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 파라콰트는 4급 암모늄계의 제초제로 치사량이 20%용액 10mL 정도로 추정되는 치명적인 약물이다. 파라콰트 중독은 위장관, 간, 폐, 신장 등 다발장기손상을 야기하여 사망을 초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590776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3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2003
2003
한국어
616 판사항(21)
서울
Outcome evaluation by treatment protocols of acute paraquat poisoniong
105 p. : 삽도, 표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 파라콰트는 4급 암모늄계의 제초제로 치사량이 20%용액 10mL 정도로 추정되는 치명적인 약물이다. 파라콰트 중독은 위장관, 간, 폐, 신장 등 다발장기손상을 야기하여 사망을 초래...
연구배경 : 파라콰트는 4급 암모늄계의 제초제로 치사량이 20%용액 10mL 정도로 추정되는 치명적인 약물이다. 파라콰트 중독은 위장관, 간, 폐, 신장 등 다발장기손상을 야기하여 사망을 초래한다. 단일 원인에 의하여는 가장 많은 수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성공적인 파라콰트 중독 치료법을 찾고자 많은 시도들이 있지만 아직까지 치료방법이 정립되지 못한 상태이다.
목 적 : 파라콰트 중독 치료를 위한 여러 가지 시도 중 최근 항산화제인 deferoxamine과 N-acetyl-L-cysteine이 추가되어 치료에 사용되고 있어 추가되어진 약물이 급성 파라콰트 중독환자의 사망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임상적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파라콰트 중독환자 157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치료지침에 의하여 치료를 받은 환자군, 기존의 치료지침에 deferoxamine을 추가하여 치료받은 환자군, 기존의 치료지침에 deferoxamine과 N-acetyl-L-cysteine을 추가하여 치료받은 환자군 등 3군으로 분류하고 환자의 입원 치료 당시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은 환자의 연령, 성별, 노출경위, 노출경로, 약물중독 후 1차병원까지 걸린 시간, 약물중독 후 본원에 도착했을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조사하였다. 파라콰트 노출량, 소변내 파라콰트 검출정도, 입원기간 중 임상증상과 내원 직후와 마지막 follow-up시 시행한 헤모글로빈, 백혈구 수, pH, PaCO2, PaO2, arterial O2 saturation, 혈중요소질소, 크레아티닌,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총 빌리루빈, 아밀라제, 리파제 등의 임상검사를 조사하였다. 치료결과는 회복과 사망으로 나누어 조사하여 사망률을 비교하였으며 사망은 사망 및 임종직전 전원 또는 임종직전 퇴원도 포함하였다.
결 과 : 전체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2.3±15.6세였고 파라콰트 평균 노출량은 36.5±36.2mL이었다. 자살을 목적으로 음독한 경우가 74.5%였으며 전체환자 중 2명을 제외하고는 경구로 음독하였다. 파라콰트 노출 후 1차병원까지 걸린 시간은 평균 6.9±18.5시간이었으며 파라콰트 노출 후 본원에 도착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평균 22.4±34.8시간이었다. 입원기간동안 나타난 임상증상은 구강내 작열감(65.6%)과 구강내 궤양(62.4%)이 가장 많았고 호흡곤란, 연하곤란, 오심, 구토 등이었다. 모든 군에서 노출량이 증가할수록, 소변내 파라콰트 검출정도가 증가할수록 사망률이 증가하였다. 초기 임상검사결과는 사망률과 비교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마지막 follow-up시 시행한 임상검사결과는 사망과의 관계가 확실하였다. 기존의 치료법에 항산화제인 deferoxamine, N-acetyl-L-cysteine의 추가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지만 약물이 추가될수록 사망률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 파라콰트 중독시 노출량 및 소변내 파라콰트 검출정도는 중독의 임상적 증상 및 예후를 예견할 수 있어 치료의 방향 및 강도의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자로 평가되었다. 임상검사결과도 파라콰트 중독의 중증도 및 예후를 예측하는데 중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치료지침에 항산화제(deferoxamine, N-acetyl-L-cysteine)의 추가치료는 파라콰트 중독시 사망률을 감소시켰으며 앞으로 임상적 활용을 적극적으로 제안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Paraquat(1,1’-dimethyl 4,4’-bipyridium dichloride) is widely used as a potent herbicide of Quaternary nitrogen compounds. It is presumed that ingestion of greater than 10mL of 20% paraquat solution is associated with high mortality. In...
Background: Paraquat(1,1’-dimethyl 4,4’-bipyridium dichloride) is widely used as a potent herbicide of Quaternary nitrogen compounds. It is presumed that ingestion of greater than 10mL of 20% paraquat solution is associated with high mortality. In humans, paraquat poisoning could cause multi-organ failures in kidney, liver, lung and corrosive effects on the gastrointestinal mucosa. Even though many studies focus on successful treatment protocols, there is no standard treatment so far.
Objective: Antioxidants, deferoxamine and N-acetyl-L-cycteine, has been administered recently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protocol in paraquat intox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outcomes how these additional antioxidants have influence on the mortality of paraquat poisoning.
Methods: A total of 157 patients with acute paraquat intoxication were treated with one of three protocols: conventional protocol(Group Ⅰ), conventional protocol with deferoxamine(Group Ⅱ), conventional protocol with deferoxamine and N-acetyl-L-cystein(Group Ⅲ). This study was analyzed by reviewing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Data were collected for demographics, cause of paraquat exposure, route of paraquat exposure, time intervals between intoxication and first medical treatment, time intervals between intoxication and Soonchunhyang Chunan hospital (SCH), symptoms and signs in admission. Exposure to paraquat was assessed by the amount ingested and the urine paraquat test. Clinical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hemoglobin, WBC, pH, arterial blood gas,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total bilirubin, amylase and lipase were obtained at the time of emergency room visit and last follow-up. Outcomes after acute paraquat poisoning were determined as survival and death. Death included death, hopeless transfer and hopeless discharge.
Results: Mean age of paraquat intoxication patients was 42.3±15.6 years old. Mean amount of paraquat exposure was 36.5±36.2mL. Paraquat was used for suicidal purpose in 74.5% of paraquat intoxication. Most of patients ingested paraquat orally. Time to the first medical treatment averaged 6.9±18.5 hours, and time to SCH averaged 22.4±34.8 hours. The major clinical presentations were sore throat (65.6%) and oral cavity ulceration (62.4%), and other symptoms included dyspnea, swallowing difficulty, nausea and vomiting. All groups showed same trends as the followings: the higher amount of paraquat exposure and the higher extent of paraquat detected in urine led to the higher mortality. The results of initial clinical test were more or less correlated with mortality. And clinical tests upon last follow-up were in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ortality. It was found that the more number of added antioxidants would led to the lower mortality though addition of antioxidants, deferoxamine and N-acetyl-L-cysteine, to conventional protocol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e amount of paraquat exposure and the extent of paraquat detected in urine could predict clinical symptoms and prognosis in acute paraquat poisoning. Thus, those two factors could help to determine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treatment. Clinical laboratory parameters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critical to determine the severity of paraquat poisoning and predict corresponding prognosis. Additional antioxidants, deferoxamine and N-acetyl-L-cysteine, to conventional protocol contributed to decreasing the mortality of paraquat poisoning, so it is positively recommended that these antioxidants should be widely used in clinical aspects.
KEYWORDS: paraquat, deferoxamine, N-acetyl-L-cyste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