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반기에 새롭게 등장하는 불교미술과 관련된 도상 중에서 삼세불과 삼신불을 주목할 수 있다. 삼세불과 삼신불에 관한 인식은 이미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을 것이다. 『원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35643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34(30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전반기에 새롭게 등장하는 불교미술과 관련된 도상 중에서 삼세불과 삼신불을 주목할 수 있다. 삼세불과 삼신불에 관한 인식은 이미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을 것이다. 『원대...
조선전반기에 새롭게 등장하는 불교미술과 관련된 도상 중에서 삼세불과 삼신불을 주목할 수 있다. 삼세불과 삼신불에 관한 인식은 이미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을 것이다. 『원대화소기』에 원대 무왕조의 삼세불을 모신 萬安寺는 고려 충렬왕 때 국존이자 유가종 승려인 弘眞國師 惠永(1228~1294)이 1290년 원나라에 들어가 『仁王經』을 강의했던 곳이다. 따라서 당시 혜영이 삼세불을 보았을 것이다. 또한, 고려시대의 『稼亭集』에 북경 龍泉寺 화재관련기사에서 삼신불에 대한 언급과, 조선초에 「연복사탑중창비(1394년)」에 나오는 비로자나불의 조성 기록을 통해 삼신불에 대한 개념이 고려시대에는 형성되었을 것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유행하는 삼세불은 석가불, 아미타불, 약사불로 공간적 삼세불이 조성된다. 일본 곤카이코묘지(金戒光明寺)소장 〈삼세불도(1573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동삼세불좌상〉, 〈경주 왕룡사원 소조 약사ㆍ석가불상(1579년)〉등이 확인된다. 삼신불 조성은 원각사탑 1층 남면에 부조된 〈비로자나삼신불도(1467년)〉, 〈천은사 불감 비로자나삼신불도〉등이 확인된다. 또한, 조선 전반기에 조선 전반기의 三身ㆍ三世佛을 함께 造成하는 사례는 세종 때 金守溫(1410~1481)이 世宗 31년(1449)에 편찬한 부처사리에 대한 영험을 기록한 「舍利靈應記」, 일본 주린지(十輪寺)소장 〈五佛會圖(1467년)〉등에서 확인된다.
이와 같은 도상은 조선 전반기에 이르러 대승불교에서 삼신불과 삼세불에 대한 認識이 점차 확산되면서 불교 이론의 발전과정에서 보다 심도 깊은 認知의 결과로서 등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deals with the Trikaya and Three World Buddh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re composed of ??kyamuni(석가불), Bhai?ajyaguru(약사불) and Amit?bha(아미타불). There are generally designated by terms such ...
This thesis deals with the Trikaya and Three World Buddh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re composed of ??kyamuni(석가불), Bhai?ajyaguru(약사불) and Amit?bha(아미타불). There are generally designated by terms such as samsebul (Buddhas of the three Worlds). Meanwhile, birojanasamsinbul (Buddhas of the three bodies with Vairocana) is composed of Vairocana, ??kyamuni, Nosana Buddha. Trik?y?h are means as dharma-kaya(法身), nirmana-kaya(應身), sambboga-kaya(報身).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ppearance during the fifth century, in Northern Wei of China. Especially according to ‘The records of painting and sculpture in Yuan dynasty『元代畵塑記』’, there are designed for the Buddhas of Three Periods.
In Korea, the images of sam-se-bul with time(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nd sam-sin-bul(the Buddhas of the three body) appeared during the 16th century. In addition it integrates with Sam-sin-bul and Sam-se-bul. That is SamsinSamsebul. Understanding of combinationis based on their pattern by time period. Iconography of the images of sam-se-bul with time(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nd sam-sin-bul(the Buddhas of the three body) was completed at this tim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정, "화기를 통해 본 조선전반기 왕실발원 불화의 도상해석학적 고찰" 문화재연구소 (9) : 2012
2 문명대, "한국의 불화 12" 성보문화재연구소 1999
3 문명대, "한국의 불화" 열화당 1977
4 노권용, "한국불교학" 한국불교학회 2002
5 문현순, "조선전기의 새로운 불교 도상-천은사 구장 금동불감의 동판부조와 불좌상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16) : 2001
6 정우택, "조선왕조시대 전반기 궁정화풍 불화의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3 : 1999
7 심주완, "조선시대 三世佛像의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59 (259): 5-40, 2008
8 僧肇, "조론"
9 문명대, "이기백선생고희기념 한국사학논총 上-고대편ㆍ고려시대편" 일조각 1994
10 문명대, "왕룡사원의 조선 전반기 불상조각" 한국미술사연구소 2007
1 김현정, "화기를 통해 본 조선전반기 왕실발원 불화의 도상해석학적 고찰" 문화재연구소 (9) : 2012
2 문명대, "한국의 불화 12" 성보문화재연구소 1999
3 문명대, "한국의 불화" 열화당 1977
4 노권용, "한국불교학" 한국불교학회 2002
5 문현순, "조선전기의 새로운 불교 도상-천은사 구장 금동불감의 동판부조와 불좌상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16) : 2001
6 정우택, "조선왕조시대 전반기 궁정화풍 불화의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3 : 1999
7 심주완, "조선시대 三世佛像의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59 (259): 5-40, 2008
8 僧肇, "조론"
9 문명대, "이기백선생고희기념 한국사학논총 上-고대편ㆍ고려시대편" 일조각 1994
10 문명대, "왕룡사원의 조선 전반기 불상조각" 한국미술사연구소 2007
11 "양촌선생문집 제12권" 한국고전번역원
12 한정섭, "서산대사법어" 불교통신교육원 2010
13 이용윤, "삼세불의 형식과 개념 변화" 동악미술사학회 (9) : 91-118, 2008
14 정구복, "삼국사기 3 주석편(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5 이강래, "삼국사기" 한길사 1998
16 이재창, "불교경전개설" 동국대학교불전간행회 1982
17 주수완, "대승설법도상의 연구 : '관경변상'과 '영산불회' 도상의 기원과 전파" 고려대학교대학원 2010
18 "금광명최승왕경"
19 김창균, "강좌미술사 32" 한국미술사연구소 2009
20 허흥식, "韓國金石全文 中世 下" 아세아문화사 1984
21 東國大學校韓國佛敎全書編纂委員會, "韓國佛敎全書" 동국대학교출판부 1989
22 樊锦, "讲解莫高窟" 浙江文藝出版社 2006
23 김수온, "舍利靈應記"
24 이곡, "稼亭集-稼亭先生文集" 한국고전번역원 1622
25 조선총독부, "朝鮮寺刹史料 下" 조선총독부 1911
26 최성은, "慶州 王龍寺院塑造釋迦如來 및 藥師如來坐像 조사기"
27 武田和昭, "密敎圖像 7" 密敎圖像學會 1990
28 楊伯逹, "中國美術全集 雕塑篇 6" 人民美術出版社 1988
29 중국석굴조소전집편찬위원회, "中國石窟彫塑全集 제10-南方八省" 重慶 出版社 2000
30 "世宗實錄"
31 李承禧, "1628년 七長寺 <五佛會掛佛圖> 硏究" 한국미술연구소 (23) : 171-204, 2006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1-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1-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71 | 1.169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