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주관적 건강상태 및 정신건강변수와 건강정보이해력 및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factors affecting self-perception of psycho-social aging for older adults: focused on perceived health status, mental health, health literacy, and mental health liter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500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정신건강(우울), 그리고 건강정보이해력 및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이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향후 이들의 노후에 주는 ...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정신건강(우울), 그리고 건강정보이해력 및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이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향후 이들의 노후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역량강화 지원사업의 ``연령주의 및 연령통합에 대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400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들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건강변수인 우울이 높고, 건강정보이해력과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이 다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이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건강정보이해력은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긍정적인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ㆍ실천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 to improve older people`s life satisfaction from identifying factors, which were derived from exploring several variables (perceived health, mental health, health literacy, and mental health literacy), affect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 to improve older people`s life satisfaction from identifying factors, which were derived from exploring several variables (perceived health, mental health, health literacy, and mental health literacy), affecting perception on ageing positively and negatively. This study used data (400 people age 65 and over) from survey on ageism and age integration conducted by ``supporting project of enhancing humanities and social capacity``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ed; 1) older people negatively perceived psycho-social ageing; 2) older people had high level of depression; 3) showing slightly low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mental health literacy; 4) depression, perceived health and mental health literacy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e on perceived psycho-social aging. With these results, the ways were suggested to improve positive psycho-social ageing and quality of lif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두섭, "회귀분석 : 기초와 응용" 나남 2008

      2 이영태, "환자의 특성에 따른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functional health literacy)과 의료인의 설명이해도" 한국보건사회학회 (32) : 145-171, 2012

      3 통계청, "행정구역(읍면동)별/5세별 주민등록인구"

      4 정인과, "한국형 노인우울검사 표준화연구" 1 (1): 61-72, 1997

      5 신서연, "한국어판 단축형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들의 타당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6 이선혜, "한국 성인의 정신건강역량 : 우울증과 정신분열병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127-158, 2010

      7 이태화, "한국 노인의 건강 문해(Health Literacy)실태와 영향 요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8 (28): 847-863, 2008

      8 백경신, "지역사회거주 노인 고혈압 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자가 간호 행위이행에 미치는 영향"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161-178, 2015

      9 김형용, "지역사회 건강불평등에 대한 고찰 - 사회자본 맥락효과에 대한 해석" 한국사회학회 44 (44): 59-92, 2010

      10 백혜원, "지역사회 거주노인에서 주관적인 성공적 노화의 예측인자 :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을 중심으로"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 (19): 171-178, 2013

      1 김두섭, "회귀분석 : 기초와 응용" 나남 2008

      2 이영태, "환자의 특성에 따른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functional health literacy)과 의료인의 설명이해도" 한국보건사회학회 (32) : 145-171, 2012

      3 통계청, "행정구역(읍면동)별/5세별 주민등록인구"

      4 정인과, "한국형 노인우울검사 표준화연구" 1 (1): 61-72, 1997

      5 신서연, "한국어판 단축형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들의 타당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6 이선혜, "한국 성인의 정신건강역량 : 우울증과 정신분열병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127-158, 2010

      7 이태화, "한국 노인의 건강 문해(Health Literacy)실태와 영향 요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8 (28): 847-863, 2008

      8 백경신, "지역사회거주 노인 고혈압 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자가 간호 행위이행에 미치는 영향"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161-178, 2015

      9 김형용, "지역사회 건강불평등에 대한 고찰 - 사회자본 맥락효과에 대한 해석" 한국사회학회 44 (44): 59-92, 2010

      10 백혜원, "지역사회 거주노인에서 주관적인 성공적 노화의 예측인자 :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을 중심으로"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 (19): 171-178, 2013

      11 박현주,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언어적,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 4 (4): 49-58, 2014

      12 정순둘, "중장년층·노년층의 노화인식과 세대간 결속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9 (19): 25-42, 2014

      13 이미진, "중노년층의 본인의 노화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잠재성장모델을 이용한 패널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101-124, 2012

      14 전상남, "주관적 건강 및 노인차별경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9 (29): 1383-1396, 2009

      15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16 남기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한 노인의 활동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0) : 303-328, 2006

      17 민경진, "일부지역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18 (18): 1-26, 2001

      18 최순옥, "일부 지역 성인의 노후불안" 한국노년학회 28 (28): 19-32, 2008

      19 신영희, "일 도시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회 29 (29): 1327-1340, 2009

      20 이윤진, "은퇴자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제적 노후준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4 (24): 35-59, 2013

      21 강상경, "우울이 자살을 예측하는가? : 우울과 자살태도 관계의 성별·연령 차이"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67-100, 2010

      22 홍현숙, "우리나라 일반성인의 정신건강지식실태조사" 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보건교육연구센터 1-255, 2008

      23 오영희, "우리나라 노인의 객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건강인식의 관련성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5

      24 윤지용, "요양보호사의 노화사실 인지정도가 수급자의 태도에 미치는영향" 20 (20): 89-106, 2011

      25 남기민,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2) : 325-348, 2011

      26 박경은, "여성노인의 우울, 죽음불안, 삶의 질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 27 (27): 527-538, 2013

      27 조건상, "아쿠아로빅 참여 여성노인의 여가몰입과 주관적 건강인지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운동재활학회 8 (8): 37-48, 2012

      28 최성재, "수도권 지역 중년기 이후 세대의 노후생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 한국노년학회 29 (29): 329-352, 2009

      29 배문조, "성인들의 노화사실인지에 따른 노후준비의식과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한국노인복지학회 (58) : 111-132, 2012

      30 김고은, "성인 지적장애인을 돌보는 노년기 어머니의 돌봄만족감"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0

      31 홍현방, "성공적인 노화 개념정의를 위한 문헌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2 전보영,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생산적 활동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33 송인한, "사회경제적 박탈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시민적 낙관의 매개효과" 서울연구원 12 (12): 33-51, 2011

      34 이윤경, "비노인층이 갖는 노인 이미지 연구" 30 (30): 1-22, 2007

      35 김미령, "노후연령인식 여부에 따른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 차이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227-245, 2013

      36 홍현방, "노인이 인식하는 노인이미지 탐색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4) : 327-344, 2009

      37 정순둘, "노인이 인식하는 고령친화도시 조성정도가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주민참여환경, 주거환경, 복지 및 의료환경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9-46, 2015

      38 김수현, "노인의기능적의료정보이해능력이지각된건강상태에미치는영향" 한국간호과학회 38 (38): 195-203, 2008

      39 남연희, "노인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6 (16): 145-162, 2011

      40 권중돈, "노인의 자기인식과 차별경험이 노인의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49) : 81-106, 2010

      41 김수현, "노인의 자가 보고에 따른 의료정보 이해 및 활용수준" 한국노년학회 30 (30): 1281-1292, 2010

      42 민경진,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6) : 223-248, 2007

      43 박영숙,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4 (24): 22-29, 1999

      44 박상연, "노인의 역할활동과 자아존중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 15 (15): 43-50, 2013

      45 오현조, "노인의 성생활이 노화인지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 (3): 73-95, 2013

      46 조유향, "노인의 노화인지 정도와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와의 관계" 2 (2): 72-84, 2000

      47 정정희,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 관련 위험인식과 건강행위"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5 (25): 65-73, 2014

      48 정경희,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49 김희경,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 한국노년학회 32 (32): 819-834, 2012

      50 박명숙, "긍정적인 노화와 영적건강을 위한 음악치료" 한국성인교육학회 8 (8): 69-82, 2005

      51 Schwartzberg, J. G., "건강정보이해능력: 의학과 공중보건학적 함의" 아카데미프레스 2010

      52 Montepare, J. M., "You're only as old as you feel : Self-perceptions of age, fears of aging, and life satisfaction from adolescence to old age" 4 : 73-78, 1989

      53 Woodford, L., "Well-being in parents in adults with development diabilities" Queen's University 1998

      54 Bernhardt, J. M., "Understanding health literacy: Implications for medicine and public health" 3-16, 2005

      55 Hubley, A., "The relationship of personality trait variables to subjective age identity in older adults" 16 (16): 415-439, 1994

      56 Schoevers, R. A., "The natural history of late-life depression : results from the Amsterdam Study of the Elderly(AMSTEL)" 76 (76): 5-14, 2003

      57 Heine, C., "The communication and psychosocial perceptions of older adults with sensory loss : a qualitative study" 24 (24): 113-130, 2004

      58 Baltes, P. B.,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1-34, 1990

      59 Vaillant, G. E., "Successful aging" 158 (158): 839-847, 2001

      60 Goldsmith, R. E., "Subjective age : A test of five hypotheses" 32 (32): 312-317, 1992

      61 Scholl, J. M., "Stereotypes, stereotype threat and ageing : implications for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28 (28): 103-130, 2008

      62 Levy, B., "Stereotype embodiment a psychosocial approach to aging" 18 (18): 332-336, 2009

      63 Atchley, R. C., "Social forces and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Wadsworth 1994

      64 Fillenbaum, G. G., "Social context and self-assessments of health among the elderly" 45-51, 1979

      65 Fehir, J. S., "Self-related health status, self efficacy, motivation, and selected demographics as determinants of health-promoting life style"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989

      66 Idler, E. L., "Self-ratings of health: do they also predict change in functional ability?" 50 (50): 344-353, 1995

      67 Kleinspehn-Ammerlahn, A., "Self-perceptions of aging : Do subjective age and satisfaction with aging change during old age?" 63 (63): 377-385, 2008

      68 Jang, Y., "Self-perception of aging and health among older adults in Korea" 18 (18): 485-496, 2004

      69 Andresen, E., "Screening for depression in well older adults" 10 (10): 77-84, 1994

      70 이학식, "SPSS 18. 0 매뉴얼" 집현채 2011

      71 WHO, "Regional Framework for Health Promotion 2002-2005"

      72 Chau, P. H., "Raising health literacy and promoting empowerment to meet the challenges of aging in Hong Kong" 36 (36): 12-25, 2009

      73 Maier, H., "Psychological predictors of mortality in old age" 54 (54): 44-54, 1999

      74 Macia, E., "Perception of Age Stereotypes and Self-Perception of Aging : A Comparison of French and Moroccan Populations" 24 : 391-410, 2009

      75 Levy, B. R., "Mind matters : Cognitive and physical effects of aging self-stereotypes" 58 (58): 203-211, 2003

      76 Jorm, A. F., "Mental health literacy. a survey of the public’s ability to recognise mental disorders and their belief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166 : 182-186, 1997

      77 Jorm, A. F, "Mental health literacy : public knowledge and beliefs about mental disorders" 177 : 396-401, 2000

      78 McDowell, I.,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79 Levy, B. R., "Longevity increased by positive self-perceptions of aging" 83 (83): 261-270, 2002

      80 Lewis, H. J., "Is enough being done to treat depression in the elderly?" 9 (9): 243-245, 2013

      81 Francis, C., "Improving Mental Health Literacy: A Review of the Literature" Center for Health Program Evaluation 2002

      82 Connelly, J. E., "Health perceptions of primary care patients and the influence on health care utilization" 99-109, 1989

      83 Cutilli, C. C., "Health literacy in geriatric patients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26 (26): 43-48, 2007

      84 Bowling, A., "Enhancing later life : How older people perceive active ageing?" 12 (12): 293-301, 2008

      85 Smith, G. C., "Elderly mothers caring at home for offspring with mental retardation : A model of permanency planning" 99 (99): 487-499, 1995

      86 Cutilli, C. C., "Do your patients understand? Determining your patients' health literacy skills" 24 (24): 372-377, 2005

      87 Farmer, M. M., "Distress and perceived health: mechanisms of health decline" 298-311, 1997

      88 Fisher, L. J., "Differences in community mental health literacy in older and younger Australians" 18 (18): 33-40, 2003

      89 Epps, C. S.,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Instrument to Measure Mental Health Literacy" Louis de la Parte Florida Mental Health Institute, University of South Florida 2007

      90 Litwin, H., "Correlates of successful aging : Are they universal?" 61 (61): 313-333, 2005

      91 Kobayashi, L. C., "Cognitive function and health literacy decline in a cohort of aging English adults" 30 (30): 958-964, 2015

      92 허만세, "CES-D로 측정한 우울증상 변화궤적의 잠재계층 탐색-GMM을 활용한 한국복지패널 데이터의 재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307-331, 2014

      93 Chew, L. D., "Brief questions to identify patients with inadequate health literacy" 36 (36): 588-594, 2004

      94 Kite, M. E., "Attitudes toward Younger and Older Adults : An Updated Meta-Analytic Review" 61 (61): 241-266, 2005

      95 Stansbury, K. L., "An exploration of mental health literacy among older African Americans" 17 (17): 226-232, 2013

      96 Smith, G. C., "Aging families of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patterns and correlates of service use, need, and knowledge" 102 (102): 13-26, 1997

      97 Farrer, L., "Age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literacy" 8 (8): 1-8, 2008

      98 Schulz, R., "A life span model of successful aging" 51 (51): 702-,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7 1.86 2.07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