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무시멘트 비구컵을 이용한 단독 비구 재치환술시 일체형과 조합형 대퇴스템의 비교 = Comparison of Monoblock and Modular Femoral Stem on Isolated Acetabular Revision with Use of Uncemented C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5927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무시멘트 비구컵을 이용한 단독 비구 재치환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조사하고, 일체형과 조합형 대퇴스템간의 결과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0...

      목적: 무시멘트 비구컵을 이용한 단독 비구 재치환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조사하고, 일체형과 조합형 대퇴스템간의 결과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0월부터 2002년 6월까지 골 이식과 함께 무시멘트 비구컵을 이용하여 단독 비구 재치환술을 시행 받은 3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5년 3개월(2년 1개월~9년 8개월)이었으며, 수술시 평균 연령은 51세(26~75세)이었다. 일체형 대퇴스템이 19례, 조합형이 20례이었다. 일체형의 경우 수술 당시 육안적으로 대퇴 골두에 찰과 흔적이 없고, 대퇴스템이 안정된 경우 대퇴스템을 보존하였고, 조합형의 경우는 새로운 대퇴 골두로 모두 치환하였다. 결과: 임상적 평가로 술 전 Harris 고관절 점수는 57에서 87점으로 향상되었다. 방사선학적으로 모든 대퇴스템은 최종 추시까지 해리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골내성장을 보이는 안정된 대퇴스템을 유지하였다. 재재치환술을 시행한 경우는 총 5례로 과도한 폴리에틸렌 컵의 마모로 인한 골 용해와 비구컵 해리가 3례, 골용해 없이 비구컵의 기계적 해리에 의한 경우가 2례로 모두 대퇴 골두를 교환하지 못한 일체형 대퇴스템에서 발생하였다. 폴리에틸렌의 평균 마모율도 재재치환술을 시행한 일체형 대퇴스템의 경우 0.27 mm/year로서 조합형 대퇴스템의 마모율 0.11 mm/year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일체형 대퇴스템의 경우 인공 골두가 육안적 찰과 흔적이 없더라도 추후 발생할 심한 폴리에틸렌 마모 등에 의한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비구컵 뿐 아니라 안정 고정된 일체형 대퇴스템도 재치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assess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isolated acetabular revision and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between monoblock and modular femoral stem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1991 and June ...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assess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isolated acetabular revision and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between monoblock and modular femoral stem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1991 and June 2002, 39 patients (39 hips) underwent isolated acetabular revisions with use of uncemented cups and bone grafts. The mean period of follow-up was 5 years 3 months (range, 2 years 1 month to 9 years 8 month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at the time of the surgery was 51 years old (range, 26 to 75 years old). The monoblock femoral stems were used in 19 hips and the modular femoral stems were used in 20 hips. The monoblock stems were retained without exchange provided that there was no gross scratch on the femoral head and the femoral stem was confirmed to be stable and fixed intraoperatively. In the modular stems, the femoral heads were always exchanged with new ones. Results: The mean Harris hip score improved from 57 to 87 points. Radiologically, all the stems retained at surgery remained well osseointegrated without osteolysis. Re-revisions of the acetabular components were performed in 5 hips using monoblock stems due to periacetabular osteolysis caused by excessive wear of polyethylene and subsequent loosening of the cups in 3 hips and mechanically unstable acetabular cups without osteolysis in 2 hips. The mean wear rate of polyethylene coupled with the monoblock stem was 0.27 mm/year which was greater than the 0.11 mm/year in the cases with modular stems. Conclusion: To prevent failure of acetabular cups that may occur later by excessive wear of polyethylene, we recommend revision of the well-fixed monoblock femoral stems even though there is no gross scratch on the femoral heads of the monoblock stem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6-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고관절학회지 -> Hip and Pelvis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p Society -> Hip and Pelvi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4 0.04 0.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5 0.05 0.16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