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아의 여러 가지 합병증 중에서도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은 가장 빈도가 높고 사망률도 높은 질병이다. 이제까지 많은 저자들이 자궁내 성장기 동안에 폐 표면 활성제 생성을 증가시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93650
1999
Korean
510.5
학술저널
52-59(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미숙아의 여러 가지 합병증 중에서도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은 가장 빈도가 높고 사망률도 높은 질병이다. 이제까지 많은 저자들이 자궁내 성장기 동안에 폐 표면 활성제 생성을 증가시킴...
미숙아의 여러 가지 합병증 중에서도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은 가장 빈도가 높고 사망률도 높은 질병이다. 이제까지 많은 저자들이 자궁내 성장기 동안에 폐 표면 활성제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약제로 corticosteroid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나, 산모와 태아감염에 중요한 위험 요인이 되어 이 약의 사용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steroid의 부작용 때문에 태아의 폐를 성숙시킬 수 있는 ambroxol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에 저자들은 출생 전 산모에게 투여한 ambroxol이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발생 빈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6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였던 36주 이전의 조산이 예견된 산모에게 ambroxol(Mucosolvan, Boehringer Ingelheim) 1,000mg을 5% glucose 용액에 녹여 2시간 이상 정주하며 3일에서 5일간 투여하였다. 또한 대조군에서는 생리 식염수를 정주하였다. 조기 분만의 원인이나 대상 환아 평균 재태 연령, 남녀비, 출생 체중과 I. 5분 Apgar 점수가 7점 미만인 미숙아의 수에는 양 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대조군에서는 21명 중 13명에서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하였고 ambroxol 사용군에서는 21명 중 6명에서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하여 두 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출생 후 산소 치료와 인공 환기를 필요로 했던 경우는 대조군에서는 각각 18. 12명이었고 ambroxol 사용군에서는 각각 9.8명이었다. 산소치료를 요구된 시간은 ambroxol 군에서 낮았으나 인공 환기가 필요하였던 시간은 ambroxol 군에서 더 길었다. 그 외 미숙아에게 나타난 주산기 합병증의 빈도는 ambroxol 사용군과 대조군을 비교해보면 두 군이 같거나 ambroxol 군이 더 적었다. ambroxol 투여전과 후의 산모의 혈액학적, 생화학적 검사에 의미있는 변화는 없었다. 그리고 ambroxol 사용군에서 산모가 호소하는 부작용으로는 경미한 오심이 3례 있었으나, 구토, 두통이나 현기증, 알레르기 반응 등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 출생 전 산모에게 투여한 ambroxol 은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 빈도를 감소시킨다고 생각되며 이를 위해 산모에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제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antenatal ambroxol administration to mothers who were in danger of imminent preterm delivery in preventing the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RDS). Forty-two preterm newborn infants who w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antenatal ambroxol administration to mothers who were in danger of imminent preterm delivery in preventing the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RDS). Forty-two preterm newborn infants who were delivered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1997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1 in ambroxol-treated group and 21 in control group.
Six cases of th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ere developed from 21 ambroxol-treated infants, but 13 cases of RDS, from 21 control infants. This result indicat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occurrence of RDS by antenatal administration of ambroxol (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occurrence of adverse effects of ambroxol in mother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reatment hematolog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ambroxol-treated group.
In conclusion, when premature delivery is expected, the administration of ambroxol before delivery enhances lung maturation in premature newborn infants and prevents the occurrence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ithout significant adverse effects.
대측 신장이 정상인 신종양 환자에서 신보존수술의 임상 경험
본태성 고혈압에 대한 Imidapril의 강압효과 및 마른기침 발현율에 대한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03 | 0.03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