paul Craig's argument as follows enhances our expectation that EU is possessed of the consitutional adjudication.
These changes evidence the evolution of a Community judicial hierarchy in which the ECJ sits at the apex, as the ultimate Constitutional Court for the Community, assisted by national
courts, which apply and interpret Community law.
Substantially, European Union secures the system of norm regulation through the preliminary reference procedure and the system of judicial review under the Lisbon Treaty Article 263 and Article 267. In particular, European Union makes avail of the former system for the sake of norm regulation such as the Tanja Kreil case.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current procedure of preliminary rulings is exactly correspondent to the system of judicial review of a state on the ground that the role of preliminary rulings procedure is not identical to the system of judicial review of a state due to the fact that most domestic courts in the member states of EU do not accept the view of the ECJ as regards the principle of supremacy of EU Law and do not admit the authority of ECJ. Nonetheless, we cannot deny the fact there is a cooperation between ECJ and state courts in the process of European Union System such as the preliminary procedure and the system of judicial review with ease. Therefore, we can reach the conclusion that European Union manages to administer incomplet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to some extent comparing with that of states. Of course European Union focuses on the system of norm regulation through the preliminary reference procedure with a view to securing the uniformity of legal order which is essential to the continual integration. In conclusion, it is highly likely that European Union will have complet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ystem corresponding to that of a state in the future by reinforcing its own ident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토마스 오퍼만, "확대되고 있는 ‘대 유럽연합’에서의 EU법의 효력"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46 (46): 2005
2 마우로 카펠레티, "현대헌법재판론" 박영사 1989
3 고경호, "헌법학원론" 법영사 2006
4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09
5 성낙인, "헌법학 제11판(개정판)" 법문사 1232-, 2011
6 김명수, "헌법재판의 기능과 권력분립" 1 (1):
7 허완중, "헌법재판소의 지위와 민주적 정당성" 법학연구원 (55) : 1-37, 2009
8 권영설, "헌법이론과 헌법담론" 법문사 2006
9 정종섭, "헌법연구 4" 박영사 2003
10 정종섭, "헌법소송법" 박영사 2008
1 토마스 오퍼만, "확대되고 있는 ‘대 유럽연합’에서의 EU법의 효력"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46 (46): 2005
2 마우로 카펠레티, "현대헌법재판론" 박영사 1989
3 고경호, "헌법학원론" 법영사 2006
4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09
5 성낙인, "헌법학 제11판(개정판)" 법문사 1232-, 2011
6 김명수, "헌법재판의 기능과 권력분립" 1 (1):
7 허완중, "헌법재판소의 지위와 민주적 정당성" 법학연구원 (55) : 1-37, 2009
8 권영설, "헌법이론과 헌법담론" 법문사 2006
9 정종섭, "헌법연구 4" 박영사 2003
10 정종섭, "헌법소송법" 박영사 2008
11 김경제, "한국의 헌법재판제도" 한국비교공법학회 7 (7): 149-176, 2006
12 박인수, "프랑스의 유럽헌법안 수용과 변화"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2 (12): 17-34, 2006
13 김형남, "캐나다 연방대법원의 사법심사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공법학회 7 (7): 211-226, 2006
14 박인수, "주요 국가별 헌법재판제도의 비교분석과 시사점 ―미국형 사법심사와 유럽형 헌법재판을 중심으로―" 헌법재판소 21 : 2010
15 성선제, "조약의 사법심사 - 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0 (20): 3-36, 2009
16 김종철, "전환기의 영국헌법과 민주주의" 28 (28): 2000
17 박인수, "유럽헌법상의 권력분립 원칙, In 유럽헌법의 기본원리"
18 김승민, "유럽헌법 부결과 프랑스 여론" 한국프랑스학회 54 : 297-318, 2006
19 신옥주, "유럽재판소 판결의 독일 국내적 효력(제출용) ― 독일기본법 제12조a (4)의 여성 집총병역금지에 대한 유럽재판소 판례를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36 (36): 115-143, 2008
20 김용훈, "유럽연합의 규범통제제도 ― 선결적 부탁절차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1
21 제러미 리프킨, "유러피언 드림" 민음사 2005
22 김성원, "영국의 사법심사제도의 동향" 24 (24):
23 임종훈, "영국에서의 인권법 시행과 의회주권원칙의 변화"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1 (11): 119-136, 2005
24 정인섭, "신 국제법강의" 박영사 2010
25 강승식, "사법심사의 정당성 논란에 대한 관견" 법학연구소 (50) : 1-31, 2011
26 김상겸, "법과 정치관계에 있어서 헌법재판" (1) :
27 윤명선, "미국헌법과 통치구조" 유스북 2006
28 김선화, "미국 연방의회의 사법관할 제한입법의 헌법상 문제" 한국공법학회 36 (36): 127-152, 2007
29 채형복, "리스본 조약" 국제환경규제 기업지원센터 2010
30 장영수, "규범통제의 본질에 비추어 본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역할" 법학연구원 (55) : 39-71, 2009
31 최태현, "국제적 법치주의의 본질과 기능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43) : 391-425, 2009
32 이병조, "국제법 신강, 제8개정판" 일조각
33 김준석, "국가연합(confederation)의 역사적 재조명:미국, 독일, 네덜란드 그리고 유럽연합" 한국국제정치학회 48 (48): 143-169, 2008
34 김도협, "憲法裁判制度에 관한 一 考察" 한국법학회 (17) : 1-19, 2004
35 Mayer, Franz C., "Verfassungsgerichtsbarkeit, In Europäisches Verfassungsrecht" Springer 2009
36 Agresto, "The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Democracy" Cornell University Press 1984
37 Bradley, Anthony, "The Sovereignty of Parliament- Form or Substance?, In The Changing Constit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38 Bickel, Alexander, "The Least Dangerous Branch" 1962
39 Lavranos, Nikolaos, "The Interface between European and National Procedural Law: UN Sanctions and Judicial Review, In Interface between EU Law and National Law" Europa Law Publishing 2007
40 Neil Nugent, "The Government and Politics of the European Union" Duke University Press 2003
41 Hartley, Trevor C., "The Foundations of European Community Law" Oxford University 2007
42 Rosas, Allan, "The European Union and International Dispute Settlement,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international dispute settlement: trends and prospects" Transnational Publishers 2002
43 Arnull, Anthony,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44 Neville, Brown L.,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Communities" Sweet & Maxwell 1994
45 Wallace, Helen, "The Council: An Institutional Chameleon" 15 (15): 2002
46 Lindseth, Peter L, "The Contradictions of Supernationalism: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Constitutional Settlement of Administrative Governance, 1920s-1980s" Columbia University 2002
47 Weiler, Joseph H. H., "The Constitution of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48 Monahan, Patrick, "The Charter, Federalism and the Supreme Court of Canada" Carswell 1987
49 Raz, Joseph, "The Authority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50 Kapteyn, Paul, "Reflections on the Future of the Judicial System of the European Union after Nice" 20 : 2001
51 Neil Macormick, "Questioning Sovereignty: Law, State, and Nation in the European Commonwealth"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52 Voßkuhle, Andreas, "Multilevel Cooperation of the European Constitutional Courts Der Europäische Verfassungsgerichtsverbund" 6 : 2010
53 Curtin, Deirdre, "Making a Political Constitution for the European Union" 8 : 2006
54 Øhrgaard, Jacob C., "Less than Supernational More than Intergovernmental: European Political Cooperation and the Dynamics of Intergovernmental Integration" 26 (26): 1997
55 Lavranos, Nikolaos, "Legal Interaction Between Decisio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European Law" Europa Law Publishing Groningen 2004
56 Weatherill, Stephen, "Law and Integration in the European Union" Clarendon Press
57 Türk, Alexander H., "Judicial Review in EU Law" Edward Elgar Publishing 2009
58 Grimm, Dieter, "Integration by Constitution" 3 (3): 2005
59 Milward, Alan S., "Independence or Integration? A National Choice, In The Frontier of National Sovereignty: History and Theory, 1945-1992"
60 Limbach, Juta, "Globalization of Constitutional Law through Interactions of Judges" Verfassung und Recht in Übersee 2008
61 Häberle, P., "Funktion und Bedeutung der Verfassungsgerichte in vergleichender Pespektive" Europäische Grundrechte- Zeitschrift 2005
62 Mancini , F., "From CILFIT to ERT: The Constitutional Change Facing the European Court" 11 : 1991
63 Dinan, Desmond, "Ever Closer Union: An Introduction to European Integration, 2nd ed" Lynne Riener Publisher 1999
64 Häberle, P., "Europäische Verfassungslehre" Nomos 2009
65 Horspool, Margot, "European Union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66 Triepel, Wesen, "Entwicklung der Staatsgerichtbarkeit" VVDStRL 5-, 1929
67 이성덕, "EU의 분쟁해결제도, In EU법 강의" 박영사 2010
68 김대순, "EU법론" 삼영사 1998
69 이주윤, "EU 주요 기관의 기능과 역할, In EU법 강의" 박영사 2010
70 Craig, Paul, "EU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71 Rosas, Allan, "EU Constitutional Law" Hart Publishing 2010
72 Grimm, Dieter, "Does Europe need a Constitution" 1995
73 Majone, Giandomenico, "Dilemmas of European Integration" Oxford University 2005
74 Heideking, Jürgen, "Der Symbolische Stellenwert der Vsrfassung in der politischen Tradition der USA, , In Konsens durch Verfassung" Dunker & Humbolt
75 Stern, Klaus, "Das Staatsrecht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Bd. Ⅱ" München 1980
76 Schlaich, Kalus, "Das Bundesverfassungsgericht, 4. Aufl" München 1997
77 Christiansen, Thomas, "Constitutionalizing The European Union" Palgrave Macmillan 2009
78 Chemerinsky, Erwin, "Constitutional Law(Principles and Policies)" ASPEN 2006
79 Magnet, Joseph Eliot, "Constitutional Law of Canada" Juriliber Limited 2001
80 Bürca Gäinne De, "Constitutional Change in EU-From Uniformity to Flexibility?" Hart Publishing 2000
81 Chalmers, Damian, "Christos Hadjiemmanuil, Giorgio Monti & Adams Tomkins, European Union Law―Text and Materi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82 Robbers, Gerhard, "Bundesversfassungsgerichtsgesetz, 2. Aufl" Hedelberg 2005
83 Lipset, Seymour Martin, "American Exceptionalism: A Duoble-edged Sword" W.W.Norteon 1997
84 Moore, M., "A Natural Law Theory of Interpretation" 58 : 1985
85 김대순, "2007년 EU 리스본조약의 개관" 대한국제법학회 53 (53): 145-167, 2008
제대군인 가산점제도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법률과 판례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7 | 0.57 | 0.693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