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목적 宋代 문인들이 창작한 聯句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문헌적 조사를 진행함과 동시에, 구체적인 작품의 내용과 형식적 특징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聯句는 일종의 문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0890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의 목적 宋代 문인들이 창작한 聯句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문헌적 조사를 진행함과 동시에, 구체적인 작품의 내용과 형식적 특징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聯句는 일종의 문인 ...
1. 연구의 목적
宋代 문인들이 창작한 聯句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문헌적 조사를 진행함과 동시에, 구체적인 작품의 내용과 형식적 특징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聯句는 일종의 문인 간의 인적, 문학적 교류였음에 주목하여, 聯句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宋代 문인들 간의 교류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학적, 문화적 함의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연구의 내용
2.1 ≪全宋詩≫에 수록되어 있는 宋代 聯句詩에 대한 전면적 조사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聯句詩가 수록되어 있는 자료들을 대상으로 문헌 조사를 진행한다. 宋代 聯句詩는 대략 140여수가 전해지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통계 자료가 보이지 않아 宋代 聯句詩 창작 현황을 가늠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全宋詩≫에 수록되어 있는 聯句詩에 대한 정밀한 조사를 진행하며, 더불어 宋代 출현한 시화나 필기류 등을 대상으로 宋代 聯句詩 창작 현황을 보완 조사한다.
2.2 宋代 聯句詩의 내용과 형식 분석
聯句詩는 集句, 回文, 轆轤體 등을 활용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내용 면에 있어서도 문인 간의 상호 교류를 위한 목적 이외에도 한시 학습을 위해 창작된 작품, 정치적 견해를 나타낸 작품도 존재하는바,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宋代 문인들의 聯句詩 창작이 지니는 내용적 특징을 분류하여 聯句詩 창작의 의미와 경향에 대해 고찰한다.
2.3 집단 창작을 통한 宋代 문인들의 문학적 교류망 구축
본 연구에서는 宋代 聯句詩 창작에 참여한 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관계망을 구축한다. 특히 宋代는 문학적 집단화가 명확히 드러나는데, 聯句詩 창작을 통해 이러한 문인들의 관계망 구축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각 집단 간의 문학적 경향성 역시 논의한다.
2.4 聯句詩 창작의 의미와 그 문화적 함의 고찰
聯句詩는 놀이라는 목적성 그리고 집단 창작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놀이를 목적으로 창작된 시체가 지니는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聯句詩 창작이 지니는 의미를 고찰할 것이다. 사실 宋代에 접어들면 이처럼 고도의 시재를 요하는 聯句詩를 비롯한 잡체시 창작이 다양화되고 작품의 수에서도 급격한 증가를 보여주고 있는바, 宋代 聯句詩 창작을 통해 당시 잡체시 창작의 의미와 문화적 함의에 대해 규명한다.
3. 연구방법
본 연구는 宋代에 창작된 聯句詩에 대한 고찰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宋代 聯句詩에 대한 전면적인 문헌 조사를 진행한다. 현재까지 宋代 聯句詩에 대해서는 그 분량이 얼마나 되는지, 어떠한 작가가 몇 수의 聯句詩를 창작하였는지에 대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宋代 聯句詩에 대한 조사는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北京大學古文獻硏究所에서 편한 ≪全宋詩≫를 기본 자료로 삼아 宋代 聯句詩에 대한 문헌 조사를 진행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全宋詩≫이외에도 시화집이나 데이터베이스화된 자료들에 수록되어 있는 聯句詩들을 조사하여 宋代 聯句詩 창작 현황에 대한 완정한 자료 구축을 마련할 것이다.
이상의 宋代 聯句詩에 대한 문헌 정리가 마무리되면, 이를 기반으로 聯句詩의 내용과 형식적 특징에 대한 분석을 진행할 것이다. 또한 聯句詩에 참여한 宋代 문인들에 대한 기초 자료에 근거하여 宋代 문인들 간의 문학적 교류에 대한 분포도를 완성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놀이를 목적으로 하는 聯句詩의 사회문화적 함의에 대해 규명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