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국어 규범교육이 문법교육과 어떠한 관계를 맺으며 구체화되어 왔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국어 규범교육이 기획, 실천되어 온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역대 국어 및 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국어 규범교육이 문법교육과 어떠한 관계를 맺으며 구체화되어 왔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국어 규범교육이 기획, 실천되어 온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역대 국어 및 문...
이 연구는 국어 규범교육이 문법교육과 어떠한 관계를 맺으며 구체화되어 왔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국어 규범교육이 기획, 실천되어 온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역대 국어 및 문법 교육과정 및 문법 교과서를 사적(史的)으로 살펴서, 국어 규범교육에 관한 당대의 인식과 그에 따른 실천 양상을 유형별로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문법이 곧 규범문법’이라는 인식 하에 학교에서의 문법교육을 그 자체로 규범교육으로 간주하는 오랜 가정이 지속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체적으로는 (1) 어문 규범이 암묵적 규준으로서만 기능한 경우, (2) 암묵적 규준으로서 어문 규범의 역할을 일부 명세화한 경우, (3) 규범 관련 내용을 명시적으로 편입하기 시작한 경우, (4) 규범 관련 내용을 문법 지식과 체계적으로 연계하고자 한 경우로, 규범교육의 양상이 시대별로 유형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탐구성과 규범성의 균형을 도모하고자 하는 문법교육 안에서 국어 규범교육이 체계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 위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purposed for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n Korean normative grammar education and grammar education. For this purpose, how Korean normative grammar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all the while is examined, analysing 4th(1981)~2009 Natio...
This study is purposed for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n Korean normative grammar education and grammar education. For this purpose, how Korean normative grammar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all the while is examined, analysing 4th(1981)~2009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and totally 45 sets of grammar textbooks.
As a result, some significant factors about Korean normative grammar education are verified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ion such as 'Korean grammar education is in itself normative education' widely prevail among grammar textbooks. Second, grammar textbooks dealt with normative grammar are categorized four groups, especially for relationship with grammar education, ① the case which norms are affected implicitly, ② the case which norms show explicitly its roles partly, ③ the case which the norms are included in grammar education explicitly as content, ④ the case which the norms are systematically related to grammar knowledge.
Based on these results, significant implication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normative grammar education has been suggested.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세형, "해암 선생이 남긴 국어 규범교육의 원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39 : 257-295, 2012
2 민현식, "한글 맞춤법 교육의 체계화 방안 - 문법 교육과 맞춤법 교육의 관계 정립을 위한 시론" 국어교육연구소 (21) : 7-75, 2008
3 강보선, "한글 맞춤법 교육 내용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31) : 1-30, 2013
4 정인승, "표준 중등말본" 신구문화사 1956
5 정인승, "표준 고등말본" 신구문화사 1956
6 이승왕, "초등학교 국어과 맞춤법 교육의 체계화"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2) : 305-334, 2010
7 이승왕, "초등학교 국어 규범 교육 내용 연구" 부산대학교 2011
8 최현배, "초급용 중등조선말본" 정음사 1948
9 이희승, "초급 국어문법" 박문서관 1949
10 최태호, "중학 말본 2" 사조사 1957
1 주세형, "해암 선생이 남긴 국어 규범교육의 원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39 : 257-295, 2012
2 민현식, "한글 맞춤법 교육의 체계화 방안 - 문법 교육과 맞춤법 교육의 관계 정립을 위한 시론" 국어교육연구소 (21) : 7-75, 2008
3 강보선, "한글 맞춤법 교육 내용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31) : 1-30, 2013
4 정인승, "표준 중등말본" 신구문화사 1956
5 정인승, "표준 고등말본" 신구문화사 1956
6 이승왕, "초등학교 국어과 맞춤법 교육의 체계화"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2) : 305-334, 2010
7 이승왕, "초등학교 국어 규범 교육 내용 연구" 부산대학교 2011
8 최현배, "초급용 중등조선말본" 정음사 1948
9 이희승, "초급 국어문법" 박문서관 1949
10 최태호, "중학 말본 2" 사조사 1957
11 이희승, "중등문법" 박문출판사 1956
12 이숭녕, "중등국어문법" 을유문화사 1956
13 최현배, "중등 말본 1" 정음사 1956
14 박태윤, "중등 국어문법(초급용)" 경성인서사 1948
15 김은성, "중등 국어(문법) 심화 전공 직무 연수 자료집" 서울대학교 교육연수원 37-55, 2009
16 고영근, "역대한국문법대계" 박이정출판사 2008
17 민현식, "언어 규범 정책의 방향"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2 : 7-71, 2003
18 김민수, "새 중학문법" 동아출판사 1960
19 김민수, "새 고교문법" 동아출판사 1960
20 주세형, "문법지식의 교육적 가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33 : 561-589, 2005
21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문교부 학교문법통일에 따른 중학국문법" 향문사 1964
22 구본관, "맞춤법 교육 내용 연구 - 한글 맞춤법의 원리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27) : 195-232, 2008
23 이현진, "규범적 국어인식 능력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07
24 주세형, "국어 어문 규범 교육의 목표 및 내용의 재구성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급의 위계성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소 (28) : 85-111, 2011
25 김진희, "국어 규범 교육의 현황과 방향" 한국국어교육학회 (96) : 255-279, 2013
26 이지선, "국어 규범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 : 학습자의 국어 오용 예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6
27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고등학교 문법" 문교부 1991
28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고등학교 문법" 교육부 1996
2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고등학교 문법" 문교부 1985
3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고등학교 문법" 교육인적자원부 2002
31 이삼형,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Ⅰ, Ⅱ" 지학사 2012
32 윤여탁,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Ⅰ, Ⅱ" 미래엔 2012
33 이숭녕, "고등국어문법" 을유문화사 1956
34 이숭녕, "고등국어문법" 을유문화사 1961
35 김민수, "(문교부)중고등학교 국어 문법 지도 지침" 문교부 1962
36 교육부, "(7차)국어과 교육과정"
37 교육부, "(6차)국어과 교육과정"
38 문교부, "(5차)국어과 교육과정"
39 문교부, "(4차)국어과 교육과정"
40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국어과 교육과정"
41 교육인적자원부, "(2007 개정)국어과 교육과정"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쓰기 오류 분석-학부 재학 유학생 백일장 작문을 대상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2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3 | 1.03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