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2019학년 1학기 한국예술의 미적 특성을 이해하고 현대디자인에 적용하는 디자인교육을 위해 개설된 〈한국예술과 디자인〉수업의 디자인 결과물을 분석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49484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93-206(1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2019학년 1학기 한국예술의 미적 특성을 이해하고 현대디자인에 적용하는 디자인교육을 위해 개설된 〈한국예술과 디자인〉수업의 디자인 결과물을 분석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
본 논문은 2019학년 1학기 한국예술의 미적 특성을 이해하고 현대디자인에 적용하는 디자인교육을 위해 개설된 〈한국예술과 디자인〉수업의 디자인 결과물을 분석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예술의 미적 특성과 본질에 대한 이해가 디자인전공 학생들에게 미친 영향 및 효과에 대해 파악하는 것으로, 연구결과는 한국적 정체성을 가르치는 디자인 실기 교과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디자인학과의 교수법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수강생의 결과물과 한국예술의 미적 특성과 본질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디자인전공 학생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설문한 결과 첫째, 전통의 직설적 적용보다는 형태적 추상이나 개념적 적용을 더 많이 시도하고 있어, 한국예술의 미적 특성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한국예술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이해가 디자인 창작과정에 도움이 되었으며, 이는 다양한 아이디어 도출이 결과물에 영향을 미친 정도, 수업 후 디자인 작업에 도움이 된 정도, 수업 후 창의적 발상에 도움이 된 정도와도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예술과 디자인〉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수업 이후 디자인 작업의 창의적 발상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예술에 대한 충분한 이해 과정을 거쳐 수업만족도를 향상하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학생은 예술과 디자인 융합 방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교수진들은 현대디자인의 적용을 위한 방법론과 교재를 개발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디자인 사례에 대한 유형 및 체계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inal works of the students and to figure out how understanding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rts have effects on the design works and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The methodology including l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inal works of the students and to figure out how understanding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rts have effects on the design works and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The methodology including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the students’ works, data survey including questionnaire were used.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most students tried abstraction of forms or concept application rather than the direct application of the tradition itself.
Second, understanding on the Korean arts are effective for creative design process and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idea development and the final works, design after the course and creativity.
Third, the statistics showe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on this course, the better the influence on the creative idea developments.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for the students to have a process to understand the methods of applying to modern design and the professors need to develop the teaching materials for effective methodolog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지영, "전통공예와의 융합디자인을 통한 현대문화상품개발 사례분석"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5 (15): 213-222, 2015
2 한남수, "장수명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한 전통디자인요소의 현대화방안에 관한 연구 - 실내공간구성을 위한 가변요소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21 (21): 113-121, 2010
3 이동연, "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 충남의 문화유산을 테마로 한 보드게임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5 (5): 39-48, 2011
4 이완건, "디자인 개념을 통한 전통건축 디자인 지식의 현대적 표현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이후의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0 (20): 11-20, 2004
5 권영필, "“The Aesthetic” in Traditional Korean Art and Its Influence on Modern Life" 한국학중앙연구원 47 (47): 9-34, 2007
6 "www.snu.ac.kr"
7 "www.skku.edu"
8 "www.kookmin.ac.kr"
9 "www.hongik.ac.kr"
10 "www.ewha.ac.kr"
1 문지영, "전통공예와의 융합디자인을 통한 현대문화상품개발 사례분석"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5 (15): 213-222, 2015
2 한남수, "장수명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한 전통디자인요소의 현대화방안에 관한 연구 - 실내공간구성을 위한 가변요소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21 (21): 113-121, 2010
3 이동연, "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 충남의 문화유산을 테마로 한 보드게임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5 (5): 39-48, 2011
4 이완건, "디자인 개념을 통한 전통건축 디자인 지식의 현대적 표현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이후의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0 (20): 11-20, 2004
5 권영필, "“The Aesthetic” in Traditional Korean Art and Its Influence on Modern Life" 한국학중앙연구원 47 (47): 9-34, 2007
6 "www.snu.ac.kr"
7 "www.skku.edu"
8 "www.kookmin.ac.kr"
9 "www.hongik.ac.kr"
10 "www.ewha.ac.kr"
11 "www.design.pusan.ac.kr"
12 "design.inje.ac.kr"
13 "design.donga.ac.kr"
14 "cms2.ks.ac.kr"
15 "cms.pknu.ac.kr"
16 Lee, Ki Dong, "The artistic spirit and aesthetic perception of Koreans" Korean Society of Korean thoughts and culture 2014
17 Kim, Im Soo,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rt" Korean Society of Aesthetics and Science of Art 1999
18 Kwon, Young Pil, "Read Korean Aesthetics Again" Stone-pillow 2015
19 Moon, Myung Dae, "Looking for the best art with Korean beauty 2" Stone-pillow 2007
20 Tak, Seok San, "Korean’s Identity 2" Chaek Sae Sang 105-106, 2016
21 Choi, Gwang Jin, "Korean Aesthetics" Art and Culture 2015
22 Hong, Jin Young, "A Study on the Traditional Expressions in Hotel Lobby Space Interior Design" 22 (22): 87-, 2000
23 The Arts of Korea, "A Resource for Educators"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1
가상현실 기술 융합 기반의 국내 교육 사례 분석 및 콘텐츠 유형 분류 - 중학 교육을 중심으로 -
반려동물 문화 개선을 위한 문화콘텐츠와 인터렉티브 미디어 아트 융합 연구 및 구현
다학제적 관점에서의 스마트 기술 기반 레스토랑 공간디자인 특성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가 한국 썰매종목 발전에 미친 영향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 ![]() |
2019-01-1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9 | 0.707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