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역사가 하나의 사실이 아니라 복수의 사실로 구성된다는 논증을 통해 사실과 이념의 경계에서 역사철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필자는 무엇보다 눈으로 볼 수 있는 것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427922
2010
Korean
100
KCI등재
학술저널
97-126(3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역사가 하나의 사실이 아니라 복수의 사실로 구성된다는 논증을 통해 사실과 이념의 경계에서 역사철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필자는 무엇보다 눈으로 볼 수 있는 것만...
이 논문은 역사가 하나의 사실이 아니라 복수의 사실로 구성된다는 논증을 통해 사실과 이념의 경계에서 역사철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필자는 무엇보다 눈으로 볼 수 있는 것만을 보는 역사, 귀로 들을 수 있는 것만을 듣는 역사철학을 현실 긍정의 체계로 해석한다. 모든 형태의 이념을 부정하는 사실의 역사는 배제되고 감금된 사람들의 탄식과 비탄의 소리를 들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 글에서 배제되고 감금된 것의 시선으로 역사의 사실을 되묻는 역사철학을 지향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역사적 사실, 가상, 실재의 관계를 새롭게 규정하면서 랑케(L. v. Ranke)의 실증사학에 대한 비판을 시도한다. 이 과정에서 배제를 배제하는 사실로서의 역사를 사실과 이념의 상호 제약적 관계에서 찾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offers a new possibility in the historical philosophy through argument that the history is composed of not a single fact but plural facts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fact and the idea. Above all, I interpret history which only see what ...
This article offers a new possibility in the historical philosophy through argument that the history is composed of not a single fact but plural facts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fact and the idea. Above all, I interpret history which only see what can see with eye and also historical philosophy which only hears what can hear with ear as a system of the reality affirmation. It is because the history of fact that negates all kind of ideology is unable to listen sigh and grief of the people who are excluded and confined. This paper is aimed at historical philosophy that ask again the fact of history with a view of the thing is excluded and confined. For this purpose, I tend to criticise positive history of L. v. Ranke, while I determine the relation of historical fact, imagination and reality with a new point of view. In this process, history as fact which excludes exclusion finds a possibility in the intercross constrained relation of the fact and the ide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토이니센, 미하엘, "존재와 가상" 용의숲 2008
2 루카치, 게오로그, "이성의 파괴" 심설상 1997
3 마르쿠제, H, "이성과 혁명" 중원문화 1988
4 지젝, 슬라보예,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인간사랑 2002
5 지젝, 슬라보예, "실재의 열망, 가상의 열망 in: 탈이데올로기 시대의 이데올로기" 철학과현실사 2005
6 지젝, 슬라보예, "시차적 관점" 마티 2009
7 지젝, 슬라보예,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 도서출판b 2007
8 손철성, "마르쿠제: 일차원적 사회, 유토피아적 상상력, 인간해방 in: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 옹기장이 2010
9 아도르노, Th. W,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지성사 2001
10 Ranke, L. v, "Über die Epochen der neueren Geschichte"
1 토이니센, 미하엘, "존재와 가상" 용의숲 2008
2 루카치, 게오로그, "이성의 파괴" 심설상 1997
3 마르쿠제, H, "이성과 혁명" 중원문화 1988
4 지젝, 슬라보예,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인간사랑 2002
5 지젝, 슬라보예, "실재의 열망, 가상의 열망 in: 탈이데올로기 시대의 이데올로기" 철학과현실사 2005
6 지젝, 슬라보예, "시차적 관점" 마티 2009
7 지젝, 슬라보예,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 도서출판b 2007
8 손철성, "마르쿠제: 일차원적 사회, 유토피아적 상상력, 인간해방 in: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 옹기장이 2010
9 아도르노, Th. W,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지성사 2001
10 Ranke, L. v, "Über die Epochen der neueren Geschichte"
11 Ranke, L. v, "Über das Studium der Geschichte" R. Oldenbourg 1971
12 Ranke, L. v, "Vorlesungseinleitungen" R. Oldenbourg 1975
13 Hegel, G. W. F,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Kunst"
14 Barthes, R, "The Discourse of History,in: Comparative Criticism, 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15 Habermas, J, "Technik und Wissenschaft als Ideologie" Suhrkamp 1969
16 Ranke, L. v, "Tagebücher" R. Oldenbourg 1964
17 Hedinger, H.-W, "Subjektivität und Geschichtswissenschaft" Duncker&Humblot 1969
18 Destler, Ch. Mc, "Some Observations on Contemporary Historical Theory" 55 : 1950
19 Cassier, E, "Nachgelassene Manuskripte und Texte" F. Meiner 2002
20 Herbst, L, "Komplexität und Chaos: Grundzüge einer Theorie der Geschichte" C. H. Beck 2004
21 Droysen, J. G, "Histiorik" Frommann -Holzboog 1997
22 Rohbeck, J, "Geschichtephilosophie" Junius 2008
23 Habermas, J, "Gegen einen positivistisch halbierten Rationalismus in: Der Positivismusstreit in der deutschen Soziologie"
24 Ranke, L. v, "Frühe Schriften" R. Oldenbourg 1973
25 Habermas, J, "Erkenntnis und Interesse" Suhrkamp 1973
26 Müller,P, "Erkenntnis und Erzählung: Ästhetische Geschichtsdeutung in der Historiographie von Ranke, Burckhardt und Taine" Böhlau 2008
27 Ranke, L. v, "Englische Geschichte vornehmlich in siebzehnten Jahrhundert, Bd. 2"
28 Simmel, G, "Die Probleme der Geschichtsphilosophie: eine erkenntnistheoretische Studie"
29 Rath, N, "Dialektik des Scheins in: Kolloquium Kunst und Philosophie 2: Ästhetischer Schein" UTB 1982
30 Baberowski, J, "Der Sinn der Geschichte: Geschichtstheorien von Hegel bis Foucault" C. H. Beck 200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ocial Philosophy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7-0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사회와 철학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8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83 | 1.656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