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문화예술 플랫폼의 성과 연구: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사이버문학광장’ 사례 =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Online Culture and Arts Platforms: The Case of the Cyber Literature Plaza(Munhak Gwangjang) of the Arts Council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73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government has embarked on various online culture and arts platforms to promote both culture creation and consumption to overcome a gap in cultural infrastructure among regions. In particular, the Arts Council of Korea launched the Cyber Literature Plaza (CLP, Munhak Gwangjang) in 2005, to overcome the ongoing depression of the literature sector by extending the involvement of authors and readers in line with the preference of the “e-generation.” Many writings have suggested that the CLP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reviving literature by creating this new platform for cyber literature.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the achievements of the major contents of the CLP and analyzes its performance, based on the e-Servqual method, with structural survey responses from 200 homepage users and 394 general read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article discusses plans to activate the CLP by promoting public recognition of it, as well as measures to reinforce its contents, and finally proposes some suggestions to improve online culture and arts platforms.
      번역하기

      The Korean government has embarked on various online culture and arts platforms to promote both culture creation and consumption to overcome a gap in cultural infrastructure among regions. In particular, the Arts Council of Korea launched the Cyber Li...

      The Korean government has embarked on various online culture and arts platforms to promote both culture creation and consumption to overcome a gap in cultural infrastructure among regions. In particular, the Arts Council of Korea launched the Cyber Literature Plaza (CLP, Munhak Gwangjang) in 2005, to overcome the ongoing depression of the literature sector by extending the involvement of authors and readers in line with the preference of the “e-generation.” Many writings have suggested that the CLP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reviving literature by creating this new platform for cyber literature.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the achievements of the major contents of the CLP and analyzes its performance, based on the e-Servqual method, with structural survey responses from 200 homepage users and 394 general read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article discusses plans to activate the CLP by promoting public recognition of it, as well as measures to reinforce its contents, and finally proposes some suggestions to improve online culture and arts platfor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부는 지역 간 문화기반시설의 격차를 극복하고, 문화 창작 및 향유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e국악아카데미, e뮤지엄, 공연예술 디지털아카이브 등 다양한 온라인 문화예술 플랫폼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이하 ‘예술위’)가 운영하는 ‘사이버문학광장(이하 ‘문장’)’ 사례를 중심으로 공공부문 온라인 문화예술 플랫폼의 성과를 분석한다. ‘문장’은 작가들에게 창작 기회를 제공하고, 문학 향유층을 확대하는 등 문학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2005년에 개설되었다. 관련 연구들은 대체로 ‘문장’이 사이버문학이라는 새로운 플랫폼 창출을 통해 문학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장’ 주요 서비스들의 연도별 운영실적 분석과 더불어 e-서브퀄기법에 기반한 구조화설문을 통해 이용자와 일반독자를 대상으로 ‘문장’의 운영성과를 분석하였다. 이용자는 이메일조사를 통해 200명, 일반독자는 페이스북 광고 활용 온라인조사를 통해 394명을 조사하였다. 이용자 만족도 분석결과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차원에서 성과가 높은 반면, 반응성, 공감성 측면에서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콘텐츠별 만족도는 문학집배원, 문장의 소리, 사이버문학관, 문장웹진, 글틴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독자 대상 인지도 분석 결과, ‘문장’ 자체에 대한 인지도는 높지만, 개별 콘텐츠들에 대한 인지도는 30%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문장’의 인지도 제고 및 콘텐츠 운영방안을 제안하고, 궁극적으로 온라인 문화예술 플랫폼의 활성화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정부는 지역 간 문화기반시설의 격차를 극복하고, 문화 창작 및 향유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e국악아카데미, e뮤지엄, 공연예술 디지털아카이브 등 다양한 온라인 문화예술 플랫폼을 구축하여...

      정부는 지역 간 문화기반시설의 격차를 극복하고, 문화 창작 및 향유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e국악아카데미, e뮤지엄, 공연예술 디지털아카이브 등 다양한 온라인 문화예술 플랫폼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이하 ‘예술위’)가 운영하는 ‘사이버문학광장(이하 ‘문장’)’ 사례를 중심으로 공공부문 온라인 문화예술 플랫폼의 성과를 분석한다. ‘문장’은 작가들에게 창작 기회를 제공하고, 문학 향유층을 확대하는 등 문학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2005년에 개설되었다. 관련 연구들은 대체로 ‘문장’이 사이버문학이라는 새로운 플랫폼 창출을 통해 문학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장’ 주요 서비스들의 연도별 운영실적 분석과 더불어 e-서브퀄기법에 기반한 구조화설문을 통해 이용자와 일반독자를 대상으로 ‘문장’의 운영성과를 분석하였다. 이용자는 이메일조사를 통해 200명, 일반독자는 페이스북 광고 활용 온라인조사를 통해 394명을 조사하였다. 이용자 만족도 분석결과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차원에서 성과가 높은 반면, 반응성, 공감성 측면에서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콘텐츠별 만족도는 문학집배원, 문장의 소리, 사이버문학관, 문장웹진, 글틴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독자 대상 인지도 분석 결과, ‘문장’ 자체에 대한 인지도는 높지만, 개별 콘텐츠들에 대한 인지도는 30%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문장’의 인지도 제고 및 콘텐츠 운영방안을 제안하고, 궁극적으로 온라인 문화예술 플랫폼의 활성화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신정, "현대시의 매체 수용과 효과" 한국근대문학회 (28) : 163-193, 2013

      2 이삼열, "한국인의 문화예술소비 심리 분석 - ‘취향 절충주의’ 이론 기반 소셜 오피니언 마이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0 (30): 204-227, 2016

      3 헤럴드경제, "팟캐스트부터 컬처카페까지, 불황 속 출판사가 살아남는 법"

      4 주희엽, "전자정부 e-서비스의 수용도 및 품질 만족도 평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5 김정우, "스마트 교육 시대의 문학교육" 국어교육학회 49 (49): 77-105, 2014

      6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사이버 문학광장 운영 효과성 및 향후 운영방향 모색 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7

      7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향수실태 조사 보고서" 2018

      8 강경석, "문학의 인터넷 엑소더스, 어떻게 볼 것인가" 68-76, 2009

      9 김명석, "문학공간으로서의 블로그와 인터넷 시대의 소설 읽기-박범신의 <촐라체>와 황석영의 <개밥바라기별>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40 : 241-271, 2009

      10 한겨레신문, "문학 포털사이트 ‘문장’ 문 열어"

      1 김신정, "현대시의 매체 수용과 효과" 한국근대문학회 (28) : 163-193, 2013

      2 이삼열, "한국인의 문화예술소비 심리 분석 - ‘취향 절충주의’ 이론 기반 소셜 오피니언 마이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0 (30): 204-227, 2016

      3 헤럴드경제, "팟캐스트부터 컬처카페까지, 불황 속 출판사가 살아남는 법"

      4 주희엽, "전자정부 e-서비스의 수용도 및 품질 만족도 평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5 김정우, "스마트 교육 시대의 문학교육" 국어교육학회 49 (49): 77-105, 2014

      6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사이버 문학광장 운영 효과성 및 향후 운영방향 모색 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7

      7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향수실태 조사 보고서" 2018

      8 강경석, "문학의 인터넷 엑소더스, 어떻게 볼 것인가" 68-76, 2009

      9 김명석, "문학공간으로서의 블로그와 인터넷 시대의 소설 읽기-박범신의 <촐라체>와 황석영의 <개밥바라기별>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40 : 241-271, 2009

      10 한겨레신문, "문학 포털사이트 ‘문장’ 문 열어"

      11 장용호, "문학 커뮤니티의 집합적 창작(collective creation) 과정에 대한 생태계적 모형 연구: 온라인 커뮤니티 문장(Munjang)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163-218, 2012

      12 주현진, "문학 문화콘텐츠의 원형, 낭독" 국제언어문학회 (34) : 25-42, 2016

      13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예진흥기금사업 운영실적보고서 혹은 종합운영평가보고서(사이버문학광장)" 2005

      14 김수영, "모바일 웹 서비스에 기반한 문화 콘텐츠의 활용: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29 (29): 31-59, 2012

      15 임수영, "디지털 시대에 직면한 한국 현대시의 변화상 연구" 인문학연구원 72 (72): 375-406, 2015

      16 함정임, "디지털 시대 소설창작 양상 연구 -웹진 발표 소설 「꽃을 본 적이 있다」, 「꽃구경」, 『내 남자의 책』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13 (13): 57-77, 2012

      17 김은미, "공연예술계 온라인 문화매개자의 등장과 변화" 언론정보연구소 49 (49): 74-114, 2012

      18 장철영, "e-서브퀄(e-SERVQUAL) 요인을 이용한 전자정부 e-행정서비스 질 평가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정부학회 19 (19): 367-404, 2007

      19 강회일, "e-Service 운영 전략 개관" 17 (17): 81-91, 2002

      20 Dedeke, A., "Service quality: A fulfillment-oriented and interactionscentred approach" 13 (13): 233-246, 2003

      21 Parasuraman, A., "Refinement and reassessment of SERVQUAL scale" 67 (67): 420-450, 1991

      22 Chaffey, D., "Measuring online service quality, marketin g online: Internet marketing & e-marketing knowledge"

      23 Kang, G., "Hierarchical structure of service quality" 16 (16): 37-50, 2006

      24 Ismail, A.,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service quality features, perceived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2 (2): 230-250, 2009

      25 Loonam, M., "Exploring e-service quality: A study of irish online banking" 26 (26): 759-780, 2008

      26 Van Riel, A. C. R., "Exploring consumer evaluations of e-services: A portal site" 12 (12): 359-377, 2001

      27 Buckley, J., "E-service quality and the public sector" 13 (13): 453-462, 2003

      28 Bolton, R. N., "A multistage model of customers’ assessments of service quality and value" 17 : 375-384,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1-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Culture&Tourism Institute ->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Culture&Trourism Institute -> Korea Culture&Tourism Institute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7 1.57 1.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43 1.95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