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령자 취업훈련의 취업 및 임금효과 = The Effect of Job Training for Elderly or Aged on Employment and W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5256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취업훈련이 취업과 임금수준에 미치는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 서울시 13개 고령자취업알선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55세이상의 고령 구직자 6,275명의 인구학적 특성 및 훈련과 취업 현황에 관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취업훈련의 취업효과는 우선 취업훈련 여부와 취업 여부의 교차분석을 통해 살펴 보았는데, 취업훈련을 받은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다소 높은 취업률을 보였다. 그러나 취업 여부라는 종속변수에 대하여 취업훈련 여부와 인구학적 특성을 함께 독립변수로 투입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취업 가능성에 대한 취업훈련의 예측력은 유의미하지 않았고, 여성이며 대졸자이고 건강한 구직자일 경우 취업 확률이 높아지는 등 고령 구직자의 인구학적 특성들이 취업 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임금효과에 대한 분석에서는 취업훈련을 받은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각 집단의 임금수준은 T검증을 통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 또한 취업훈련 여부와 인구학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고 임금수준을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했을 때, 취업훈련의 임금수준에 대한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의 취업에 있어서는 취업훈련보다는 인구학적 특성의 임금수준에 대한 영향력이 유의미하여, 남성으로서 저연령이며 건강할수록 임금수준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연구의 주된 초점인 고령자 대상 취업훈련의 취업 및 임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있더라도 미미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고령자 대상 취업훈련은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 및 분석되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고령자 대상 취업훈련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여러가지 유용한 제안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취업훈련이 취업과 임금수준에 미치는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 서울시 13개 고령자취업알선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55세이상의 고령 ...

      본 연구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취업훈련이 취업과 임금수준에 미치는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 서울시 13개 고령자취업알선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55세이상의 고령 구직자 6,275명의 인구학적 특성 및 훈련과 취업 현황에 관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취업훈련의 취업효과는 우선 취업훈련 여부와 취업 여부의 교차분석을 통해 살펴 보았는데, 취업훈련을 받은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다소 높은 취업률을 보였다. 그러나 취업 여부라는 종속변수에 대하여 취업훈련 여부와 인구학적 특성을 함께 독립변수로 투입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취업 가능성에 대한 취업훈련의 예측력은 유의미하지 않았고, 여성이며 대졸자이고 건강한 구직자일 경우 취업 확률이 높아지는 등 고령 구직자의 인구학적 특성들이 취업 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임금효과에 대한 분석에서는 취업훈련을 받은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각 집단의 임금수준은 T검증을 통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 또한 취업훈련 여부와 인구학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고 임금수준을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했을 때, 취업훈련의 임금수준에 대한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의 취업에 있어서는 취업훈련보다는 인구학적 특성의 임금수준에 대한 영향력이 유의미하여, 남성으로서 저연령이며 건강할수록 임금수준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연구의 주된 초점인 고령자 대상 취업훈련의 취업 및 임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있더라도 미미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고령자 대상 취업훈련은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 및 분석되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고령자 대상 취업훈련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여러가지 유용한 제안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training for the elderly or aged on employment and wage. This study utilize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employment and job training data of 6,275cases who had been on the books of job placement center for elderly. Crosstab anaysis between training experience and employment status showed that those who having a job training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be employed than their conterparts. Howeve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oesn`t show any strong significance about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under conditions where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re controlled job training experience. And, T-test revealed job training group to be significantly high wage level. But, The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dosen``t revealed that job training was significant effect variable on wage level status. In conculsion, the job training for the elderly had no or slightly significantly effect on employment and wage. However, this result showed that job training for the elderly must be accessed and analyzed in the various aspect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indicated variety useful proposals to build effective and well-developed job training programs for elder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training for the elderly or aged on employment and wage. This study utilize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employment and job training data of 6,275cases who had been on the books of job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training for the elderly or aged on employment and wage. This study utilize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employment and job training data of 6,275cases who had been on the books of job placement center for elderly. Crosstab anaysis between training experience and employment status showed that those who having a job training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be employed than their conterparts. Howeve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oesn`t show any strong significance about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under conditions where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re controlled job training experience. And, T-test revealed job training group to be significantly high wage level. But, The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dosen``t revealed that job training was significant effect variable on wage level status. In conculsion, the job training for the elderly had no or slightly significantly effect on employment and wage. However, this result showed that job training for the elderly must be accessed and analyzed in the various aspect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indicated variety useful proposals to build effective and well-developed job training programs for elderl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