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격루 오디세이: 나의 과학사 연구 30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903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참고문헌 (Reference)

      1 土屋榮夫, "復原中國古代科技之集大成: 水運儀象臺" 134 (134): 35-, 1996

      2 山田慶兒, "復元水運儀象臺: 十一世紀中國の天文觀測時計塔" 新曜社 1997

      3 남문현, "한국의 물시계: 자격루와 제어계측공학의 역사"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4 전상운, "한국의 과학문화재 조사보고" 6 (6): 58-118, 1984

      5 한영호, "조선의 천문시계: 수격식 혼천시계" (113) : 57-83, 2001

      6 한영호, "조선의 천문시계: 세종의 흠경각루에 대하여" 1 (1): 11-152, 2000

      7 조지프 니덤, "조선의 서운관: 조선의 천문의기와 시계에 관한 기록" 살림 53-83, 2010

      8 남문현, "제어 시스템 공학" 자유아카데미 8-10, 1990

      9 남문현, "장영실과 자격루" 서울대학교 출판부 227-234, 2002

      10 남문현, "자격루의 원형을 찾아서, in 장영실과 자격루"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1 土屋榮夫, "復原中國古代科技之集大成: 水運儀象臺" 134 (134): 35-, 1996

      2 山田慶兒, "復元水運儀象臺: 十一世紀中國の天文觀測時計塔" 新曜社 1997

      3 남문현, "한국의 물시계: 자격루와 제어계측공학의 역사"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4 전상운, "한국의 과학문화재 조사보고" 6 (6): 58-118, 1984

      5 한영호, "조선의 천문시계: 수격식 혼천시계" (113) : 57-83, 2001

      6 한영호, "조선의 천문시계: 세종의 흠경각루에 대하여" 1 (1): 11-152, 2000

      7 조지프 니덤, "조선의 서운관: 조선의 천문의기와 시계에 관한 기록" 살림 53-83, 2010

      8 남문현, "제어 시스템 공학" 자유아카데미 8-10, 1990

      9 남문현, "장영실과 자격루" 서울대학교 출판부 227-234, 2002

      10 남문현, "자격루의 원형을 찾아서, in 장영실과 자격루"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11 국립고궁박물관, "자격루, in 전시안내도록" 284-289, 2007

      12 서준, "자격루 복원 과정과 의의" (1) : 92-134, 2007

      13 남병철, "의기집설(儀器輯說) 上卷, 혼천의설 下卷험시의설(驗時儀說)"

      14 한국과학문화재단, "우리의 과학문화재" 서해문집 1997

      15 "보루각자격루의 복원 설계" 문화재관리국 1998

      16 남문현, "물시계를 이용한 한국의 시간측정방법에 대한 시스템 연구" 10 : 75-89, 1985

      17 홍대용, "담헌서(湛軒書) 卷8, 外集농수각기(籠水閣記)"

      18 "그리스의 안티키테라 기계장치 연구 프로젝트(antikythera mechanism research project)"

      19 전상운, "과학기술문화재 복원 기초조사 및 설계용역 보고서" 문화재관리국 74-, 1992

      20 박성래, "韓國科學史" 한국방송사업단 1982

      21 남문현, "自擊漏의 水位制御方式에 대한 歷史的考察" 23 : 91-103, 1998

      22 王振鐸, "科技考古論叢" 文物出版社 238-273, 1989

      23 "科技考古論叢" 文物出版社 238-274, 1989

      24 홍이섭, "科學技術文化의 歷史的推移: 그 斷層近代와의 乖離" (10) : 6-10, 1958

      25 "環球時報" 1997

      26 地動儀, "漢張衡候風地動儀製法的推測" (20) : 1936

      27 "洪以燮全集1: 科學史海洋史" 연세대학교출판부 359-, 1993

      28 李志超, "水運儀象臺釋義" (3) : 1996

      29 李志超, "水運儀象志- 中國古代天文鐘的歷史" 中國科學技術大學出版社 1997

      30 南文鉉韓永浩李秀雄梁必承, "朝鮮朝의 渾天儀硏究" 39 : 519-543, 1995

      31 남문현, "朝鮮初期의 時制" 37 : 83-97, 1993

      32 南文鉉, "朝鮮世宗朝觀天授時儀表創製事業和自擊漏" 中國與其他國間天文學交融史國際學術硏討會, 中國北京古觀象臺 1993

      33 南文鉉, "對于朝鮮世宗朝創制的觀天授時儀器的技術考祭(漢語)" 14 (14): 42-50, 1995

      34 王振鐸, "宋代水運儀象臺的復原" (9) : 1-9, 1958

      35 "增補文獻備考"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0

      36 李志超, "唐宋元水輪天文鐘和星象演示器와 水運儀象臺的物理分析和解疑"

      37 陳延杭, "古代天文鐘: 蘇頌水運儀象臺復原模型硏制" (1) : 52-67, 1994

      38 華同旭, "中國漏刻" 安徽科學技術出版社 1991

      39 劉仙洲, "中國在原動力方面的發明" 1 (1): 1953

      40 "中國在傳動機件方面的發明" 1 (1): 1954

      41 "世祖實錄"

      42 남문현, "世宗自擊漏의 更點報時시스템의 復元" 38 (38): 1022-1032, 1989

      43 남문현, "世宗自擊漏의 報時시스템에 관한 硏究" 11 (11): 19-38, 1989

      44 남문현, "世宗朝의 漏刻에 관한 硏究" 57 : 53-94, 1988

      45 박성래, "世宗朝自擊漏에 관한 재고찰" 333-339, 1991

      46 "世宗實錄"

      47 M. H Nam, "The Reconstruction of King Sejong's Striking Clepsydra Jagyeongnoo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31 (31): 461-470, 2010

      48 J. Needham, "The Hall of Heavenly Records: Korean Astronomical Instruments and Clocks, 1380-1780 (HHR)"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1986

      49 J.H.Combridge,"The Celstial Balance:A Practical Reconstruction,"Horological Journal 104:2, "The Celstial Balance: A Practical Reconstruction" 104 (104): 82-86, 1962

      50 J. Needham,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SCC)"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7-518, 1965

      51 Needham, Ling,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517-518,

      52 J. Needham,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9

      53 E. J. Chikofsky, "Reverse Engineering and Design Recovery: A Taxonomy" 7 (7): 1317-, 1317

      54 Gao Xuan, "Research on the Perfect Water-powered Astronomical Instrument of Ancient China: The Astronomical Clock Tower" 135-139, 2000

      55 A. J. Turner, "Reconstruction of Su Song's Astronomical and Time-telling Tower, in Time Museum Catalogue of Collection: Time Measuring Instruments, Part 3, Water-clocks, Sand-glasses, Fire-clocks" Time Museum 59-65, 1984

      56 H-S. Yan, "Reconstruction Design of Lost Ancient Chinese Machinery" Springer 2007

      57 M. H. Nam, "One inflow clepsydra model with dual-time signal generator" 1998

      58 W. C. Rufus, "Korean Astronomy" The Bravch 1936

      59 Ibn al-Razzaz Al-Jazari, "Kitab fi ma'rifat al-hiyal al-handasiyya (The Book of Knowledge of Ingenious Mechanical Devices)" Reidel Pub. Co. 1974

      60 A. Y. al-Hassan, "Islamic Technology: An Illustrated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5, 1986

      61 J. Needham, "Heavenly Clockwork: The Great Astronomical Clocks of Medieval China (HC)"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 1986

      62 Needham, Ling, "Heavenly Clockwork" 51-215,

      63 Needham, "Heavenly Clockwork" Combridge 211-212,

      64 Needham, "Combridge and Major, The Hall of Heavenly Records" 33-38,

      65 M. H. Seo, "Clock-Work Mechanisms of the Automatic Striking Clepsydra Jagyungnu" 341-350, 2000

      66 M. H. Nam, "Chagyongnu: The Automatic Striking Water-Clock" 30 (30): 23-44, 1990

      67 M H. Nam, "Chagyongnu: The Automatic Striking Water-Clock" 30 (30): 23-44, 1990

      68 O. Mayr, "Authority, Liberty & Automatic Machinery in Early Modern Europ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6

      69 H. Diels, "Antike Technik" 1914

      70 J. Marchant, "Ancient Astronomy: Mechanical Inspiration" 468 : 496-498, 2010

      71 M. H. Nam, "A Reconstruction of Double-hour Annunciating System of the King Sejong's Striking Clepsydra" 1990

      72 남문현, "15世紀韓國의 물시계에 대한 制御工學的解析, in 大韓電氣學會計測制御硏究學術大會論集" 47-52, 1985

      73 서문호, "(IV)-경점기계" 31 : 95-104, 2006

      74 한영호, "(III)-주시기계" 31 : 85-94, 2006

      75 김성균, "(II)-계시시스템" 31 : 75-84, 2006

      76 이재효, "(I)-누기" 31 : 67-74,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HANGUK KWAHAK-SA HAKHOE-JI -> The Korean Journal for the History of Scienc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69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