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류성기, "초등 중학년 듣기 교재 메모 내용 분석 및 메모 방법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5 (45): 25-62, 2011
2 류성기, "초등 고학년 듣기 교재 메모할 내용 분석 및 메모 방법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7 (47): 37-67, 2011
3 이창연, "비판적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이혜정, "말성(Orality)과 글성(Literacy)의 교수-학습적 함의: 성적 우수자의 노트필기 전략의 해석 사례" 한국교육공학회 27 (27): 675-700, 2011
5 임희, "듣기 지도를 위한 메모하기 전략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6 류성기, "듣기 교육 효율화를 위한 메모 방법 탐색-초등 저학년을 중심으로-" 배달말학회 47 (47): 137-164, 2010
7 전명남, "높은 학업성취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수행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69-89, 2003
8 김은영, "노트필기훈련이 여자대학생의 학습전략, 주의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525-543, 2010
9 노명완, "국어교육학 개론" 삼지원 2012
10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1 류성기, "초등 중학년 듣기 교재 메모 내용 분석 및 메모 방법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5 (45): 25-62, 2011
2 류성기, "초등 고학년 듣기 교재 메모할 내용 분석 및 메모 방법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7 (47): 37-67, 2011
3 이창연, "비판적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이혜정, "말성(Orality)과 글성(Literacy)의 교수-학습적 함의: 성적 우수자의 노트필기 전략의 해석 사례" 한국교육공학회 27 (27): 675-700, 2011
5 임희, "듣기 지도를 위한 메모하기 전략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6 류성기, "듣기 교육 효율화를 위한 메모 방법 탐색-초등 저학년을 중심으로-" 배달말학회 47 (47): 137-164, 2010
7 전명남, "높은 학업성취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수행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69-89, 2003
8 김은영, "노트필기훈련이 여자대학생의 학습전략, 주의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525-543, 2010
9 노명완, "국어교육학 개론" 삼지원 2012
10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11 최미숙, "국어 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12
12 민병곤, "국어 교육에서 표현 교육의 확장과 통합 방안" 한국국어교육학회 (99) : 7-26, 2014
13 박선미, "구조화된 메모하기 지도가 듣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2학년생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4 김은정, "교육대학교 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학습전략의 특성" 학습전략중재학회 3 (3): 21-37, 2012
15 Peverly, "What predicts skill in lecture note taking?" 99 (99): 167-180, 2007
16 Kobayashi, K., "What limits the encoding effect of note-taking? A meta-analytic examination" 30 (30): 242-262, 2005
17 Faber, J. E., "The effect of note taking on ninth grade students’ comprehension" 21 (21): 257-270, 2000
18 van der Meer, J., "Students’ note-taking challenges in the twenty-first century:considerations for teachers and academic staff developers" 17 (17): 13-23, 2012
19 Castelló, M., "Students’ Note-Taking as a Knowledge-Construction Tool" 5 (5): 265-285, 2005
20 Boyle, J. R., "Strategic Note-Taking for Inclusive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s" 34 (34): 78-90, 2013
21 Katayama, A. D., "Promoting Knowledge Transfer With Electronic Note Taking" 32 (32): 129-131, 2005
22 Makany, T., "Optimising the use of note-taking as an external cognitive aid for increasing learning" 40 (40): 619-635, 2009
23 Igo, L. B., "How Do High-Achieving Students Approach Web-Based, Copy and Paste Note Taking?:Selective Pasting and Related Learning Outcomes" 18 (18): 512-529, 2007
24 Peper, R. J., "Generative effects of note taking during science lectures" 78 : 34-38, 1986
25 Davis, M., "Effects of writing summaries as a generative learning activity during note taking" 24 (24): 47-50, 1997
26 Kiewra, K. A., "Effects of note-taking format and study technique on recall and relational performance" 20 (20): 172-180, 1995
27 Kobayashi, K., "Conditional effects of interventions in note-taking procedures on learning:A meta-analysis" 48 (48): 109-114, 2006
28 Piolat, A., "Cognitive effort during note taking" 19 (19): 291-312,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