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메타버스 개념을 적용한 안전체험관 체험 콘텐츠에 관한 기초적 연구 = A Basic Study on the Experience Content of Safety Experience Center with Metaverse Concep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38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large-scale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have occurred frequently. Due to the occurrence of such disasters and accidents, interest in public safety has increased very much, and the necessity of various safety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In order for individuals to minimize disaster damage and ultimately reduce national losse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safety experience center, but the domestic situation is ver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demand for safety experience education. In addition,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so regional arrangements are needed. In addition, a standardized safety experience education model is needed by establishing a safety experience center for each government department.
      This study proposes a new type of safety experience center to solve the problem of facilities where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is unbalanced locally and the need for a standardized safety education model. This is to establish a Metaverse environment in which multiple instructors and students can simultaneously participate in virtual spaces to complete safety education through education of educators, deliver safety information, and experience safety knowledge.
      번역하기

      Recently, large-scale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have occurred frequently. Due to the occurrence of such disasters and accidents, interest in public safety has increased very much, and the necessity of various safety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Recently, large-scale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have occurred frequently. Due to the occurrence of such disasters and accidents, interest in public safety has increased very much, and the necessity of various safety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In order for individuals to minimize disaster damage and ultimately reduce national losse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safety experience center, but the domestic situation is ver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demand for safety experience education. In addition,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so regional arrangements are needed. In addition, a standardized safety experience education model is needed by establishing a safety experience center for each government department.
      This study proposes a new type of safety experience center to solve the problem of facilities where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is unbalanced locally and the need for a standardized safety education model. This is to establish a Metaverse environment in which multiple instructors and students can simultaneously participate in virtual spaces to complete safety education through education of educators, deliver safety information, and experience safety knowled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대형 재난과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재난과 사고의 발생으로 국민 안전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졌고, 이에 따른 다양한 안전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 되고 있다. 개인 스스로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고 궁극적으로 국가적 손실을 줄이는 방향으로 생활화하기 위해서는 안전체험관의 설치가 필수적인데, 국내상황은 안전체험교육 수요에 비해서 시설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고 특정지역에 시설이 집중되어 있어서 지역적 안배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정부 부처별로 안전체험관 설치를 개별로 진행함으로써 표준화된 안전체험 교육모형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체험관이 지역적으로 불균형되어 있는 시설의 문제와 표준화된 안전교육 모델 필요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안전체험관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다중 피교육자와 교육자가 가상공간에 동시에 참여하여 교육자의 교육을 통한 안전교육을 이수하고, 안전정보전달, 안전지식체험 등을 할 수 있는 메타버스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대형 재난과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재난과 사고의 발생으로 국민 안전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졌고, 이에 따른 다양한 안전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 되고 있다. ...

      최근 대형 재난과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재난과 사고의 발생으로 국민 안전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졌고, 이에 따른 다양한 안전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 되고 있다. 개인 스스로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고 궁극적으로 국가적 손실을 줄이는 방향으로 생활화하기 위해서는 안전체험관의 설치가 필수적인데, 국내상황은 안전체험교육 수요에 비해서 시설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고 특정지역에 시설이 집중되어 있어서 지역적 안배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정부 부처별로 안전체험관 설치를 개별로 진행함으로써 표준화된 안전체험 교육모형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체험관이 지역적으로 불균형되어 있는 시설의 문제와 표준화된 안전교육 모델 필요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안전체험관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다중 피교육자와 교육자가 가상공간에 동시에 참여하여 교육자의 교육을 통한 안전교육을 이수하고, 안전정보전달, 안전지식체험 등을 할 수 있는 메타버스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범, "종합안전체험관 체험공간 및 콘텐츠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 가상현실, 증강현실을 중심으로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16 (16): 5-16, 2019

      2 배재현, "안전체험관 사업의 운영실태와 개선방향" 국회입법조사처 2020

      3 가천대학교, "안전체험관 건립 표준모델 개발 연구" 국민안전처 2016

      4 한혜원, "메타버스 내 가상세계의 유형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9 (9): 317-323, 2008

      5 김지숙, "대학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실태와 향후 과제"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995-1021, 2021

      6 김주영 ; 박정환, "대학 교수자들의 온라인 수업 전환 경험 분석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36 (36): 839-871, 2020

      7 Paul Jackson, "the Real Business of Virtual World" Forrester Research

      8 Williams-Bell, F, "Using serious games and virtual simulation for training in the fire service: a review" 51 (51): 553-584, 2015

      9 Edward Castronova, "The Right to Play"

      10 Ahn, J, "The President and Futur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md Metaverse" NIA 2021

      1 김정범, "종합안전체험관 체험공간 및 콘텐츠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 가상현실, 증강현실을 중심으로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16 (16): 5-16, 2019

      2 배재현, "안전체험관 사업의 운영실태와 개선방향" 국회입법조사처 2020

      3 가천대학교, "안전체험관 건립 표준모델 개발 연구" 국민안전처 2016

      4 한혜원, "메타버스 내 가상세계의 유형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9 (9): 317-323, 2008

      5 김지숙, "대학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실태와 향후 과제"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995-1021, 2021

      6 김주영 ; 박정환, "대학 교수자들의 온라인 수업 전환 경험 분석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36 (36): 839-871, 2020

      7 Paul Jackson, "the Real Business of Virtual World" Forrester Research

      8 Williams-Bell, F, "Using serious games and virtual simulation for training in the fire service: a review" 51 (51): 553-584, 2015

      9 Edward Castronova, "The Right to Play"

      10 Ahn, J, "The President and Futur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md Metaverse" NIA 2021

      11 Neal Stephenson, "Snow crash" Literature world history 38-39, 2021

      12 Jean Baudrillard, "Selected Writi ngs" Standford University Press 2021

      13 Cha, Jaekwang, "Noninvasive determination of fiber orientation and tracking 2-dimensional deformation of human skin utilizing spatially resolved reflectance of infrared light measurement in vivo" 142 : 170-180, 2019

      14 Marie-Laure Ryan, "Narrative as Virtual Realit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3

      15 Betsy Book, "Moving Beyond the Game: Social Virtual Worlds" 2004

      16 David Gelernter, "Mirror Worlds"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17 John Smart, "Meta verse Roadmap,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s, 「Metaverse Roadmap Summit」" SRI International Menlo Park

      18 Jinhyuk Kim, "Hands-Free User Interface for VR Headsets Based on In Situ Facial Gesture Sensing" 20 (20): 7206-, 2020

      19 Erica Naone, "Creating a Web of Worlds"

      20 Alvarez, Julian, "An introduction to Serious game Definitions and concepts" 11 (11): 11-15, 2001

      21 Dionisio, John David N, "3D virtual worlds and the metaverse: Current status and future possibilities" 45 (45): 1-38,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