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천의병’의 문학적 형상화와 그 역사적 의미 = Literary embodiment of ‘Jecheon Righteous Army’ and its historical mea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607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학 속에 형상화 된 ‘제천의병’을 보면,친일문학 노선을 지향하는 이인직의 <은세계>에서 의병은 “인민의 재산을 강탈”하여 “나라에 해를 끼치”며 문명개화에 역행하는 한낱 ‘무뢰지배’로 그려지며, 애국계몽문학의 노선을 지 향하는 이해조의 <고목화>에서도 의 병의 잔존세력인 활빈당이 여자나 납치해 첩으로 삼는 ‘불한당’, 곧 화적패로 그려진다. 반면 빙허자의 <소금강>에서는 개화사상의 한계를 깨달은 주인공이 무장투쟁 조직인 활빈당에 가담하고 다시 간도로 건너가 독립기지를 건설한다는 내용으로 의병전쟁의 과정과 해외 독립기지 건설에의 전망까지 확보하고 있다.
      현대소설에서 제천의병을 구체적으로 다룬 권운상의 『월악산』에서는 평민 의병장인 김백선과 안승우의 갈등을 중심으로 결국 군률을 위반한 김백선이 처형됨으로써 제천의병이 와해되는 과정을 그렸다. 동학 남접의 접주인 서장옥을 중심으로 동학농민세력, 제천의병진, 활빈당 월악산패, 만민공동회까지 근대사의 물줄기를 그리려고 했던 것인데, 너무 서장옥에 집착하여 민중들의 열망과 함성은 사라지고 월악산패와김백선 그리고 무능하고 부패한 유생 지도부만 남아 역사를 주관적으로 재단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반면 의병들의 분노와 결의와 함성이 잘 드러난 신태식의 <창의가>는 문경 출신의 작가가 이인영의 관동의병에 참여하여 온갖 전투를 치르고 모진 고난을 겪으며 결국 영평전투에서 부상을 당해 잡혀 재판을 받기까지의 과정을 구체적이고도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작가는 양반의병장으로서 조선왕조의 은혜를 입었음을 강조했지만 그보다는 “가슴에 끓는 피”, 곧 ‘애국’이라는 대의로 평민과 하나 되어 일제의 침탈에 저항했음을 보여준다.
      윤희순의 ‘의병가’들은 남녀유별이라는 유교적 인습을 뛰어 넘어 ‘안사람’들도 나라를 구하기 위해 의병전쟁에 참여해야 함을 역설한 작품이다. 작가도 직접 ‘안사람의병대’를 조직하여 의병전쟁에 참여했기에 노래가 진솔할 수 있었다. ‘의병가’들은 일제의 침탈에 대한 분노, 나라 사랑과 일본에 대한 적개심, 관군과 의병이 싸우는 것에 대한 애달픔, 안사람도 의병에 참여하여 일본군을 물리쳐야 한다는 결의 등이 잘 드러나 있다.
      번역하기

      문학 속에 형상화 된 ‘제천의병’을 보면,친일문학 노선을 지향하는 이인직의 <은세계>에서 의병은 “인민의 재산을 강탈”하여 “나라에 해를 끼치”며 문명개화에 역행하는 한낱 ...

      문학 속에 형상화 된 ‘제천의병’을 보면,친일문학 노선을 지향하는 이인직의 <은세계>에서 의병은 “인민의 재산을 강탈”하여 “나라에 해를 끼치”며 문명개화에 역행하는 한낱 ‘무뢰지배’로 그려지며, 애국계몽문학의 노선을 지 향하는 이해조의 <고목화>에서도 의 병의 잔존세력인 활빈당이 여자나 납치해 첩으로 삼는 ‘불한당’, 곧 화적패로 그려진다. 반면 빙허자의 <소금강>에서는 개화사상의 한계를 깨달은 주인공이 무장투쟁 조직인 활빈당에 가담하고 다시 간도로 건너가 독립기지를 건설한다는 내용으로 의병전쟁의 과정과 해외 독립기지 건설에의 전망까지 확보하고 있다.
      현대소설에서 제천의병을 구체적으로 다룬 권운상의 『월악산』에서는 평민 의병장인 김백선과 안승우의 갈등을 중심으로 결국 군률을 위반한 김백선이 처형됨으로써 제천의병이 와해되는 과정을 그렸다. 동학 남접의 접주인 서장옥을 중심으로 동학농민세력, 제천의병진, 활빈당 월악산패, 만민공동회까지 근대사의 물줄기를 그리려고 했던 것인데, 너무 서장옥에 집착하여 민중들의 열망과 함성은 사라지고 월악산패와김백선 그리고 무능하고 부패한 유생 지도부만 남아 역사를 주관적으로 재단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반면 의병들의 분노와 결의와 함성이 잘 드러난 신태식의 <창의가>는 문경 출신의 작가가 이인영의 관동의병에 참여하여 온갖 전투를 치르고 모진 고난을 겪으며 결국 영평전투에서 부상을 당해 잡혀 재판을 받기까지의 과정을 구체적이고도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작가는 양반의병장으로서 조선왕조의 은혜를 입었음을 강조했지만 그보다는 “가슴에 끓는 피”, 곧 ‘애국’이라는 대의로 평민과 하나 되어 일제의 침탈에 저항했음을 보여준다.
      윤희순의 ‘의병가’들은 남녀유별이라는 유교적 인습을 뛰어 넘어 ‘안사람’들도 나라를 구하기 위해 의병전쟁에 참여해야 함을 역설한 작품이다. 작가도 직접 ‘안사람의병대’를 조직하여 의병전쟁에 참여했기에 노래가 진솔할 수 있었다. ‘의병가’들은 일제의 침탈에 대한 분노, 나라 사랑과 일본에 대한 적개심, 관군과 의병이 싸우는 것에 대한 애달픔, 안사람도 의병에 참여하여 일본군을 물리쳐야 한다는 결의 등이 잘 드러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oking at the 'Jecheon Righteous Army’ embodied in literature, in Lee In-jik's < Eunsegye >, which aims for pro-Japanese literature, the righteous army robs the people's property and harm the country and goes against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 and in < Gomokhwa > by Lee Hae-jo, who pursues the line of patriotic enlightenment literature, ‘Hwalbindang’, a remnant of righteous soldiers, kidnaps women and makes them his concubine, that is, ‘Hwajeokpae’. On the other hand, in < Sokeumgang > by Bingheoja, the main character who realized the limits of enlightenment thought joined the armed struggle organization, ‘Hwalbindang’,and then crossed over to Gando to build an independent base. have. Gwon Un-sang’s 『Wolaksan』, which deals with the Jecheon Righteous Army in detail in modem novels, depicts the process of disintegration of the Jecheon Righteous Army as Kim Baek-seon, who violated military rules, was executed, focusing on the conflict between Kim Baek-seon and Ahn Seung-woo, a commoner general of the righteous army. Centered on Seo Jang-ok, the owner of Donghak Namjeop, he tried to draw the stream of modem history, from Donghak peasant forces, Jecheon Uibyeongjin, Hwalbindang Woraksanpae, and Manmin Community Association. Only Kim Baek-seon and the incompetent and corrupt Confucian scholar leadership remained and could not escape criticism for subjectively judging history. On the other hand, Shin Tae-sik's < Chang-uiga >, which shows the righteous soldiers' anger, determination, and shouts, shows the writer from Mungyeong participating in Lee In-young's Kwandong Righteous Army, fighting all kinds of battles and going through harsh hardships. It depicts the process in detail and vividly. The writer emphasized that he was favored by the Joseon Dynasty as a nobleman righteous army chief, but rather shows that he resisted the invasion of Japan by becoming one with the common people with the cause of “boiling blood”, that is, “patriotism.” Yoon Hee-soon’s 'Song of the Righteous Army' is a work that goes beyond the Confucian convention of segregation of men and women, and emphasizes that even the ’inner people' must participate in the righteous army war to save the country. The song was able to be sincere because the writer himself organized the 'Ansaram Righteous Army’ and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war. The 'Righteous Army’ shows the anger at the invasion of the Japanese Empire, the love for the country and the hostility towards Japan, the pain of fighting between the government army and the righteous army, and the determination that people should also participate in the righteous army and defeat the Japanese army.
      번역하기

      Looking at the 'Jecheon Righteous Army’ embodied in literature, in Lee In-jik's < Eunsegye >, which aims for pro-Japanese literature, the righteous army robs the people's property and harm the country and goes against civilization and enlighte...

      Looking at the 'Jecheon Righteous Army’ embodied in literature, in Lee In-jik's < Eunsegye >, which aims for pro-Japanese literature, the righteous army robs the people's property and harm the country and goes against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 and in < Gomokhwa > by Lee Hae-jo, who pursues the line of patriotic enlightenment literature, ‘Hwalbindang’, a remnant of righteous soldiers, kidnaps women and makes them his concubine, that is, ‘Hwajeokpae’. On the other hand, in < Sokeumgang > by Bingheoja, the main character who realized the limits of enlightenment thought joined the armed struggle organization, ‘Hwalbindang’,and then crossed over to Gando to build an independent base. have. Gwon Un-sang’s 『Wolaksan』, which deals with the Jecheon Righteous Army in detail in modem novels, depicts the process of disintegration of the Jecheon Righteous Army as Kim Baek-seon, who violated military rules, was executed, focusing on the conflict between Kim Baek-seon and Ahn Seung-woo, a commoner general of the righteous army. Centered on Seo Jang-ok, the owner of Donghak Namjeop, he tried to draw the stream of modem history, from Donghak peasant forces, Jecheon Uibyeongjin, Hwalbindang Woraksanpae, and Manmin Community Association. Only Kim Baek-seon and the incompetent and corrupt Confucian scholar leadership remained and could not escape criticism for subjectively judging history. On the other hand, Shin Tae-sik's < Chang-uiga >, which shows the righteous soldiers' anger, determination, and shouts, shows the writer from Mungyeong participating in Lee In-young's Kwandong Righteous Army, fighting all kinds of battles and going through harsh hardships. It depicts the process in detail and vividly. The writer emphasized that he was favored by the Joseon Dynasty as a nobleman righteous army chief, but rather shows that he resisted the invasion of Japan by becoming one with the common people with the cause of “boiling blood”, that is, “patriotism.” Yoon Hee-soon’s 'Song of the Righteous Army' is a work that goes beyond the Confucian convention of segregation of men and women, and emphasizes that even the ’inner people' must participate in the righteous army war to save the country. The song was able to be sincere because the writer himself organized the 'Ansaram Righteous Army’ and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war. The 'Righteous Army’ shows the anger at the invasion of the Japanese Empire, the love for the country and the hostility towards Japan, the pain of fighting between the government army and the righteous army, and the determination that people should also participate in the righteous army and defeat the Japanese arm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