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근대계몽기(1880~1910)의 국어교과 성립 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쓰여진 글이다. 교과교육이 성립된 시기는 1895년 소학령과 1899년 중학교령에서부터이다. 그러나 1880년대 『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근대계몽기(1880~1910)의 국어교과 성립 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쓰여진 글이다. 교과교육이 성립된 시기는 1895년 소학령과 1899년 중학교령에서부터이다. 그러나 1880년대 『한...
이 글은 근대계몽기(1880~1910)의 국어교과 성립 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쓰여진 글이다. 교과교육이 성립된 시기는 1895년 소학령과 1899년 중학교령에서부터이다. 그러나 1880년대 『한성주보』 및 개화사상가들의 상소문 등에서는 근대식 교육 제도의 도입과 교과교육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체계적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근대식 학교가 설립되었고, 갑오경장 이후로는 근대식 학제가 공식적으로 확립되었다.
근대식 학제 아래에서의 교과목은 주로 실용과목 중심이었다. 이는 각종 논설류나 학교 시행규칙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개화를 뒷받침하는 이론적 근거가 실용주의에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학제의 도입을 뒷받침할 만한 경험적 토대도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학제 도입, 학교 설립, 교과목 설치 등이 체계적일 수 없었고, 따라서 교육 내용과 교수 학습 방법 등도 초기의 상태를 벗어날 수 없었다. 그러나 1900년대를 지나면서, 근대식 교육 이론의 도입이나 교과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새로운 교육의 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 시기는 통감시대의 학정잠식이라는 시대적 한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고려한다 할지라도 국어교과가 공식적으로 등장하는 과정은 국어교과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주목할 만한 일로 평가된다. 이는 국문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와 같은 입장에서 이 글은 ‘교과의 필요성과 국문의 실용성을 인식했던 시기(1880~1895)’, ‘독서 · 작문 · 습자라는 교과목이 존재했던 시기(1895~1905)’, ‘국어교과가 등장했던 시기(1906~1910)’,으로 시대를 세분하고, 그 과정에서 교과론의 전개 양상, 국문 인식의 변화, 국어교과의 변천을 살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researched the history of established to Korean Subject in Enlightenment of Modern Recent Time(EMRT). In this time, civilization thinkers recognized the needs of educational system and the course of study. For example, PARK YOUNG H...
This study aimed to researched the history of established to Korean Subject in Enlightenment of Modern Recent Time(EMRT). In this time, civilization thinkers recognized the needs of educational system and the course of study. For example, PARK YOUNG HYO(박영효) appealed the needs of Korean education in school. But in this time, Korean government couldn't established school system.
In 1895, Korean government promulgated to the rules of Educational Principles, so called ‘Kyo-Yuk Ip-Kuk Jo-Sed(교육입국조사)’ and the law of elementary school system(So-Hakgyo Ryeong : 소학교령). In 1899, the government promulgated the law of middle school system(Jung-Hakgyo Ryeong : 중학교령). The government promulgated these management principles of these school system, so called ‘So-Hakgyo Si-Haeng Gyu-Chik(중학교 시행 규칙)’. In these management principle, Korean subject was not founded, but we founded Dok-Seo(독서 : reading), Jak-Mun(작문 : writing), Se-Beop(서법 : the study of letters). But in this time, Korean enlightenment thinkers wrote many articles of importance of Korean.
In 1906, Government promulgated Bo-Thong Hak-Gyo Ryeong(보통학교령) and Go-Dung Hak-Gyo Ryeong(고등학교령). The Subject of Korean established in these management of two Hak-Gyo Ryeong. The field of Korean constructed of Dok-Beop(독법 : the method of reading), Cheol-Beop(철법 : the method of writing) Se-Beop(서법 : the method of letters). In this time, Korean thinkers introduced scientific pedagogy, linguistics and the course study. For example, RYU GUN(류근, 1906), JANG EUNG-JIN(장웅진, 1907), JEONG YOUNG THAK(정영택, 1908) introduced these science.
In 1910, Hak-Bu(the ministry of education) published the textbook of educational subject. The name of this textbooks was Bo-Thong Gyo-Yuk-Hak(보통교육학). We could found the changing shape of subject, and teaching method. But these changing were not meaned development, because in this time we were interfered by colonial power, so called Thong-Gam Bu(통감부).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의 교육정책" 교육과학사 1991
2 "한국의 교과서-근대교과용도서의 성립과 발전"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1
3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2002
4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2002
5 "한국교육개관" 행정신문출판부 1956
6 "한국교육10년사" 한국교육10년사 간행위원회 1958
7 "한국 현대 국어정책 연구" 1994
8 "통감시대의 어문정책" 한국어문교육학회 18 : 2003
9 "조선어과 시말과 일어교육의 역사적 배경" 1985
10 "일제강점기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조선어교육" 한말연구학회 14 : 2004
1 "한국의 교육정책" 교육과학사 1991
2 "한국의 교과서-근대교과용도서의 성립과 발전"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1
3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2002
4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2002
5 "한국교육개관" 행정신문출판부 1956
6 "한국교육10년사" 한국교육10년사 간행위원회 1958
7 "한국 현대 국어정책 연구" 1994
8 "통감시대의 어문정책" 한국어문교육학회 18 : 2003
9 "조선어과 시말과 일어교육의 역사적 배경" 1985
10 "일제강점기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조선어교육" 한말연구학회 14 : 2004
11 "역대문법대계" 탑출판사 1977
12 "신국어교육론" 1957
13 "민주주의 국어교수법 강화" 1947
14 "문자보급운동교재" LG상남언론재단 1999
15 "근대계몽기의 어문정책"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0 : 2002
16 "근대계몽기 어문교과 형성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회 16 : 2003
17 "국어교육학의 이론화 탐색" 일지사 1995
18 "국어교육전사(중)(하)"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
19 "국어교육을 위한 응용국어학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20 "국어교육사연구" 신구문화사 1975
21 "국어교육 논저목록" 1,2 : 2004
22 "국어교과학의 지평"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23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5
24 "국문론 논설 집성" 탑출판사 1977
25 "교수와 교과에 대하여" 태극학회 13-, 1907
26 "과도기의 교과서" 한글학회 1617 : 2004
27 "개화기의 교과용 도서" 교육출판사 1973
28 "개화기 국어과교육의 연구" 1984
29 "개화기 교육개혁 연구" 을유문화사 1991
30 "綜合敎育學敎科書" 帝國地方行政學會 1923
31 "日本敎育學敎授法摘要" 1938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
자기조절학습전략,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학업적 동기와 자기평가의 차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3-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3 | 1.63 | 1.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8 | 1.27 | 1.781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