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最樂堂 朗原君 李偘 시조의 전승 양상에 관하여 = A Study on the Transmission Patterns of Sijo of 最樂堂 朗原君 李偘(Choi Rakdang Nangwongun Yig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88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collection and transmission aspects of the poetry collections of 最樂堂 朗原君 李偘(1640∼1699) from a genealogical perspective. In this process, it breaks away from the existing concept of transmission, that is, the method of understanding the archetypal preservation of work texts in the first documented literature as a tradition, and embraces the transformation of texts, 斷章取righteous, changes in the author's specification, and even the transmission in a segmental form. 'Expanded inheritance'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he need for an alternative concept of inheritance is as follows. As you can see, with the rise of 'Sijo as literature' in the discourse of national literature since the 20th century, Sijo also has a fixed work text, individual author identity, and a 1:1 author-work relationship required by the form of modern literary works. understood to exist or to have. Such existing understanding methods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identity and enjoyment of the Sijo, and have resulted in the elimination or weakening of the fluidity inherent in the Sijo branch itself. Contrary to conventional wisdom, it can be seen that the ancestors of Nangwon-gun Igan, reconsidered through the concept of extended transmission, continued to be transmitted even after the 19th century.
      In addition, if we look at the aspects of the transmission process, we can find that the 付記 in the first recorded document, 'Chunggeongyeongeon Jinbon', is dropped from the later collection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work changes accordingly. It can also be seen that groups of works, which were understood as a group, are dismantled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and are recognized as independent individual works and rearranged. In other words, even if it is a work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acceptance context and understanding of the work is changing.
      Through this observ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clue for reflective reflection on the concept of sijo tradition along with the artist-work relationship,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fixed and unchanging one-to-one correspondence.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collection and transmission aspects of the poetry collections of 最樂堂 朗原君 李偘(1640∼1699) from a genealogical perspective. In this process, it breaks away from the existing concept of transmission, that is, the m...

      This paper examines the collection and transmission aspects of the poetry collections of 最樂堂 朗原君 李偘(1640∼1699) from a genealogical perspective. In this process, it breaks away from the existing concept of transmission, that is, the method of understanding the archetypal preservation of work texts in the first documented literature as a tradition, and embraces the transformation of texts, 斷章取righteous, changes in the author's specification, and even the transmission in a segmental form. 'Expanded inheritance'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he need for an alternative concept of inheritance is as follows. As you can see, with the rise of 'Sijo as literature' in the discourse of national literature since the 20th century, Sijo also has a fixed work text, individual author identity, and a 1:1 author-work relationship required by the form of modern literary works. understood to exist or to have. Such existing understanding methods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identity and enjoyment of the Sijo, and have resulted in the elimination or weakening of the fluidity inherent in the Sijo branch itself. Contrary to conventional wisdom, it can be seen that the ancestors of Nangwon-gun Igan, reconsidered through the concept of extended transmission, continued to be transmitted even after the 19th century.
      In addition, if we look at the aspects of the transmission process, we can find that the 付記 in the first recorded document, 'Chunggeongyeongeon Jinbon', is dropped from the later collection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work changes accordingly. It can also be seen that groups of works, which were understood as a group, are dismantled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and are recognized as independent individual works and rearranged. In other words, even if it is a work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acceptance context and understanding of the work is changing.
      Through this observ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clue for reflective reflection on the concept of sijo tradition along with the artist-work relationship,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fixed and unchanging one-to-one correspond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最樂堂 朗原君 李偘(1640∼1699) 시조 작품의 가집 수록 및 전승 양상을 계보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전승 개념 즉, 최초로 수록된 문헌에서의 작품 텍스트에 대한 원형적 보존을 전승으로 이해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텍스트의 변개와 斷章取義, 작자 명기의 변화 등 분절적인 형태로의 전승까지도 포괄하는 ‘확장적 전승’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대안적 전승 개념의 필요는 다음과 같다. 주시하다시피 20세기 이후 국민문학 담론 속에서 ‘문학으로서의 시조’가 대두함에 따라 시조 또한 근대문학작품의 형식이 요구하는 고정된 작품 텍스트, 개인으로서의 작가 정체성, 1:1의 작가-작품 관계를 갖고 있거나 혹은 가져야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이와 같은 기존의 이해 방식은 시조의 정체성과 향유방식을 감안하지 못하며, 시조 갈래 자체가 내포한 유동성을 오히려 소거 또는 약화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확장적 전승 개념을 통해 재고된 낭원군 이간의 시조는 기존의 통념과는 달리 19세기 이후에도 전승을 지속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뿐만아니라 그 전승 과정의 면면을 살펴보면, 최초 수록문헌인 『청구영언 진본』에서의 付記가 이후 가집들에서는 탈락하는 양상을 보이며 이에 따라 작품에 대한 이해가 변화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묶음으로 이해되던 작품 군집들이 전승 과정에서 해체되어 독립적인 개별 작품으로 인식되어 후대 가집에서 재배치되는 양상 또한 찾아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후대 가집에서 전승이 지속되는 작품이라 할지라도 그 전승의 의도, 성격, 형태 등이 균질하지 않으며 작품에 대한 수용 맥락과 이해가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그간 고정불변의 1:1 대응 관계로 간주된 작가-작품의 관계와 더불어 시조 전승의 개념에 대한 반성적 성찰의 실마리를 마련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最樂堂 朗原君 李偘(1640∼1699) 시조 작품의 가집 수록 및 전승 양상을 계보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전승 개념 즉, 최초로 수록된 문헌에서의 작품 텍스트에 대...

      본고는 最樂堂 朗原君 李偘(1640∼1699) 시조 작품의 가집 수록 및 전승 양상을 계보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전승 개념 즉, 최초로 수록된 문헌에서의 작품 텍스트에 대한 원형적 보존을 전승으로 이해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텍스트의 변개와 斷章取義, 작자 명기의 변화 등 분절적인 형태로의 전승까지도 포괄하는 ‘확장적 전승’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대안적 전승 개념의 필요는 다음과 같다. 주시하다시피 20세기 이후 국민문학 담론 속에서 ‘문학으로서의 시조’가 대두함에 따라 시조 또한 근대문학작품의 형식이 요구하는 고정된 작품 텍스트, 개인으로서의 작가 정체성, 1:1의 작가-작품 관계를 갖고 있거나 혹은 가져야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이와 같은 기존의 이해 방식은 시조의 정체성과 향유방식을 감안하지 못하며, 시조 갈래 자체가 내포한 유동성을 오히려 소거 또는 약화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확장적 전승 개념을 통해 재고된 낭원군 이간의 시조는 기존의 통념과는 달리 19세기 이후에도 전승을 지속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뿐만아니라 그 전승 과정의 면면을 살펴보면, 최초 수록문헌인 『청구영언 진본』에서의 付記가 이후 가집들에서는 탈락하는 양상을 보이며 이에 따라 작품에 대한 이해가 변화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묶음으로 이해되던 작품 군집들이 전승 과정에서 해체되어 독립적인 개별 작품으로 인식되어 후대 가집에서 재배치되는 양상 또한 찾아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후대 가집에서 전승이 지속되는 작품이라 할지라도 그 전승의 의도, 성격, 형태 등이 균질하지 않으며 작품에 대한 수용 맥락과 이해가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그간 고정불변의 1:1 대응 관계로 간주된 작가-작품의 관계와 더불어 시조 전승의 개념에 대한 반성적 성찰의 실마리를 마련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육민수, "朗原君 李偘의 시조 연구" 반교어문학회 (28) : 151-180, 2010

      2 권순회, "청구영언 김천택편 주해편" 국립한글박물관 2017

      3 박지원, "열하일기 1" 돌베개 2009

      4 김현, "미셸 푸코의 문학비평" 문학과 지성사 1989

      5 헤이든 화이트, "메타역사"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1

      6 강혜정, "김천택의 교유와 『청구영언』의 편찬 과정 검토" 한국시가문화학회 (26) : 5-32, 2010

      7 이형대, "근대계몽기 시가의 역사의미론적 이해" 한국시가학회 37 : 7-32, 2014

      8 최강현, "고시조작가론" 백산출판사 1986

      9 신경숙, "고시조문헌 해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10 김흥규,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1 육민수, "朗原君 李偘의 시조 연구" 반교어문학회 (28) : 151-180, 2010

      2 권순회, "청구영언 김천택편 주해편" 국립한글박물관 2017

      3 박지원, "열하일기 1" 돌베개 2009

      4 김현, "미셸 푸코의 문학비평" 문학과 지성사 1989

      5 헤이든 화이트, "메타역사"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1

      6 강혜정, "김천택의 교유와 『청구영언』의 편찬 과정 검토" 한국시가문화학회 (26) : 5-32, 2010

      7 이형대, "근대계몽기 시가의 역사의미론적 이해" 한국시가학회 37 : 7-32, 2014

      8 최강현, "고시조작가론" 백산출판사 1986

      9 신경숙, "고시조문헌 해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10 김흥규,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11 권순회,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국문시가 자료의 가치" 한국학연구원 (37) : 145-172, 2008

      12 권순회, "樂府(羅孫本)의 계보학적 위상" 한국시가문화학회 (27) : 69-98, 2011

      13 김민화, "最樂堂李偘의 時調硏究"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14 송태규, "‘황진이’에 관한 기억과 그 변모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9-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학회 -> 한국시가문화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ociety of Korean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5-09-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 한국시가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7-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학회 -> 한국고시가문화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4-07-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시가연구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ociety Korean Classic Poetry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5 1.12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