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제협약에서 유전자원 디지털염기서열정보(DSI)에 대한 논의 동향 및 주요 쟁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ends and Major Issues of Discussion on Digital Sequence Information(DSI) on Genetic Resources in International Conven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31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생물다양성협약과 그 부속의정서인 나고야의정서에 따르면, 유전자원을 이용할 때는 유전자원 제공국으로부터 접근허가를 취득해야 하고, 유전자원 제공자와 이익공유 계약을 체결해야 한...

      생물다양성협약과 그 부속의정서인 나고야의정서에 따르면, 유전자원을 이용할 때는 유전자원 제공국으로부터 접근허가를 취득해야 하고, 유전자원 제공자와 이익공유 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그렇다면 유전자원 디지털염기서열정보(DSI)를 이용할 때에도 나고야의정서 상의 접근 및 이익공유 절차를 준수해야 하는가? 이는 현재 생물다양성협약과 나고야의정서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 중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오늘날 많은 연구자와 과학자들은 유전자원 DSI를 연구·개발에 이용하고 있다. 또한 최근 DNA 염기서열 분석기술이 개발되면서 유전자원 DSI는 빠르게 DB에 축적되고 있고, 연구 및 상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자유롭게 이용되던 유전자원 DSI가 나고야의정서의 적용 대상이 될 경우, 생명공학 분야의 연구개발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유전자원 DSI의 나고야의정서 접근 및 이익공유 대상 여부가 선진국과 개도국 간에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는 가운데, 생물다양성협약에서는 유전자원 DSI 용어의 적절성, 유형 및 범위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먼저 생물다양성협약과 나고야의정서에서 유전자원 DSI가 논의되기 시작한 배경 및 지금까지의 논의 동향, 주요 합의사항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유전자원 DSI의 용어, 유형 및 범위, 나고야의정서 적용대상 여부 등 유전자원 DSI에 대한 주요 쟁점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바이오산업계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및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Nagoya Protocol, which is an annexed protocol, when using genetic resources, access permits shoul be obtained from the country providing genetic resources, and a benefit-sharing contract shou...

      According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Nagoya Protocol, which is an annexed protocol, when using genetic resources, access permits shoul be obtained from the country providing genetic resources, and a benefit-sharing contract should be concluded with the genetic resource providers. If so, should the access and benefit-sharing procedures of the Nagoya Protocol be followed even when using genetic resource digital sequence information(DSI)? This is currently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Nagoya Protocol. Today, many researchers and scientists mainly use the genetic resource DSI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rather than the genetic resource itself. In addition,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DNA sequencing technology, genetic resource DSI is rapidly accumulating in DBs, and is being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research and commerce. Therefore, if the genetic resource DSI, which has been freely used so far, is subject to the Nagoya Protocol, it is likely to have a devastating effect 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For this reason, it is worth noting that the appropriateness, type, and scope of the gene source DSI terminology are being discussed in the biodiversity agreement, while the access and profit sharing of the Nagoya Protocol are sharply opposed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In response, the main office first want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start of discussion of genetic source DSI in the biodiversity agreement and Nagoya Protocol, trends in discussions so far, and major agreements. Next, we would like to look at the main issues of genetic source DSI, such as the term, type and scope of genetic source DSI, and whether it is subject to Nagoya Protocol. Finally, based on these contents, I would like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and countermeasures for the domestic bio indust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생물자원관 유전자원정보관리센터, "코로나19 위기와 나고야의정서 DSI 논의방향"

      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제4차 나고야의정서 당사국회의 의제분석 및 대응방안 마련연구" 환경부 2020

      3 신병철, "유전자원의 디지털염기서열정보(DSI) 국제논의 동향 Part I-CBD의 DSI연구조사 보고서를 중심으로"

      4 신병철, "유전자원의 디지털염기서열정보(DSI) 국제논의 동향 Part 2-2020년 DSI특별전문가그룹(AHTEG)회의 결과 중심으로"

      5 전미희, "유전자원의 디지털염기서열정보 이익공유 논란-각국의 주장과 여러 문제점"

      6 박원석, "생물다양성협약과 부속의정서상 유전자원 염기서열정보의 협상쟁점과 논의동향" 중앙법학회 22 (22): 189-225, 2020

      7 히트뉴스, "바이오 5개 협회, 나고야의정서 'DSI 대한 ABS 의무' 적용 반대"

      8 히트뉴스, "바이오 5개 협회, 나고야의정서 'DSI 대한 ABS 의무' 적용 반대"

      9 진태은, "나고야의정서 신규 의제인 유전자원의디지털 염기서열정보에 대한 제언" 한국환경정책학회 25 (25): 1-20, 2017

      10 "UNEP/CBD/SYNBIO/AHTEG/2015/1/3, Report of the Ad Hoc Technical Expert Group on Synthetic Biology"

      1 국립생물자원관 유전자원정보관리센터, "코로나19 위기와 나고야의정서 DSI 논의방향"

      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제4차 나고야의정서 당사국회의 의제분석 및 대응방안 마련연구" 환경부 2020

      3 신병철, "유전자원의 디지털염기서열정보(DSI) 국제논의 동향 Part I-CBD의 DSI연구조사 보고서를 중심으로"

      4 신병철, "유전자원의 디지털염기서열정보(DSI) 국제논의 동향 Part 2-2020년 DSI특별전문가그룹(AHTEG)회의 결과 중심으로"

      5 전미희, "유전자원의 디지털염기서열정보 이익공유 논란-각국의 주장과 여러 문제점"

      6 박원석, "생물다양성협약과 부속의정서상 유전자원 염기서열정보의 협상쟁점과 논의동향" 중앙법학회 22 (22): 189-225, 2020

      7 히트뉴스, "바이오 5개 협회, 나고야의정서 'DSI 대한 ABS 의무' 적용 반대"

      8 히트뉴스, "바이오 5개 협회, 나고야의정서 'DSI 대한 ABS 의무' 적용 반대"

      9 진태은, "나고야의정서 신규 의제인 유전자원의디지털 염기서열정보에 대한 제언" 한국환경정책학회 25 (25): 1-20, 2017

      10 "UNEP/CBD/SYNBIO/AHTEG/2015/1/3, Report of the Ad Hoc Technical Expert Group on Synthetic Biology"

      11 "UNEP/CBD/SBSTTA/REC/XX/8, Synthetic Biology"

      12 Edward Hammond, "Discussions on Sequence Information Unravel at Biodiversity Meet"

      13 Charles lawson,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as a marine genetic resoruce under the proposed UNCLOS legally binding instrurment" 122 : 2020

      14 Elizabeth Karger, "Digital Sequence Inforamtion on Genetic Resources(DSI)"

      15 "CBD/SBSTTA/22/INF/4; CBD/DSI/AHTEG/2018/1/4, Report of the Ad Hoc Technical Expert Group on Synthetic Biology"

      16 "CBD/SBSTTA//22/INF/2; CBD/DSI/AHTEG/2018/1/2, Synthesis of views and information on the potential implications of the use of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on genetic resources for the three objectives of the Convention and the objective of the Nagoya Protocol"

      17 "CBD/DSI/AHTEG/2020/1/INF/1, Compilation of Views and Information on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on Genetic Resoruces pursuant to Paragraphs 9 and 10 of DECISION 14/20"

      18 "CBD/DSI/AHTEG/2020/1/7, Report of the Ad Hoc Technical Expert Group on Synthetic Biology"

      19 "CBD/DSI/AHTEG/2020/1/5, Fact-finding Study on How Domestic Measures Address Benefit-sharing Arising from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Use of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on Genetic Resources and Address the Use of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on Genetic Resource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20 "CBD/DSI/AHTEG/2020/1/4, Combined study on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in public and private databases and traceability"

      21 "CBD/DSI/AHTEG/2020/1/3,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on genetic resources: concept, scope and current use"

      22 "CBD/DSI/AHTEG/2020/1/2 Synthesis of views and information related to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on genetic resources"

      23 "CBD/DSI/AHTEG/2018/1/3, Fact-finding and scoping study on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on genetic resources in the contex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Nagoya Protocol"

      24 "CBD/DSI/AHTEG/2018/1/2/ADD2,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on genetic resources in relevant ongoing international processes and policy debate"

      25 "CBD/DSI/AHTEG/2018/1/2/ADD1, Case studies and examples of the use of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e objectives of the Convention and the Nagoya Protocol"

      26 "CBD/COP/DEC/14/20,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on Genetic Resources"

      27 "CBD/AHTEG/DSI/2020/1/6., Salient Points that may Facilitate Deliberations by the Ad Hoc Technical Expert Group on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on Genetic Resources"

      28 유예리, "2020년에 살펴보는 생물다양성협약의 동향과 과제" 비교법학연구소 24 : 1-37,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7 1.226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