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3차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 수립에 따른 국토.도시분야ODA추진방향 = A study to the ODA areas of national-territorial and urban development according to establish 3rd strategic pla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45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ird strategic pla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as established in 2021. This plan includes several sub initiatives regarding the areas of national-territorial and urban development. Developing countries need comprehensive planning ...

      The third strategic pla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as established in 2021. This plan includes several sub initiatives regarding the areas of national-territorial and urban development. Developing countries need comprehensive planning and development management capabilities for sustainable land and urban areas because of exposure to rapid urbanization and climate change cri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Korean ODA strategy for a win-win and comprehensive national-territorial and urban planning sector that will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We propose three direc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irst is to establish a strategic system to present a spatial strategy program by composing the ODA framework for land and urban areas. The second is to improve the focused cooperation areas of CPS(Country Partnership Strategy) based on the framework. Finally, it needs to strengthen the policy and planning programs for the land and urban sector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ODA policy to respond to the cooperative country s development need and strengthen the Korean ODA competitive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과 국토・도시분야 ODA 3. 국토・도시분야 ODA 추진 현황 분석 4. 결론 및 제언
      • 1. 서론 2.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과 국토・도시분야 ODA 3. 국토・도시분야 ODA 추진 현황 분석 4.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희, "해외도시개발 참여확대를 위한 공공과 민간의 역할과 전략" (386) : 3-22, 2014

      2 관계부처합동, "한국형ODA 모델 추진방안" 2012

      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형 ODA모델수립 경제영역"

      4 성장환,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 추진에 따른 LH사업 연계화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5

      5 박세훈,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위한 국토, 도시분야 국제개발협력 추진방향 연구" 국토연구원 2019

      6 대한민국정부, "제5차 국토종합계획" 2019

      7 관계부처합동, "제3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안) (2021-2025)" 2021

      8 관계부처합동, "제2차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안)" 2015

      9 기획재정부, "분야별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2011~2015년)" 2010

      10 국제개발협력위원회, "국가협력전략(라오스 등 12개국)(안)" 2013

      1 김성희, "해외도시개발 참여확대를 위한 공공과 민간의 역할과 전략" (386) : 3-22, 2014

      2 관계부처합동, "한국형ODA 모델 추진방안" 2012

      3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형 ODA모델수립 경제영역"

      4 성장환,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 추진에 따른 LH사업 연계화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5

      5 박세훈,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위한 국토, 도시분야 국제개발협력 추진방향 연구" 국토연구원 2019

      6 대한민국정부, "제5차 국토종합계획" 2019

      7 관계부처합동, "제3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안) (2021-2025)" 2021

      8 관계부처합동, "제2차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안)" 2015

      9 기획재정부, "분야별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2011~2015년)" 2010

      10 국제개발협력위원회, "국가협력전략(라오스 등 12개국)(안)" 2013

      11 ODA 통합홈페이지, "개발협력사전"

      12 "OECD QWIDS 홈페이지"

      13 "KOICA 블로그"

      14 UN-Habitat, "How to Formulate a National Urban Polocy: A Practical Guide"

      15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FAO), "Ending Extreme Poverty in Rural Areas"

      16 OECD, "DAC CRS"

      17 김대환, "2030 개발의제 시대의 지속가능 발전목표와 국토분야 ODA에 대한 시사점" 20-27, 2016

      18 국무조정실, "2020 대한민국 ODA 백서"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7 1.15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