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익유연화에 따른 회계정보의 차별적 가치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287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이익관리 중의 하나로서 경영자의 이익유연화 행위여부가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을 차별화시키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익유연화가 이익 및 그 구성요소의 시계열 변동을 안정시킬 경우에는 지속성의 향상을 초래하게 될 것이고, 또한 자본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이익유연화를 고려하여 투자의사결정에 반영할 경우에는이익 및 그 구성요소의 가치관련성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익조정의 결과로 나타난 기업의 이익유연화 정도를 측정함에 있어 Tucker and Zarowin(2006)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익유연화 정도는 다음 두 가지 척도를 사용하였는데, 하나는 영업현금흐름의 변동성 대비 이익의 변동성의 비율이고, 다른 하나는 발생액의 변동과 영업현금흐름의 변동 간의 상관계수이다. 다음으로는 측정된 이익유연화 정도를 바탕으로 각 연도마다 이익유연화 여부를 더미변수로 하여Ohlson(1995) 모형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익과 장부가치의 가치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이익유연화 정도가 높을수록 이익의 가치관련성이 높게나타난 반면, 장부가치의 가치관련성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이익을 현금흐름과 발생액으로 분해하여 가치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영업현금흐름의 변동성 대비 이익의변동성의 비율을 척도로 한 경우, 이익유연화 정도가 높을수록 현금흐름과 발생액의 가치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발생액의 변동과 영업현금흐름 변동 간의 상관계수를 척도로 한 경우, 이익유연화 정도가 높을수록 발생액의 가치관련성은 높게 나타났으나 현금흐름의 가치관련성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일반적인 의미를 지니는 이익관리가 회계정보에 잡음(noise)을 초래하여 가치관련성을 하락시키는 것과는 상반되는 것으로서 이익유연화의 순기능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자본시장이회계정보를 해석함에 있어서 이익유연화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이익관리 중의 하나로서 경영자의 이익유연화 행위여부가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을 차별화시키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익유연화가 이익 및 그 구성요소의 시계열 변동...

      본 연구에서는 이익관리 중의 하나로서 경영자의 이익유연화 행위여부가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을 차별화시키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익유연화가 이익 및 그 구성요소의 시계열 변동을 안정시킬 경우에는 지속성의 향상을 초래하게 될 것이고, 또한 자본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이익유연화를 고려하여 투자의사결정에 반영할 경우에는이익 및 그 구성요소의 가치관련성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익조정의 결과로 나타난 기업의 이익유연화 정도를 측정함에 있어 Tucker and Zarowin(2006)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익유연화 정도는 다음 두 가지 척도를 사용하였는데, 하나는 영업현금흐름의 변동성 대비 이익의 변동성의 비율이고, 다른 하나는 발생액의 변동과 영업현금흐름의 변동 간의 상관계수이다. 다음으로는 측정된 이익유연화 정도를 바탕으로 각 연도마다 이익유연화 여부를 더미변수로 하여Ohlson(1995) 모형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익과 장부가치의 가치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이익유연화 정도가 높을수록 이익의 가치관련성이 높게나타난 반면, 장부가치의 가치관련성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이익을 현금흐름과 발생액으로 분해하여 가치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영업현금흐름의 변동성 대비 이익의변동성의 비율을 척도로 한 경우, 이익유연화 정도가 높을수록 현금흐름과 발생액의 가치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발생액의 변동과 영업현금흐름 변동 간의 상관계수를 척도로 한 경우, 이익유연화 정도가 높을수록 발생액의 가치관련성은 높게 나타났으나 현금흐름의 가치관련성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일반적인 의미를 지니는 이익관리가 회계정보에 잡음(noise)을 초래하여 가치관련성을 하락시키는 것과는 상반되는 것으로서 이익유연화의 순기능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자본시장이회계정보를 해석함에 있어서 이익유연화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tial value relevance of accouting information conditional upon management's income smoothing behavior. If time serial change of income, operational cash flows and accruals is stable by the income smoothing, income persistence will be raised. If investors make a decision considering income smoothing, the value relevance of income, operational cash flow and accruals will be raised. This study measured income smoothing degree which are the rate of operational cash flows volatility versus earnings volatility and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accruals change and operational cash flows chang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tial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based on income smoothing degree. These are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higher income smoothing degree, the higher value relevance of earnings and the smaller value relevance of book value. Second, case of the rate of operational cash flows volatility versus earnings volatility, the higher income smoothing degree, the higher value relevance of operational cash flows and accruals, and case of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accruals change and operational cash flows change, the higher income smoothing degree, the higher value relevance of accruals but the higher income smoothing degree, there is no different of operational cash flows' value relevance.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tial value relevance of accouting information conditional upon management's income smoothing behavior. If time serial change of income, operational cash flows and accruals is stable by the income smoothing, income persi...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tial value relevance of accouting information conditional upon management's income smoothing behavior. If time serial change of income, operational cash flows and accruals is stable by the income smoothing, income persistence will be raised. If investors make a decision considering income smoothing, the value relevance of income, operational cash flow and accruals will be raised. This study measured income smoothing degree which are the rate of operational cash flows volatility versus earnings volatility and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accruals change and operational cash flows chang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tial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based on income smoothing degree. These are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higher income smoothing degree, the higher value relevance of earnings and the smaller value relevance of book value. Second, case of the rate of operational cash flows volatility versus earnings volatility, the higher income smoothing degree, the higher value relevance of operational cash flows and accruals, and case of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accruals change and operational cash flows change, the higher income smoothing degree, the higher value relevance of accruals but the higher income smoothing degree, there is no different of operational cash flows' value relev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개요
      • 제1장 서론
      • 제2장 선행연구
      • 제3장 연구설계
      • 제4장 표본선정 및 분석결과
      • 개요
      • 제1장 서론
      • 제2장 선행연구
      • 제3장 연구설계
      • 제4장 표본선정 및 분석결과
      • 제5장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