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영화산업에 있어서 지식기반자원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Knowledge-based Resources on Performance: The Case of Korean Film Industry during 1981-200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289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 of knowledge-based resources on performance. The Korean film industry during 1981-2000 was chosen for the purpose of empirical examination because knowledge-based...

      Based on the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 of knowledge-based resources on performance. The Korean film industry during 1981-2000 was chosen for the purpose of empirical examination because knowledge-based resources are critical in the film industry. This study operationally defined knowledge-based resources of film industry as producers, directors, screenwriters, and actors. And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superiority of those knowledge-based resources was associated with superior performanc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artistic and business superiority of knowledge-based resources were indeed associated with superior performance in Korean film industry.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for the case of producers who played commercial roles in film making, only the business superiority was associated with better performance; and reversely for the cases of directors and actors who played artistic roles, only the artistic superiority was associated with better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alance between artistic value and business value is important in cultural indust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원준거관점에 입각하여 지식기반자원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한국영화산업을 대상으로 하여 실증적인 이해를 도모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기초하...

      본 연구는 자원준거관점에 입각하여 지식기반자원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한국영화산업을 대상으로 하여 실증적인 이해를 도모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영화의 흥행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식기반자원을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인적자원인 제작자, 감독, 작가, 배우로 정의하고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 이러한 인적자원들이 영화의 흥행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이들이 영화산업에서의 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지식기반자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이들 지식기반자원의 우수성을 예술적 측면과 사업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영화의 흥행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제작자의 경우는 사업적 우수성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감독과 배우의 경우에는 예술적 우수성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화산업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서 지식기반자원의 예술적 우수성 및 사업적 우수성이 영화의 흥행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영화의 흥행성과라는 관점에서 보면, 영화제작에 있어서 사업적 영역의 역할을 하는 제작자는 사업적 우수성이 예술적 우수성보다 중요하고, 예술적 영역의 역할을 하는 감독 및 배우는 예술적 우수성이 사업적 우수성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작가의 경우에는 예술적 우수성뿐만 아니라 사업적 우수성도 영화의 흥행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화의 흥행성과라는 관점에서 보면, 작가의 예술적 우수성과 사업적 우수성이 모두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나타난, 역할에 따른 예술적 우수성과 사업적 우수성의 중요성의 차이는 영화산업에서의 예술적 가치와 사업적 가치간의 균형이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1.04 2.13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