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생의 전통무용 수업에 대한 인식 탐색 = Study on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on Traditional Dance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704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 on traditional dance clas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dance class, which was presented to Year 10 students enrolling at academic high schools once a week, in the manner of self-assessment of the class by a teacher. Data was collected through both the group interview held in class time and the individual interviews after class.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ings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on traditional dance class has been divided into seven groups; worrying about the first experience and indifference to traditional dance, boring repetition and circulation, unpractical contents, affection and pride, masculine beauty and traditional dance music is percussion. Most of the students had never had dance lesson before, especially traditional dance lesson. Because the students had little knowledge on traditional dance and could not predict development of class and evaluation criteria of their performance, they had a fear of the traditional dance class, rather than had exciting feeling or curiosity.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traditional dance class in a school should be presented to students with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raditional costume and a place to dance. In addition, a new curriculum including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which can enhance rhythm of traditional dances should be developed because traditional dance simple cannot exist without traditional music.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 on traditional dance clas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dance class, which was presented to Year 10 students enrolling at academic high schools once a week, in the manner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 on traditional dance clas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dance class, which was presented to Year 10 students enrolling at academic high schools once a week, in the manner of self-assessment of the class by a teacher. Data was collected through both the group interview held in class time and the individual interviews after class.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ings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on traditional dance class has been divided into seven groups; worrying about the first experience and indifference to traditional dance, boring repetition and circulation, unpractical contents, affection and pride, masculine beauty and traditional dance music is percussion. Most of the students had never had dance lesson before, especially traditional dance lesson. Because the students had little knowledge on traditional dance and could not predict development of class and evaluation criteria of their performance, they had a fear of the traditional dance class, rather than had exciting feeling or curiosity.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traditional dance class in a school should be presented to students with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raditional costume and a place to dance. In addition, a new curriculum including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which can enhance rhythm of traditional dances should be developed because traditional dance simple cannot exist without traditional musi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병호, "한국춤" 열화당 1985

      2 황경숙, "한국 전통무용의 대중화 방안" 한국체육철학회 16 (16): 229-239, 2008

      3 유동환, "한국 전통 문화유산 콘텐츠개발 현황과 과제" 한국국학진흥원 1 (1): 5-50, 2008

      4 서은숙, "한국 문화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콘텐츠학회 9 (9): 417-427, 2009

      5 박순경, "초⋅중학교 교육과정 총론 해설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6 양윤정,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발전을 위한 교육 개발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7 최영성, "전통 문화교육의 이론적 기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이애주, "우리 몸짓과 소리를 통하여 본 민족의 정체성" 한국정신과학회 8 (8): 11-24, 2004

      9 최의창, "스포츠교육학" 무지개사 2003

      10 권낙원, "교수-학습 이론의 이해" 문음사 2006

      1 정병호, "한국춤" 열화당 1985

      2 황경숙, "한국 전통무용의 대중화 방안" 한국체육철학회 16 (16): 229-239, 2008

      3 유동환, "한국 전통 문화유산 콘텐츠개발 현황과 과제" 한국국학진흥원 1 (1): 5-50, 2008

      4 서은숙, "한국 문화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콘텐츠학회 9 (9): 417-427, 2009

      5 박순경, "초⋅중학교 교육과정 총론 해설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6 양윤정,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발전을 위한 교육 개발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7 최영성, "전통 문화교육의 이론적 기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이애주, "우리 몸짓과 소리를 통하여 본 민족의 정체성" 한국정신과학회 8 (8): 11-24, 2004

      9 최의창, "스포츠교육학" 무지개사 2003

      10 권낙원, "교수-학습 이론의 이해" 문음사 2006

      11 Moustakas, 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ousand Oaks, CA:Sage 1994

      1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연구"

      13 차수정, ""한국 전통춤 교육과정 기초 프로그램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4 오현주, ""한국 전통춤 교수법의 인문적 접근탐색:기존 교수법 분석과 하나로 수업의적용""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15 김경숙, ""전통승무의 재구성과 전통춤 교육의 재구성"" 한양대학교대학원 2009

      16 황인선, ""周易의 生命的 時間觀에 관한 硏究""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17 김용철, ""0c 한국춤의 원형적 변화와 가치 인식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6

      18 박중길, ""-12 무용교육과정 개념틀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74 0.81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