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본 언론의 제천 의병 인식 = Japanese media’s perception of Jecheon righteous ar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607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의병 전쟁은 대한제국 말기 국권을 수호하기 위해 일본의 침략에 저항한 무장 투쟁을 말한다. 한국 강점 이후 국내외에서 전개된 독립운동의 정신적 · 인적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서 조선인의 반침략 투쟁인 의병 전쟁의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 의병 전쟁은 변복령 · 명성황후 시해 · 단발령을 계기로 일어난 1895~1896년의 제1차 의병 전쟁과 을사 늑약 · 고종 강제퇴위 · 군대해산 전후에 봉기한 1904~1914년의 제2차의병 전쟁을 포괄하는 역사 용어이기도 하다.
      제천 의병을 비롯해 각 지역의 의병 연구는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제천 의병의 전개 과정과 주도 인물,지역적 특성 등에 관해서는 기존연구를 통해 상세하게 밝혀졌다. 의병 관계자의 문집 둥을 활용하여, 의병의 시기별 · 지역별 특징을 파악했다. 앞으로 새로운 자료의 발굴로 연구에 진전이 이루어지겠지만, 그러기 위해서도 의병의 정의와 시기구분에 대한 합의가 필요해 보인다. 특히 동학농민군의 제2차 봉기를 ‘의병적’이라 규정함으로써 ‘역사적 개념으로서의 의병’의 범주에서 제외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지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의병에 동학농민군이 합류하거나 동학 조직이 실제로 활용되었기 때문에 그들에 대한 정당한 평가가 필요하다. 시기 구분에 대해서도 학계의 통일된 합의의 도출도 필요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모지신보(門司新報)』에 보도된 2차 의병 관련 기사를 소개한다. 『모지신보』는 쓰다 고레야스(津田維寧)가 1892년 5월 21일에 구(舊) 모지시(門司市)에서 발간한 일간지이다. 모지시는 후쿠오카현(福岡縣) 북동부에 위치한 기타큐슈(北九州)의 현관 역할을 담당한 항구이다(1963년 기타큐슈시로 통폐합되어 소멸). 『모지신보』는 기타큐슈 지역을 대표하는 지방 언론이었다.
      모지항은 한국과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관문 역할을 담당했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 군대는 의병을 탄압하기 위해 모지항을 통해 파견되었고, 이 항구를 통해 양국을 왕래하는 인물들의 근황도 보도되었다. 특히 모지항을 왕래하는 의병 진압 부대의 상황에 대한 보도는 타 신문보다 지면 할당이 많았다. 모지항이라는 지역의 특수성이 신문의 보도내용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모지신보』는 지리적인 특성상 일종의 한국 관련 정보의 창구역을 수행한 것이다.
      번역하기

      의병 전쟁은 대한제국 말기 국권을 수호하기 위해 일본의 침략에 저항한 무장 투쟁을 말한다. 한국 강점 이후 국내외에서 전개된 독립운동의 정신적 · 인적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서 조선인�...

      의병 전쟁은 대한제국 말기 국권을 수호하기 위해 일본의 침략에 저항한 무장 투쟁을 말한다. 한국 강점 이후 국내외에서 전개된 독립운동의 정신적 · 인적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서 조선인의 반침략 투쟁인 의병 전쟁의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 의병 전쟁은 변복령 · 명성황후 시해 · 단발령을 계기로 일어난 1895~1896년의 제1차 의병 전쟁과 을사 늑약 · 고종 강제퇴위 · 군대해산 전후에 봉기한 1904~1914년의 제2차의병 전쟁을 포괄하는 역사 용어이기도 하다.
      제천 의병을 비롯해 각 지역의 의병 연구는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제천 의병의 전개 과정과 주도 인물,지역적 특성 등에 관해서는 기존연구를 통해 상세하게 밝혀졌다. 의병 관계자의 문집 둥을 활용하여, 의병의 시기별 · 지역별 특징을 파악했다. 앞으로 새로운 자료의 발굴로 연구에 진전이 이루어지겠지만, 그러기 위해서도 의병의 정의와 시기구분에 대한 합의가 필요해 보인다. 특히 동학농민군의 제2차 봉기를 ‘의병적’이라 규정함으로써 ‘역사적 개념으로서의 의병’의 범주에서 제외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지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의병에 동학농민군이 합류하거나 동학 조직이 실제로 활용되었기 때문에 그들에 대한 정당한 평가가 필요하다. 시기 구분에 대해서도 학계의 통일된 합의의 도출도 필요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모지신보(門司新報)』에 보도된 2차 의병 관련 기사를 소개한다. 『모지신보』는 쓰다 고레야스(津田維寧)가 1892년 5월 21일에 구(舊) 모지시(門司市)에서 발간한 일간지이다. 모지시는 후쿠오카현(福岡縣) 북동부에 위치한 기타큐슈(北九州)의 현관 역할을 담당한 항구이다(1963년 기타큐슈시로 통폐합되어 소멸). 『모지신보』는 기타큐슈 지역을 대표하는 지방 언론이었다.
      모지항은 한국과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관문 역할을 담당했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 군대는 의병을 탄압하기 위해 모지항을 통해 파견되었고, 이 항구를 통해 양국을 왕래하는 인물들의 근황도 보도되었다. 특히 모지항을 왕래하는 의병 진압 부대의 상황에 대한 보도는 타 신문보다 지면 할당이 많았다. 모지항이라는 지역의 특수성이 신문의 보도내용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모지신보』는 지리적인 특성상 일종의 한국 관련 정보의 창구역을 수행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ighteous army war refers to an armed struggle that resisted Japanese aggression to defend national sovereignty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righteous army war, an anti-invasion struggle of the Korean people, is very significant in that it has become the spiritual and human founda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t home and abroad since the Korean occupation. The righteous army war is also a historical term that encompasses the first righteous army war between 1895 and 1896 which took place in the wake of a measure of clothes change, the murder of the Queen Myeongseong and a measure of hair cut, and the second righteous army war between 1904 and 1914.
      Research on the righteous army in each region including Jecheon righteous army, has achieved a lot of results. The development process, leading figur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Jecheon righteous army were revealed in detail through existing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ghteous army by period and region were identified by using the collection of writings of the righteous army officials. Although progress will be made in research with the discovery of new data, it seems necessary to agree on the definition and timing of righteous arm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it is reasonable to exclude the second uprising of the Donghak(東울) Peasant Army from the category of ‘a righteous army as a historical concept’ by defining it as ‘a righteous army.’ Since Donghak Peasant Army joined the righteous army or the righteous army actually used Donghak Organization, a legitimate evaluation of them is needed.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draw a unified consensus on the period classification.
      This thesis introduces the articles related to the second righteous army reported in the Mojishinbo(門司新幸艮). Mojishinbo is a daily newspaper published by Tsuda Koreyasu(津田維寧)on May 21, 1892 by the former Moji city. Moji city is a port that served as the gateway to Kitakyushu in northeastern Fukuoka Prefecture (which was merged into Kitakyushu city in 1963 and disappeared). Mojishinbo was a local media representing the Kitakyushu region.
      Moji Port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lations with Korea. After the Russo-Japanese War, Japanese troops were dispatched through Moji Port to suppress the righteous army, and through this port, the activities of people travel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also reported. In particular, reports on the situation of the righteous army suppression unit traveling to and from Moji Port were more allocated than other newspapers. It is believed that the specificity of the area called Moji Port also affected the contents of the newspaper's report. Mojishinbo is a kind of window of information related to Korea due to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번역하기

      The righteous army war refers to an armed struggle that resisted Japanese aggression to defend national sovereignty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righteous army war, an anti-invasion struggle of the Korean people,...

      The righteous army war refers to an armed struggle that resisted Japanese aggression to defend national sovereignty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righteous army war, an anti-invasion struggle of the Korean people, is very significant in that it has become the spiritual and human founda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t home and abroad since the Korean occupation. The righteous army war is also a historical term that encompasses the first righteous army war between 1895 and 1896 which took place in the wake of a measure of clothes change, the murder of the Queen Myeongseong and a measure of hair cut, and the second righteous army war between 1904 and 1914.
      Research on the righteous army in each region including Jecheon righteous army, has achieved a lot of results. The development process, leading figur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Jecheon righteous army were revealed in detail through existing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ghteous army by period and region were identified by using the collection of writings of the righteous army officials. Although progress will be made in research with the discovery of new data, it seems necessary to agree on the definition and timing of righteous arm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it is reasonable to exclude the second uprising of the Donghak(東울) Peasant Army from the category of ‘a righteous army as a historical concept’ by defining it as ‘a righteous army.’ Since Donghak Peasant Army joined the righteous army or the righteous army actually used Donghak Organization, a legitimate evaluation of them is needed.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draw a unified consensus on the period classification.
      This thesis introduces the articles related to the second righteous army reported in the Mojishinbo(門司新幸艮). Mojishinbo is a daily newspaper published by Tsuda Koreyasu(津田維寧)on May 21, 1892 by the former Moji city. Moji city is a port that served as the gateway to Kitakyushu in northeastern Fukuoka Prefecture (which was merged into Kitakyushu city in 1963 and disappeared). Mojishinbo was a local media representing the Kitakyushu region.
      Moji Port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lations with Korea. After the Russo-Japanese War, Japanese troops were dispatched through Moji Port to suppress the righteous army, and through this port, the activities of people travel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also reported. In particular, reports on the situation of the righteous army suppression unit traveling to and from Moji Port were more allocated than other newspapers. It is believed that the specificity of the area called Moji Port also affected the contents of the newspaper's report. Mojishinbo is a kind of window of information related to Korea due to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