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합법사행산업과 불법도박 참여행동 및 연관성 검증을 통한사행산업 건전화 정책 고찰 = A Study on Gambling Policy Focusing on Investigation of Legal and Illegal Gambling Participants' Behavior and Relation between Legal and Illegal Gamb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042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mplication on gambling policy to induce wholesome gambling participation.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legal and illegal gambling participants' behavior and relation between legal and illegal gambling. This study consists of 2 parts. First, we verify the differences in gambling addiction possibility and motivation between legal and illegal gambling participants. Second, we verify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n ballon effect and locomotive effect between illegal gambling participants and experts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motivation and gambling addiction possibility between legal and illegal gambling participations. Illegal gambling participants' gambling addiction possibility is much higher than legal gambling participants'. Also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netary' and 'escape from daily life and seeking amusement' motivation between legal and illegal gambling groups while no differences in 'social' reason. Another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balloon effect are partially supported by both illegal gambling participants and expert group. On the other hand, experts partially supported locomotive effects while illegal gambling participants did not. Based on theses analysis, some implications including prevention and education policy on gambling addition and illegal gambling are provid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mplication on gambling policy to induce wholesome gambling participation.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legal and illegal gambling participants' behavior and relation between legal and illegal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mplication on gambling policy to induce wholesome gambling participation.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legal and illegal gambling participants' behavior and relation between legal and illegal gambling. This study consists of 2 parts. First, we verify the differences in gambling addiction possibility and motivation between legal and illegal gambling participants. Second, we verify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n ballon effect and locomotive effect between illegal gambling participants and experts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motivation and gambling addiction possibility between legal and illegal gambling participations. Illegal gambling participants' gambling addiction possibility is much higher than legal gambling participants'. Also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netary' and 'escape from daily life and seeking amusement' motivation between legal and illegal gambling groups while no differences in 'social' reason. Another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balloon effect are partially supported by both illegal gambling participants and expert group. On the other hand, experts partially supported locomotive effects while illegal gambling participants did not. Based on theses analysis, some implications including prevention and education policy on gambling addition and illegal gambling are provi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레저관광 활동의 하나인 사행산업 참여의 건전화를 유도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고자 도박중독 수준과 이용 동기 등 합법사행산업과 불법도박 참여행동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합법사행산업과 불법도박 간의 연관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두 개의 부문으로 구성되었는데, 첫째는 도박유병률과 도박 참여 동기에 대한 ‘주로 합법사행산업 참여자’와 ‘불법도박 참여자 ’간의 차이 검증이고, 둘째는 풍선효과와 기관차효과에 대한 ‘불법도박 참여자’와 ‘관광업계 및 학계 전문가’의 인식 차이이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주로 합법사행산업 참여자(331명), 주로 불법도박 참여자(293명), 불법도박 참여자(75명), 관광업계 및 학계 전문가(183명)를 대상으로 온라인 및 대면조사를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합법사행산업 참여자와 불법도박 참여자 간에는 도박중독 유병률과 도박참여 동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도박중독 유병률(%)의 경우 합법사행산업 참여자(46.5%)에 비해 불법도박 참여자(81.2%)가 매우 높게 나타나 불법도박 참여자의 도박중독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도박참여 동기 요인에서는 ‘일상탈출 및 유희적 동기’와 ‘금전적 동기’는 불법도박 그룹이 유의하게 높은 평균을 보인 반면 ‘사교적 동기’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법도박 참여에 대한 풍선효과와 기관차효과에 대한 불법도박 참여자와 전문가의 의식조사에서는 불법도박 참여자들은 풍선효과는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반면 기관차 효과는 기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문가들은 풍선효과와 기관차 효과 모두에 대해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2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도박이 건전한 레저관광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불법도박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도박중독에 예방, 치유, 교육 등의 대처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합법사행산업 규제에 있어 풍선효과를 저감시켜 효과적인 정책실행을 하기 위해서는 불법도박에 대한 대처방안이 전제되어야 한다. 연구 결과와 시사점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레저관광 활동의 하나인 사행산업 참여의 건전화를 유도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고자 도박중독 수준과 이용 동기 등 합법사행산업과 불법도박 참...

      본 연구는 레저관광 활동의 하나인 사행산업 참여의 건전화를 유도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고자 도박중독 수준과 이용 동기 등 합법사행산업과 불법도박 참여행동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합법사행산업과 불법도박 간의 연관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두 개의 부문으로 구성되었는데, 첫째는 도박유병률과 도박 참여 동기에 대한 ‘주로 합법사행산업 참여자’와 ‘불법도박 참여자 ’간의 차이 검증이고, 둘째는 풍선효과와 기관차효과에 대한 ‘불법도박 참여자’와 ‘관광업계 및 학계 전문가’의 인식 차이이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주로 합법사행산업 참여자(331명), 주로 불법도박 참여자(293명), 불법도박 참여자(75명), 관광업계 및 학계 전문가(183명)를 대상으로 온라인 및 대면조사를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합법사행산업 참여자와 불법도박 참여자 간에는 도박중독 유병률과 도박참여 동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도박중독 유병률(%)의 경우 합법사행산업 참여자(46.5%)에 비해 불법도박 참여자(81.2%)가 매우 높게 나타나 불법도박 참여자의 도박중독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도박참여 동기 요인에서는 ‘일상탈출 및 유희적 동기’와 ‘금전적 동기’는 불법도박 그룹이 유의하게 높은 평균을 보인 반면 ‘사교적 동기’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법도박 참여에 대한 풍선효과와 기관차효과에 대한 불법도박 참여자와 전문가의 의식조사에서는 불법도박 참여자들은 풍선효과는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반면 기관차 효과는 기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문가들은 풍선효과와 기관차 효과 모두에 대해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2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도박이 건전한 레저관광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불법도박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도박중독에 예방, 치유, 교육 등의 대처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합법사행산업 규제에 있어 풍선효과를 저감시켜 효과적인 정책실행을 하기 위해서는 불법도박에 대한 대처방안이 전제되어야 한다. 연구 결과와 시사점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우, "주40시간근무제와 관광일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2 박충호, "조사시기에 따른 자연관광자원의 가치추정" 한국관광학회 35 (35): 221-238, 2011

      3 홍미영,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중국인의 제주방문수요 결정요인 분석" 한국관광학회 35 (35): 137-154, 2011

      4 김대호, "소득탄력도와 국내경기변수를 이용한 계량경제적예측에 관한 연구 - 제주방문 내국인관광객을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35 (35): 343-360, 2011

      5 이민재, "문화관광산업의 한·중·일 국제경쟁력 비교연구 - 문화콘텐츠산업과 연계하여 -" 한국관광학회 34 (34): 401-419, 2010

      6 "기상청"

      7 송운강, "국제관광과 무역간의 인과성 검정" 대한관광경영학회 19 (19): 163-175, 2004

      8 "국립국어원"

      9 이돈재, "국립공원 탐방객의 월별 계절변동 분석" 한국관광학회 27 (27): 155-175, 2003

      10 "국가통계포털"

      1 김재우, "주40시간근무제와 관광일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2 박충호, "조사시기에 따른 자연관광자원의 가치추정" 한국관광학회 35 (35): 221-238, 2011

      3 홍미영,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중국인의 제주방문수요 결정요인 분석" 한국관광학회 35 (35): 137-154, 2011

      4 김대호, "소득탄력도와 국내경기변수를 이용한 계량경제적예측에 관한 연구 - 제주방문 내국인관광객을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35 (35): 343-360, 2011

      5 이민재, "문화관광산업의 한·중·일 국제경쟁력 비교연구 - 문화콘텐츠산업과 연계하여 -" 한국관광학회 34 (34): 401-419, 2010

      6 "기상청"

      7 송운강, "국제관광과 무역간의 인과성 검정" 대한관광경영학회 19 (19): 163-175, 2004

      8 "국립국어원"

      9 이돈재, "국립공원 탐방객의 월별 계절변동 분석" 한국관광학회 27 (27): 155-175, 2003

      10 "국가통계포털"

      11 김사헌, "관광학연구방법론" 백산출판사 2011

      12 "관광지식정보시스템"

      13 정승호, "관광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유명관광지를 대상으로 -" 한국관광학회 37 (37): 55-78, 2013

      14 오상훈, "관광매력성의 계절간 비교 연구: 제주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7 (17): 83-98, 2005

      15 이훈, "계절성에 따른 혼잡지각의 인과구조분석: 해변관광지를 중심으로" 14 : 177-188, 2001

      16 송운강, "경포 해수욕장의 경제적 가치추정: 가산자료모형을 이용한 개인여행비용분석" 한국관광학회 28 (28): 11-25, 2004

      17 "강원통계정보"

      18 Daniel, A. C. M., "Volatility and Seasonalityof Tourism Demand in Portugal" 2010 (2010): 87-102, 2010

      19 Hartmann, R., "Tourism, seasonality and social change" 5 (5): 25-33, 1986

      20 Sutcliffe, C. M., "The measurement of seasonalitywithin the tourist industry : an application to tourist arrivals in Spain" 12 (12): 429-441, 1980

      21 Nadal, J. R., "The economic determinantsof seasonal patterns" 31 (31): 697-711, 2004

      22 BarOn, R., "The Measurement of Seasonality and its Economic Impacts" 5 : 437-458, 1999

      23 Yacoumis, J., "Tackling seasonality : the case of Sri Lanka" 1 (1): 84-98, 1980

      24 Koenig-Lweis, N., "Seasonality research : the stateof the art" 7 : 201-221, 2005

      25 Butler, R., "Seasonality in tourism: issues and problem, In Tourism: The State of the Art" John Wiley & Wiley & SonsLtd 332-339, 1994

      26 Butler, R., "Seasonality in Tourism: Problems and Measurement" In Quality Management in Urban Tourism 9-23, 1997

      27 O'Mahony, B., "Seasonality in Tourism Industry : Impact and Strategies" CRC for Sustainable Tourism Pty Ltd 2008

      28 Goulding, P. J., "Seasonal Tradingand Lifestyle Motivation: Experiences of Small Tourism Businesses inScotland" 5 (5): 209-238, 2004

      29 Cuccia, T., "Seasonal Tourism Flows in UNESCO sites :the case of Sicily" University of Catania 2011

      30 Dritsakis, N., "Seasonal Analysis of Tourist Revenus : An empiricalresearch for Greece" 3 (3): 57-70, 2008

      31 Baum, T., "Responses to seasonality : the experiences ofperipheral destinations" 1 (1): 299-312, 1999

      32 Jang, S. S., "Mitigating Tourism Seasonality" 31 (31): 819-836, 2004

      33 Lundtorp, S., "Measuring Tourism Seasonality" Seasonality in Tourism 23-50, 2001

      34 Bender, O., "Measuring Seasonalityin Central Europe's Tourism-how and for what?" 303-309, 2005

      35 Commons, J., "Managing Seasonality in PeripheralTourism Regions : The Case of Northland, New Zealand, In Seasonality in Tourism" Pergamon 153-172, 2001

      36 Hinch, T. D., "Leisure constrains research : itsvalue a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ourism seasonality" 3 (3): 87-106, 2000

      37 Ferna´ ndez-Morales, A., "Decomposing Seasonal Concentration" 30 (30): 942-956, 2003

      38 Tingzhen Chen., "Asian Tourism Seasonality" James Cook University 2010

      39 Gonzàalez. P., "Analysis of Tourism Trends in Spain" 23 (23): 739-754, 1996

      40 Wilton, D., "An analysis of the seasonal variation inthe National Tourism Indicators - a report prepared for the CanadianTourism Commission" University ofWaterloo 1998

      41 김대관, "AHP를 활용한 관광자원개발사업 평가 : 계획단계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1 (21): 5-18, 2007

      42 Lim, C., "A Seasonal Analysis of Asian Tourist Arrivalto Australia" 21 (21): 499-509, 2000

      43 강원발전연구원, "2012 얼음나라 화천 산천어 축제 평가 및 발전 방향"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5 1.95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82 2.049 0.9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