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포츠이벤트 개최의 설명력과 가치론적 정당성 논의 = Axiological discussion of legitimacy and reasonability of holding sports ev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449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legitimacy associated with holding sports events. The utilitarian perspective claims there is a need to choose the course of action since holding a sports event enhances happiness by creating economic utility. Structural-functionalistic perspective observes that holding sports event influences individuals, local communities, and national development to maintain the order of the entire society and in turn contribute to the social stability. Conflict theory and critical theory can be set as the balanced and alternative perspective which keeps unconditional and blind tendency to hold sports event in check and gropes for future us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economic value of holding sports event is justified through calculation as an economic ripple effect based on utility. The political value expects the effects of national inte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with the processes of symbolization, identification, and manipulation through various ceremonial activities. The socio-cultural value involve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maturing desirable sports cul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legitimacy associated with holding sports events. The utilitarian perspective claims there is a need to choose the course of action since holding a sports event enhances happ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legitimacy associated with holding sports events. The utilitarian perspective claims there is a need to choose the course of action since holding a sports event enhances happiness by creating economic utility. Structural-functionalistic perspective observes that holding sports event influences individuals, local communities, and national development to maintain the order of the entire society and in turn contribute to the social stability. Conflict theory and critical theory can be set as the balanced and alternative perspective which keeps unconditional and blind tendency to hold sports event in check and gropes for future us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economic value of holding sports event is justified through calculation as an economic ripple effect based on utility. The political value expects the effects of national inte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with the processes of symbolization, identification, and manipulation through various ceremonial activities. The socio-cultural value involve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maturing desirable sports cul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스포츠이벤트 개최와 관련된 이론적 시각과 가치론적인 정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스포츠이벤트 개최는 경제적 효용성을 창출하여 행복을 증진시키기 때문에 그 행위는 선택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구조기능주의는 스포츠이벤트 개최가 사회전체의 질서를 유지시킴으로써 사회통합에 기여한다고 보기 때문에 정당화된다. 갈등론은 스포츠이벤트가 경제적 동력에 의해 형성되는 방식과 정치 및 경제엘리트가 그들의 이득을 획득하고자 스포츠이벤트를 이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비판이론은 스포츠이벤트가 사회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재생산되는 변화의 장으로 이해하여 문화, 권력에 따른 사회적 불평등, 이데올로기 등의 측면에서 이해하는데 유용한 대안적 틀이다. 한편, 스포츠이벤트 개최의 경제적 가치는 현시적 측면에서 중요시되는 가치로써 효용성에 기반한 경제적 파급효과로 산출되어 정당화된다. 정치적 가치는 잠재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다양한 의식적 행위를 통한 상징, 동일화, 조작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국민화합, 사회통합 등의 효과를 기대한다. 사회문화적 가치는 스포츠이벤트가 단순히 정치경제학적 효과에 머물지 않고, 건전한 스포츠문화를 성숙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회를 제공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스포츠이벤트 개최와 관련된 이론적 시각과 가치론적인 정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스포츠이벤트 개최는 경제적 효용성을 창출하여 행복을 증진시...

      이 연구는 스포츠이벤트 개최와 관련된 이론적 시각과 가치론적인 정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스포츠이벤트 개최는 경제적 효용성을 창출하여 행복을 증진시키기 때문에 그 행위는 선택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구조기능주의는 스포츠이벤트 개최가 사회전체의 질서를 유지시킴으로써 사회통합에 기여한다고 보기 때문에 정당화된다. 갈등론은 스포츠이벤트가 경제적 동력에 의해 형성되는 방식과 정치 및 경제엘리트가 그들의 이득을 획득하고자 스포츠이벤트를 이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비판이론은 스포츠이벤트가 사회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재생산되는 변화의 장으로 이해하여 문화, 권력에 따른 사회적 불평등, 이데올로기 등의 측면에서 이해하는데 유용한 대안적 틀이다. 한편, 스포츠이벤트 개최의 경제적 가치는 현시적 측면에서 중요시되는 가치로써 효용성에 기반한 경제적 파급효과로 산출되어 정당화된다. 정치적 가치는 잠재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다양한 의식적 행위를 통한 상징, 동일화, 조작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국민화합, 사회통합 등의 효과를 기대한다. 사회문화적 가치는 스포츠이벤트가 단순히 정치경제학적 효과에 머물지 않고, 건전한 스포츠문화를 성숙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회를 제공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갑, "한국 스포츠문화의 현실과 과제: 학교체육" 한국체육철학회 18 (18): 241-252, 2010

      2 강순화, "지역투입산출모형에 의한 스포츠이벤트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 39 (39): 213-222, 2010

      3 송석록, "지역 스포츠이벤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31 (31): 307-318, 2007

      4 조우정, "지역 스포츠이벤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1 (11): 113-125, 2006

      5 전용배, "왜 지방자치단체는 국제스포츠이벤트를 유치하고자 하는가" 107 : 9-15, 2009

      6 남상우, "올림픽과 거주지의 관계:도시개발, 강제퇴거 그리고 소수자들의 주변화"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1 (21): 381-400, 2008

      7 이창섭, "스포츠이벤트와 창조적 도시 마케팅" 한국체육학회 26-37, 2009

      8 전호문, "스포츠이벤트관광객들의 소비지출 패턴 및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0 (10): 51-62, 2005

      9 김영갑, "스포츠이벤트 개최의 미래적 응시" 한국체육철학회 15-31, 2008

      10 오현택, "스포츠이벤트 개최에 대한 공리주의적 접근과 한계" 한국체육철학회 16 (16): 69-81, 2008

      1 김영갑, "한국 스포츠문화의 현실과 과제: 학교체육" 한국체육철학회 18 (18): 241-252, 2010

      2 강순화, "지역투입산출모형에 의한 스포츠이벤트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 39 (39): 213-222, 2010

      3 송석록, "지역 스포츠이벤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31 (31): 307-318, 2007

      4 조우정, "지역 스포츠이벤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1 (11): 113-125, 2006

      5 전용배, "왜 지방자치단체는 국제스포츠이벤트를 유치하고자 하는가" 107 : 9-15, 2009

      6 남상우, "올림픽과 거주지의 관계:도시개발, 강제퇴거 그리고 소수자들의 주변화"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1 (21): 381-400, 2008

      7 이창섭, "스포츠이벤트와 창조적 도시 마케팅" 한국체육학회 26-37, 2009

      8 전호문, "스포츠이벤트관광객들의 소비지출 패턴 및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0 (10): 51-62, 2005

      9 김영갑, "스포츠이벤트 개최의 미래적 응시" 한국체육철학회 15-31, 2008

      10 오현택, "스포츠이벤트 개최에 대한 공리주의적 접근과 한계" 한국체육철학회 16 (16): 69-81, 2008

      11 한광걸, "스포츠의 사회학적 이해"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4

      12 김동규, "스포츠의 사회운동적 이해"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7

      13 남상우, "스포츠사회학" 궁미디어 2009

      14 정희준, "스포츠메가이벤트와 경제효과:그 진실과 허구의 재구성"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1 (21): 229-251, 2008

      15 김영갑, "스포츠 집합행동의 표출성향 및 이미지 해독" 영남대학교 2004

      16 박경열, "스포츠 메가 이벤트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2020 부산 하계올림픽 개최의 비용편익 분석을 중심으로" 20 (20): 163-187, 2008

      17 김태동,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강원도 레저스포츠이벤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32 (32): 307-314, 2008

      18 조한범, "메가스포츠이벤트 유치와 지역사회 발전의 비판적 견해" 한국체육학회 227-227, 2010

      19 이강우, "메가-스포츠이벤트의 정치경제학" 한국체육철학회 14 (14): 151-171, 2006

      20 전용배, "녹색성장과 스포츠" 한국체육철학회 17 (17): 1-13, 2009

      21 박영옥, "국제스포츠이벤트의 사회경제적 효과와 평가방법" 107 : F16-23, 2009

      22 박보현, "국제스포츠이벤트 유치결정과정" 107 : 24-31, 2009

      23 Tyrrell, T., "framework for assessing direct economic impacts of tourist events: Distinguishing origins, destinations, and causes of expenditures" 40 (40): 94-100, 2001

      24 Ahlert, G, "The economics effects of the soccer world cup 2006 in Germany with regard to different financing" 13 (13): 109-127, 2001

      25 Coakley, J. J, "Sport in society: Issues and controversies" Times Mirror/Mosby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4-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3-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0.947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