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국내 박물관 개방형 수장고의 전시디자인 사례 연구 -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열린 수장고를 중심으로 - = A Case Study of Exhibition Design of the Open Storage in Korean Museum - Focused o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PAJU’s Open Storag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38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ast, museums were based on the collection and possession of collections, while the paradigm of modern museums has shifted to utilization and sharing of collections. Therefore, a storage, which had been restricted from access for the preservation of collections, is evolving into an accessible and open space. In this regard, the number of open storages that have already been opened or are about to open soon,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focusing on national and public museums. However, the role is still focused on ‘storage’ and ‘conservation’, centering on the storage environment and spatial composition of a storage area for the work of storage managers (curators), and simple physical accessibility, so it is insufficient in terms of exhibition and design.
      This study considered a series of processes and results as a case study on a storage from the multilateral approach in terms of ‘exhibition’ and ‘exhibition design’, which cannot be overlooked in an open storage, as well as in terms of ‘storage’ and ‘preservation’, through which it was confirmed that the open storage should also be established as an integrated environment under the concept of ‘exhibition’ by recognizing and approaching the collections as a content and a medium of communication, and in the process, exhibition design was also an essential element.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on in-depth design methodology should be continued to communicate with various visitors and to share and utilize the contents of the collection by applying more active and three-dimensional planning and design to the open storage to be built in a future.
      번역하기

      In the past, museums were based on the collection and possession of collections, while the paradigm of modern museums has shifted to utilization and sharing of collections. Therefore, a storage, which had been restricted from access for the preservati...

      In the past, museums were based on the collection and possession of collections, while the paradigm of modern museums has shifted to utilization and sharing of collections. Therefore, a storage, which had been restricted from access for the preservation of collections, is evolving into an accessible and open space. In this regard, the number of open storages that have already been opened or are about to open soon,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focusing on national and public museums. However, the role is still focused on ‘storage’ and ‘conservation’, centering on the storage environment and spatial composition of a storage area for the work of storage managers (curators), and simple physical accessibility, so it is insufficient in terms of exhibition and design.
      This study considered a series of processes and results as a case study on a storage from the multilateral approach in terms of ‘exhibition’ and ‘exhibition design’, which cannot be overlooked in an open storage, as well as in terms of ‘storage’ and ‘preservation’, through which it was confirmed that the open storage should also be established as an integrated environment under the concept of ‘exhibition’ by recognizing and approaching the collections as a content and a medium of communication, and in the process, exhibition design was also an essential element.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on in-depth design methodology should be continued to communicate with various visitors and to share and utilize the contents of the collection by applying more active and three-dimensional planning and design to the open storage to be built in a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과거 박물관이 소장품의 수집과 소유에 근간을 두었다면 현대 박물관은 소장품의 활용과 공유로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소장품 보존을 위해 접근이 제한되었던 수장고는 접근 가능한 개방적인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등장한 개방형 수장고는 최근 국·공립 박물관을 중심으로 이미 개관되었거나, 곧 개관을 앞두고 있을 정도로 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여전히 ‘수장’과 ‘보존’의 역할에 집중되어 수장환경과 수장고 관리자(학예사)의 작업을 위한 수장보존영역의 공간 구성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단순한 물리적 접근성 개방에 그치는 등 전시와 디자인 측면은 아쉬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장고의 ‘수장’과 ‘보존’은 물론이거니와 개방형 수장고에서 간과할 수 없는 ‘전시’와 ‘전시디자인’의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한 실제 사례 연구로 일련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개방형 수장고의 소장품을 콘텐츠이자 커뮤니케이션의 매체로서 인식 및 접근하여 ‘전시’라는 개념 아래 통합된 환경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전시디자인 또한 필수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생겨날 개방형 수장고는 보다 더 적극적이고 입체적인 기획과 디자인이 적용되어, 다양한 관람객과 소통하고 소장품이 지니는 콘텐츠를 공유 및 활용될 수 있도록 심도있는 디자인 방법론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번역하기

      과거 박물관이 소장품의 수집과 소유에 근간을 두었다면 현대 박물관은 소장품의 활용과 공유로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소장품 보존을 위해 접근이 제한되었던 수장고는 접근 가능한 개방...

      과거 박물관이 소장품의 수집과 소유에 근간을 두었다면 현대 박물관은 소장품의 활용과 공유로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소장품 보존을 위해 접근이 제한되었던 수장고는 접근 가능한 개방적인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등장한 개방형 수장고는 최근 국·공립 박물관을 중심으로 이미 개관되었거나, 곧 개관을 앞두고 있을 정도로 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여전히 ‘수장’과 ‘보존’의 역할에 집중되어 수장환경과 수장고 관리자(학예사)의 작업을 위한 수장보존영역의 공간 구성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단순한 물리적 접근성 개방에 그치는 등 전시와 디자인 측면은 아쉬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장고의 ‘수장’과 ‘보존’은 물론이거니와 개방형 수장고에서 간과할 수 없는 ‘전시’와 ‘전시디자인’의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한 실제 사례 연구로 일련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개방형 수장고의 소장품을 콘텐츠이자 커뮤니케이션의 매체로서 인식 및 접근하여 ‘전시’라는 개념 아래 통합된 환경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전시디자인 또한 필수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생겨날 개방형 수장고는 보다 더 적극적이고 입체적인 기획과 디자인이 적용되어, 다양한 관람객과 소통하고 소장품이 지니는 콘텐츠를 공유 및 활용될 수 있도록 심도있는 디자인 방법론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보영, "현대 뮤지엄 개방형 수장고의 관람공간 특성 연구" 홍익대 2022

      2 양지연, "소장품의 활용과 개방형 수장고의 교육적 역할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9 (9): 1-23, 2014

      3 이정화, "박물관전시의 서사구조 고찰" 대한전시디자인학회 1 : 2004

      4 윤선영, "박물관 전시에서 디자인의 역할과 협력에 관한 연구" 대한전시디자인학회 7 (7): 5-12, 2010

      5 김바다, "민속계 박물관 개방형 수장고에 관한 연구: 국립민속박물관 개방형 수장고를 중심으로" 중앙대 2022

      6 최정아, "물리적 접근성 측면에서의 뮤지엄 개방형 수장고 유형 및 공간디자인 경향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68) : 33-44, 2019

      7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소식 2021.7월호"

      8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소식 2021.10월호"

      9 "국립민속박물관"

      10 우재희, "개방형수장고의 수장전시 공간 개념과 공간 특성 기초 연구" 홍익대 2019

      1 김보영, "현대 뮤지엄 개방형 수장고의 관람공간 특성 연구" 홍익대 2022

      2 양지연, "소장품의 활용과 개방형 수장고의 교육적 역할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9 (9): 1-23, 2014

      3 이정화, "박물관전시의 서사구조 고찰" 대한전시디자인학회 1 : 2004

      4 윤선영, "박물관 전시에서 디자인의 역할과 협력에 관한 연구" 대한전시디자인학회 7 (7): 5-12, 2010

      5 김바다, "민속계 박물관 개방형 수장고에 관한 연구: 국립민속박물관 개방형 수장고를 중심으로" 중앙대 2022

      6 최정아, "물리적 접근성 측면에서의 뮤지엄 개방형 수장고 유형 및 공간디자인 경향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68) : 33-44, 2019

      7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소식 2021.7월호"

      8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소식 2021.10월호"

      9 "국립민속박물관"

      10 우재희, "개방형수장고의 수장전시 공간 개념과 공간 특성 기초 연구" 홍익대 2019

      11 김보영 ; 임채진 ; 우재희, "개방형 수장고의 운용 특성 및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67) : 9-20, 2019

      12 (사)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개방형 수장고 및 정보센터 건립 기본계획 연구" 국립민속박물관 2014

      13 Lord Barry, "Manual of Museum Exhibitions"

      14 Hilberry, J. D, "Behind the scenes: Strategies for visible storage" 81 (81):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