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적 게토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영성의 해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347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영성의 보편성에 관한 연구이다.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이해는 영성 이해에 중요한 시금석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하나님의 형 상은 구조적 차원과 기능적 차원 모두를 포함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창 조의 선물인 인간의 이성, 감성, 몸, 영성은 하나님의 형상의 구조적 차 원들이다. 따라서 창조의 선물로서 영성 이해는 중요하다. 하지만 대부 분의 영성 이해는 창조의 선물인 구조적 또는 존재론적 영성을 간과하 고 경험론적 영성과 신령한 성품으로써 영성을 이해하는 경향이 많다. 본 연구는 존재론적 영성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는 영성 의 보편성에 대한 이해를 촉발하기 때문이다. 보편적 영성의 증거로써 어린이 영성에 대한 임상적 연구 자료를 제 시한다. 영적 경험과 깨달음은 나이와 인지 발달에 의해 영향을 받는 특징이 있지만, 그것들에 종속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논한다. 인간은 나이나 어떤 신비한 경험에 상관없이‘영적 잠재성’을 지니기 때문이 다. 또한 역사적으로 영성은 종교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지만, 영적 경 험이나 깨달음은 종교적 개념이나 영역에만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보 편적 일상의 영역 안에서도 체험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특히 영 적 체험의 장으로서 일상의 차원을 간과할 때 영적 게토주의(spiritual ghettoism)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영성의 보편성에 관한 연구이다.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이해는 영성 이해에 중요한 시금석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하나님의 형 상은 구조적 차원과 기능적 차원 모두를 포함한다...

      본 논문은 영성의 보편성에 관한 연구이다.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이해는 영성 이해에 중요한 시금석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하나님의 형 상은 구조적 차원과 기능적 차원 모두를 포함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창 조의 선물인 인간의 이성, 감성, 몸, 영성은 하나님의 형상의 구조적 차 원들이다. 따라서 창조의 선물로서 영성 이해는 중요하다. 하지만 대부 분의 영성 이해는 창조의 선물인 구조적 또는 존재론적 영성을 간과하 고 경험론적 영성과 신령한 성품으로써 영성을 이해하는 경향이 많다. 본 연구는 존재론적 영성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는 영성 의 보편성에 대한 이해를 촉발하기 때문이다. 보편적 영성의 증거로써 어린이 영성에 대한 임상적 연구 자료를 제 시한다. 영적 경험과 깨달음은 나이와 인지 발달에 의해 영향을 받는 특징이 있지만, 그것들에 종속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논한다. 인간은 나이나 어떤 신비한 경험에 상관없이‘영적 잠재성’을 지니기 때문이 다. 또한 역사적으로 영성은 종교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지만, 영적 경 험이나 깨달음은 종교적 개념이나 영역에만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보 편적 일상의 영역 안에서도 체험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특히 영 적 체험의 장으로서 일상의 차원을 간과할 때 영적 게토주의(spiritual ghettoism)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 study about universality of spirituality. Understanding of God’s image offers important criteria for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This study focuses that understanding of God’s image includes both structural and functional dimensions. As image of God is constituted with human reason, emotion, body and spirituality which are creative gifts from God, understanding spirituality as a creative gift is important. Most views, however, tend to understand spirituality as the experiential and the godly characters while overlooking structural or functional spirituality.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bout experiential spirituality, which is due to provoking understanding about universality of spirituality. Presenting empirical research data about children’s spirituality as evidence for universal spirituality, this article argues that spiritual experience and awakening is affected by ages and cognitive development, but not subordinated by them. Human beings have ‘spiritual potentiality’ no matter their ages and their experiences. It emphasizes that spiritual experience and awakening is not only subordinated to religious realm but is also experienced in the realm of daily life, while in history concept of spirituality has closely related with religion. This article rings an alarm Christians who can fall into spiritual ghettoism if daily dimension of spirituality as a place of spiritual experience is overlooked.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a study about universality of spirituality. Understanding of God’s image offers important criteria for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This study focuses that understanding of God’s image includes both structural and functional dime...

      This article is a study about universality of spirituality. Understanding of God’s image offers important criteria for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This study focuses that understanding of God’s image includes both structural and functional dimensions. As image of God is constituted with human reason, emotion, body and spirituality which are creative gifts from God, understanding spirituality as a creative gift is important. Most views, however, tend to understand spirituality as the experiential and the godly characters while overlooking structural or functional spirituality.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bout experiential spirituality, which is due to provoking understanding about universality of spirituality. Presenting empirical research data about children’s spirituality as evidence for universal spirituality, this article argues that spiritual experience and awakening is affected by ages and cognitive development, but not subordinated by them. Human beings have ‘spiritual potentiality’ no matter their ages and their experiences. It emphasizes that spiritual experience and awakening is not only subordinated to religious realm but is also experienced in the realm of daily life, while in history concept of spirituality has closely related with religion. This article rings an alarm Christians who can fall into spiritual ghettoism if daily dimension of spirituality as a place of spiritual experience is overlook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들어가는 글
      • II. 펴는 글
      • 1. 영성의 보편성과 하나님의 형상
      • 2. 영성의 존재론적 차원과 보편성
      • 국문초록
      • I. 들어가는 글
      • II. 펴는 글
      • 1. 영성의 보편성과 하나님의 형상
      • 2. 영성의 존재론적 차원과 보편성
      • 3. 영성의 보편성과 영적 경험의 장
      • III. 나가는 글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순성, "한국장로교내(內) 소수파 영성으로서의 고려파 영성의 특징과 평가"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42 : 83-121, 2017

      2 김순환, "포스트모던 상황과 예배의 지평확대를 위한 이론 및 실제"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42 : 122-151, 2017

      3 Keller, Timothy, "일과 영성" 두란노 2014

      4 Downey, Michael, "오늘의 기독교 영성 이해" 은성 2001

      5 Mulholland, Robert M., "예수의 길에서 나를 만나다" 살렘 2009

      6 Damarest, Bruce, "영혼을 생기나게 하는 영성" 쉴만한 물가 2007

      7 Moore, Mary Elizabeth, "기독교 교육의 새로운 모형" 기독교교육협회 1991

      8 최창국, "건강한 돌봄을 위한 자기 분화와 영성생활의 관계 연구"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39 : 206-235, 2016

      9 Russell, Letty, "Transformation and Tradition in Religious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Press 1979

      10 Luther, Martin, "Three Treatises" Fortress Press 1970

      1 김순성, "한국장로교내(內) 소수파 영성으로서의 고려파 영성의 특징과 평가"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42 : 83-121, 2017

      2 김순환, "포스트모던 상황과 예배의 지평확대를 위한 이론 및 실제"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42 : 122-151, 2017

      3 Keller, Timothy, "일과 영성" 두란노 2014

      4 Downey, Michael, "오늘의 기독교 영성 이해" 은성 2001

      5 Mulholland, Robert M., "예수의 길에서 나를 만나다" 살렘 2009

      6 Damarest, Bruce, "영혼을 생기나게 하는 영성" 쉴만한 물가 2007

      7 Moore, Mary Elizabeth, "기독교 교육의 새로운 모형" 기독교교육협회 1991

      8 최창국, "건강한 돌봄을 위한 자기 분화와 영성생활의 관계 연구"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39 : 206-235, 2016

      9 Russell, Letty, "Transformation and Tradition in Religious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Press 1979

      10 Luther, Martin, "Three Treatises" Fortress Press 1970

      11 St. Louis, Donald, "The Way of Ignatius Loyola:Contemporary Approaches to the Spiritual Exercises" SPCK 1991

      12 Coles, Robert, "The Spiritual Life of Children" Houghton Mifflin Company 1991

      13 Dyckman, Katherine, "The Spiritual Exercises Reclaimed" Paulist Press 2001

      14 Hay, David, "The Spirit of the Child" Fount 1998

      15 Solle, Dorothee, "The Silent Cry : Mysticism and Resistance" Fortress Press 2001

      16 Noll, Mark, "The Scandal of the Evangelical Mind" Eerdmans 1995

      17 Cavalletti, Sofia, "The Religious Potential of the Child" Paulist Press 1983

      18 Robinson, Edward, "The Original Vision" Seabury Press 1983

      19 Herbert of Cherbury, "The Life of Edward, First Lord Herbert of Cherbury"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20 Ciampa, R. E., "The First Letter to the Corinthians" Eerdmans 2010

      21 Machen, J. Gresham, "The Christian View of Man" Macmillan 1937

      22 Pelikan, Jaroslav, "The Christian Tradition : A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Doctrin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7

      23 Holmes, Urban T., "Spirituality for Ministry" Harper & Row 1982

      24 Thompson, Marjorie J., "Soul Feast : An Invitation to the Christian Spiritual Lif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5

      25 Hay, David, "Secular Society/Religious Meaning: A Contemporary Paradox" 26 (26): 213-227, 1985

      26 Hay, David, "Roots in a Northern Landscape" Scottish Cultural Press 1996

      27 Goldman, Ronald, "Religious Thin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Routledge & Kegan Paul 1968

      28 Farmer, Lorelei, "Religious Experience in Childhood: A Study of Adult Perspectives in Early Spiritual Awareness" 87 : 259-268, 1992

      29 Calvin, Joh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 Westminster Press 1973

      30 Lartey, Emmanuel Y., "In Living Colour : An Intercultural Approach to Pastoral Care and Counselling" Cassell 1997

      31 Ganss, George E., "Ignatius of Loyola : Spiritual Exercises and Selected Works" Paulist Press 1991

      32 Bissonnier, Henry, "From Religious Expression Religious Attitude" Luman Vitae Press 1965

      33 Preus, Samuel, "Explaining Religion : Criticism and Theory from Bodin to Freud" Yale University Press 1987

      34 Pasquier, Jacque, "Examination of Conscience and Revision de Vie" 11 : 311-325, 1971

      35 Hoekema, Anthony A., "Created in God's Image" Eerdmans 1986

      36 Bridger, Francis, "Counseling in Context: Developing A Theological Framework" DLT 1998

      37 Langdon, A. A., "A Critical Examination of Dr Goldman’s Research Study on Religious Thin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12 : 37-63, 1969

      38 조성호, "4차 산업혁명시대와 기독교 영성의 발전 방안 연구"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48 : 149-173, 2018

      39 박태현, "21세기 한국교회를 위한 청교도 영성: 청교도 W. Perkins의 『잘 사는 법』을 중심으로"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41 : 72-105,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복음주의 실천신학 논총 -> 복음과 실천신학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88 0.878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