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퐁피두센터 - 국가 메세나에서 문화 민주화, 문화외교의 주역으로 - = The Pompidou Centre - From the National Mecenat to the Leader in the Cultural Democratization and the Cultural Diplomac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3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ecret to the success of the Pompidou Centre, France's leading contemporary art museum and cultural complex. It will delve into the creation, motive, historical background, and impact of the Pompidou Centre on French society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t large. Born from the national patronage of president Pompidou, just after the political crisis of May 1968, the Pompidou Centre tried to provide the French people with secondary socialization to reconstruct their identity through the contact of the arts and the knowledge. Hense the Pompidou Centre inherited the French tradition of national mecenat and the French Revolution. The revolutionary conception of the cultural democratization reflected in the architecture of the Pompidou Centre subverted established methods of construction. It’s cultural innovations broke with the tradition of elitism and instead offered an free open door policy to the public. As an exceptional successful case of cultural and political solidarity, the Pompidou Centre reestablished Paris as the capital of art in the end of 20th century. In the 21th century, the efforts to grow the cultural democratization are continuing through the decentralization of the Centre Pompidou-Metz, and the proactive approach to go to meet the visitors of the Mobile Pompidou Centre. Due to these strong points, the Pompidou Centre has become a leader of cultural diplomacy with the expansion plans of the Pompidou Centre provisoire in Malaga, Brussels and Shanghai.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ecret to the success of the Pompidou Centre, France's leading contemporary art museum and cultural complex. It will delve into the creation, motive, historical background, and impact of the Pompidou Cent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ecret to the success of the Pompidou Centre, France's leading contemporary art museum and cultural complex. It will delve into the creation, motive, historical background, and impact of the Pompidou Centre on French society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t large. Born from the national patronage of president Pompidou, just after the political crisis of May 1968, the Pompidou Centre tried to provide the French people with secondary socialization to reconstruct their identity through the contact of the arts and the knowledge. Hense the Pompidou Centre inherited the French tradition of national mecenat and the French Revolution. The revolutionary conception of the cultural democratization reflected in the architecture of the Pompidou Centre subverted established methods of construction. It’s cultural innovations broke with the tradition of elitism and instead offered an free open door policy to the public. As an exceptional successful case of cultural and political solidarity, the Pompidou Centre reestablished Paris as the capital of art in the end of 20th century. In the 21th century, the efforts to grow the cultural democratization are continuing through the decentralization of the Centre Pompidou-Metz, and the proactive approach to go to meet the visitors of the Mobile Pompidou Centre. Due to these strong points, the Pompidou Centre has become a leader of cultural diplomacy with the expansion plans of the Pompidou Centre provisoire in Malaga, Brussels and Shanghai.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프랑스 퐁피두센터 성공비결을 그 탄생과정, 건립 동기와 역사적 배경을 통해 분석해 보고, 21세기 문화민주화의 새로운 행보, 문화외교 활약상을 살펴본다. 1968년 5월 정치적인 위기 상황을 겪은 이듬해 퐁피두대통령이 직접 구상하고 건립을 추진한 퐁피두센터는 불가능한 이상향 으로 여겨졌던 문화 분야의 민주주의- 모든 국민에게 문화예술기구를 통한 개인 정체성 재구축이 라는 2차 사회화 과정의 동등한 기회 부여-를 시도했다. 이런 관점에서 퐁피두센터는 국가메세나 와 프랑스 대혁명, 이 이중의 프랑스 전통을 계승한다. 문화민주화 개념은 기존의 건축문법을 뒤엎 는 퐁피두센터 건물설계에서, 문화의 엘리트주의와 결별한 문화 개혁에서, 무상의 대중개방을 표방 하는 공공서비스개념에서 드러난다. 문화와 정치의 연대성의 예외적 성공사례인 퐁피두센터의 21세기 문화 민주주의 확대시도를 문화의 탈중앙편중화와 대중 찾아가기 사례에서 알아보고, 말라가, 브뤼셀, 상하이 퐁피두센터를 통해 퐁피두센터의 문화외교 활약상의 현주소를 살펴본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프랑스 퐁피두센터 성공비결을 그 탄생과정, 건립 동기와 역사적 배경을 통해 분석해 보고, 21세기 문화민주화의 새로운 행보, 문화외교 활약상을 살펴본다. 1968년 5월 정치적인 위...

      본 논문은 프랑스 퐁피두센터 성공비결을 그 탄생과정, 건립 동기와 역사적 배경을 통해 분석해 보고, 21세기 문화민주화의 새로운 행보, 문화외교 활약상을 살펴본다. 1968년 5월 정치적인 위기 상황을 겪은 이듬해 퐁피두대통령이 직접 구상하고 건립을 추진한 퐁피두센터는 불가능한 이상향 으로 여겨졌던 문화 분야의 민주주의- 모든 국민에게 문화예술기구를 통한 개인 정체성 재구축이 라는 2차 사회화 과정의 동등한 기회 부여-를 시도했다. 이런 관점에서 퐁피두센터는 국가메세나 와 프랑스 대혁명, 이 이중의 프랑스 전통을 계승한다. 문화민주화 개념은 기존의 건축문법을 뒤엎 는 퐁피두센터 건물설계에서, 문화의 엘리트주의와 결별한 문화 개혁에서, 무상의 대중개방을 표방 하는 공공서비스개념에서 드러난다. 문화와 정치의 연대성의 예외적 성공사례인 퐁피두센터의 21세기 문화 민주주의 확대시도를 문화의 탈중앙편중화와 대중 찾아가기 사례에서 알아보고, 말라가, 브뤼셀, 상하이 퐁피두센터를 통해 퐁피두센터의 문화외교 활약상의 현주소를 살펴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프랑스 외무부 웹사이트"

      2 "퐁피두센터 웹사이트"

      3 "텔레라마지 웹사이트"

      4 "인터내셔널 라디오 프랑스 웹사이트"

      5 "르피가로지 웹사이트"

      6 "르몽드지 웹사이트"

      7 "르 푸앵지 웹사이트"

      8 "루브르 박물관 웹사이트"

      9 "레제코지 웹사이트"

      10 "diplomatie culturelle de la France"

      1 "프랑스 외무부 웹사이트"

      2 "퐁피두센터 웹사이트"

      3 "텔레라마지 웹사이트"

      4 "인터내셔널 라디오 프랑스 웹사이트"

      5 "르피가로지 웹사이트"

      6 "르몽드지 웹사이트"

      7 "르 푸앵지 웹사이트"

      8 "루브르 박물관 웹사이트"

      9 "레제코지 웹사이트"

      10 "diplomatie culturelle de la France"

      11 Laurent Fleury, "Sociologie de la culture et des pratiques culturelles" Armand Colin 2006

      12 Martine Robert, "Première étape vers un centre Pompidou à Shanhai"

      13 "Pour une nouvelle diplomatie culturelle"

      14 Sophie Rahal, "Le Centre Pompidou en mode exporte en Chine et en Corée" Arts & Scènes, Télérama

      15 Laurent Fleury, "Le Cas Beaubourg: Mécénat d’état et Démocratisation de la Culture" Armand Colin 2007

      16 Erwan Davoux, "Il faut sauver la diplomatie culturelle de la France"

      17 A. Dubosclard, "Entre Rayonnement et réciprocité: contributions à l’histoire de la diplomatie culturelle" Publications de la Sorbonne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