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德懋(1741~1793)는 다양한 화목의 회화를 남겼던 화가이다. 그는 洛論의 天機論과 북학파의 寫生論이라는 창작론에 바탕을 둔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朱子學에 근거한 載道論이라는 기능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35645
2014
Korean
반정균 ; 사생론 ; 소조 ; 재도론 ; 천기론 ; Bukhakpa(북학파) ; Cheongi Theory(天機論) ; Jaedo Theory(載道論) ; Saseang Theory(寫生論) ; Sojo-Portrait Painting(小照) ; Pan ; Tingjun(潘庭筠) ; Yi Dukmoo(이덕무)
KCI등재
학술저널
65-101(3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李德懋(1741~1793)는 다양한 화목의 회화를 남겼던 화가이다. 그는 洛論의 天機論과 북학파의 寫生論이라는 창작론에 바탕을 둔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朱子學에 근거한 載道論이라는 기능론...
李德懋(1741~1793)는 다양한 화목의 회화를 남겼던 화가이다. 그는 洛論의 天機論과 북학파의 寫生論이라는 창작론에 바탕을 둔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朱子學에 근거한 載道論이라는 기능론으로 예술의 효용성을 한정시켰다. 이러한 개념 중에 천기론과 재도론은 그가 북학파로 활동하기 이전부터 개진하였는데, 그의 집안이 노론이라는 점과 이덕무가 김창협 집안의 후손과 가진 교유에 따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1768년경부터 이덕무는 박지원이나 박제가 등과 교유하면서 북학파로서 활동하였다. 이로써 그는 다양한 색목과 학맥의 士類나 서화가들과 교분을 가지게 되었고 북학파내의 사생론과 한중교류성과를 공유할 수 있었다. 이러한 측면은 북학파가 사상적으로 유연하였고 庶孼許通을 지지하였기에 가능하였던 것이다.
이덕무는 1778년 3월에 燕行을 하여 四川 출신의 淸 문사들과 교분을 가졌다. 이러한 교분은 홍대용과 유금이 이룬 한중교류의 성과에 힘입은 것이다. 그러나 이덕무는 청의 소조를 조선의 초상화관으로 이해하는 등, 청 회화에 대한 이해가 넓지 않았으며 자신이 가졌던 회화관으로 청 회화를 바라보았다.
이덕무는 연행 이후에도 기존의 회화관을 유지하였다. 그러면서도 화훼조충도류에 대한 관심과 재도론적 사고의 상대적 감소 등, 약간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는 당시 청에 고증학과 필묵이 강조된 산수화가 성행한 점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그의 작품에서도 나타나는데, 〈산수〉에서 소슬한 분위기를 내는 구성은 청대 회화 경향과 연결된다.
한편 〈산수〉는 이덕무의 전반적인 회화 경향을 확인시켜 주는 중요한 요소를 갖추고 있다. 적당한 물기를 머금은 필치는 이인상의 필법을 연상시키며, 배경을 생략한 구도는 마치 김정희의 〈세한도〉나 〈고사소요〉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그림은 노론 내에서 선호되었던 18세기 전반의 이인상 화풍과 19세기 전반의 김정희 화풍을 조형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요소를 갖고 있다. 즉, 이덕무는 박지원이나 박제가처럼 청의 학예 경향에 경도된 예술가가 아니라, 북학파 중에서 가장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는 가운데 청의 회화 경향을 조심스럽게 수용하였던 화가라고 평가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i Dukmoo was a painter who drew various kinds of flowers and trees. His creative painting was influenced by Cheongi Theory(天機論) of Nak school(洛論) and Saseang Theory(寫生論)of Bukhakpa(北學派). For him, the role of art should be viewed...
Yi Dukmoo was a painter who drew various kinds of flowers and trees. His creative painting was influenced by Cheongi Theory(天機論) of Nak school(洛論) and Saseang Theory(寫生論)of Bukhakpa(北學派). For him, the role of art should be viewed in the light of Jaedo Theory(載道論)based on the doctrines of Chu-tzu(朱子學). Among these concepts, Cheongi Theory and Jaedo Theory were importantly considered even before he joined in Bukhakpa. This could happen because his family was a member of Nak school and Yi Dukmoo was a friend of Kim Changheap family. Since 1768, Yi Dukmoo had worked as one of Bukhakpa, keeping company with Park Jiwon and Park Jaega. He had relationship with many scholars and painters whose ideas and styles were various, sharing Saseang Theory of Bukhakpa with them. This was possible because ‘flexibility of idea’ and ‘support about Abrogation of the Discriminations against Seol’, which means allowing sons of concubines to appoint as public officers, were agreed within Bukhakpa.
On March 1778, Yi Dukmoo went to China and met with writers from Sachun(四川) province. They became friends thank to Korea-China exchange achieved by Hong Daeyong and Yu Gum. However Yi Dukmoo could not fully understand paintings of Chung dynasty ? for instance, he viewed Chinese plastic arts on the perspective of the portrait method of Chosun dynasty ? which meant he interpreted Chinese paintings with his view of Korean painting. Even after came back from China, Yi Dukmoo kept his Yi Dukmoo view on paintings. However there were small changes: he was interested in paintings about flowers, birds and bugs, while relatively lost interest of Jaedo Theory. This might be caused by the popularity of landscape painting in which the study of ancient document and brush & ink had been focused. His paintings reflected these changes, for instance, loneliness seen in 〈Sansu〉 could relate to the painting trend of Chung dynasty.
In the meanwhile, his painting 〈Sansu〉 clearly shows Yi Dukmoo’s style. His brush contained appropriate amount of water, which reminds of Lee Insang. The simple composition was similar to 〈Sehando〉 and 〈Gosasoyo〉 of Kim Junghee. Thus the painting has some factors which make it possible to connect Lee Insang’s painting style in the first half of 18 century when Noron faction had been preferred and Kim Junghee’s style in the first half of 19 century. In other words, Yi Dukmoo was not an artist who followed Chung dynasty’s style like Park Jiwon and Park Jaega, but a painter who preserved Korean tradition very well and carefully adopted Chung’s painting styl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赖安海, "李调元硏究" 巴蜀书社 2007
2 권정원, "李德懋의 家系와 交遊關係" 우리한문학회 17 (17): 413-449, 2007
3 李湜, "女畵家陳書與錢氏家族" 石頭出版社 2009
4 변영섭, "화론의 초기 양상과 한국성"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30 : 1997
5 "한국고전번역원 고전종합DB"
6 배재홍, "조선후기 영정조대 서얼통청책" 삼척대학교 29 (29): 1996
7 조성산, "조선후기 소론계의 古代史 연구와 中華主義의 변용" 역사학회 202 (202): 49-90, 2009
8 조성산, "조선후기 낙론계 학풍의 형성과 경세론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9 김현권, "조선후기 小照의 제작과 북학파의 역할" 한국미술사학회 271272 (271272): 173-204, 2011
10 "조선왕조실록"
1 赖安海, "李调元硏究" 巴蜀书社 2007
2 권정원, "李德懋의 家系와 交遊關係" 우리한문학회 17 (17): 413-449, 2007
3 李湜, "女畵家陳書與錢氏家族" 石頭出版社 2009
4 변영섭, "화론의 초기 양상과 한국성"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30 : 1997
5 "한국고전번역원 고전종합DB"
6 배재홍, "조선후기 영정조대 서얼통청책" 삼척대학교 29 (29): 1996
7 조성산, "조선후기 소론계의 古代史 연구와 中華主義의 변용" 역사학회 202 (202): 49-90, 2009
8 조성산, "조선후기 낙론계 학풍의 형성과 경세론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9 김현권, "조선후기 小照의 제작과 북학파의 역할" 한국미술사학회 271272 (271272): 173-204, 2011
10 "조선왕조실록"
11 "조선왕조실록"
12 안대회,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학회 1988
13 고연희, "연암 일파(燕巖一派)의 회화론 화조화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17 (17): 185-212, 2002
14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4"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15 김형술, "백악시단의 진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6 김현권, "박제가의 對淸회화교류와 청 회화의 인식"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2 (52): 115-155, 2012
17 류승민, "능호관 이인상(1710-1760) 서예와 회화의 서화사적 위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18 "능호관 이인상 소나무에 뜻을 담다" 국립중앙박물관 2010
19 김현권, "김정희파의 한중회화교류와 19세기 조선의 화단"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20 李德懋, "국역청장관전서 IV" 민족문화추진회 1979
21 李夏坤, "頭陀草"
22 유복열, "韓國繪畵大觀" 文敎院 1969
23 "韓國書畵資料集" 韓國史學會 2001
24 李德懋, "靑莊館全書"
25 정재훈, "霞谷 鄭齊斗의 陽明學 受容과 經世思想" 서울대학교인문대학 국사학과 29 : 1993
26 金昌協, "農巖集"
27 박제가, "貞蕤閣集" 돌베개 2010
28 朴齊家, "貞蕤閣集"
29 "豹菴 姜世晃"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2003
30 李澤厚, "華夏美學" 동문선 1999
31 "界畵特展圖錄" 故宮博物院 1986
32 李紱, "牧堂草藁 卷三十六" 上海古籍出版社 1995
33 백진우, "燕行送序를 통해 본 18세기 南人系 文人들의 意識世界"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7 : 2011
34 "燕杭詩牘"
35 朴趾源, "熱河日記"
36 "澗松文華 83"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12
37 "澗松文華 63"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2
38 "溪山無盡-鴻禧美術館藏清代晩期繪畵" 高雄市立美術館 2002
39 홍대용, "湛軒書"
40 柳得恭, "泠齋集"
41 蘇軾, "東坡題跋" 藝文印書館 1966
42 "朱子語類" 漢京文化事業有限公司印行 1980
43 洪善杓, "朝鮮時代繪畵史論" 文藝出版社 1999
44 鄭炳模, "朝鮮時代 後半期 風俗畵의 연구"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2
45 "明淸肖像畵" 商務印書館 2008
46 王伯敏, "故宮週刊 407" 文物出版社 1999
47 정요일, "天機의 槪念과 天機論의 意義" 우리한문학회 19 : 243-260, 2008
48 "北京文物精粹大系" 北京出版社 2004
49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50 "中國古代繪畵圖目" 文物出版社 2000
51 迮朗, "三萬六千頃湖中畵船錄" 1876
52 金昌翕, "三淵集"
53 신병주, "17세기 후반 소론학자의 사상 - 윤증·최석정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13 : 1994
54 고영진, "17세기 후반 근기남인학자의 사상" 한국역사연구회 13 : 199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1-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1-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71 | 1.169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