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60년대 경제개발기 노동입법의 변천과 성질 규명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525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1960년대 이후 통제적 노동관계법ㆍ제도가 변용(變容)되는 과정을 성장전략의 전환과 연관지을 수 있는지 파악하는 데 있다. 비사(秘史)수집이라는 한계가 있으나, 당시 노동관계법 제개정 과정과 제도의 실행 과정을 복원해 보는 것이다.
      1960년대 통제적 노동관계법ㆍ제도의 형성 및 변용은 군정에 의한 일사분란한 통치전략의 일환으로 기획되고 관철되었다는 지적이 많다. 5ㆍ16 직후사회단체의 해산 및 재편 과정에서 노조에 대한 강제적 조직재편이나 1963년 이후 노동행정의 전개가 그러하다. 그러나 5ㆍ16 이후 경제개발계획에 따라 통제적 노동관계법ㆍ제도가 전개된 시기적 상황에 연관지으면 성장전략에 대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5ㆍ16 직후 개발의 정치적 기반 마련을 위한 강제적 노조재편, 1963년 내부동원형 성장을 위한 통제적 노동입법 개정, 1970년 외부의존형 성장을 위한 외투기업 및 수출산업을 위한 노동관계특례법 등이 그러하다.
      이들 통제입법은 1953년법에 비하면 통제적이나, 전면적이고 무단의 통제를 보이고 있는 1971년 이후와 1980년 노동입법과 비교하면 보다 이성적인 내용이다. 1960년대 전개된 노동관계법ㆍ제도는 제1공화국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정치적 이용이라는 의도나 1971년 이후 및 1980년대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전면적이고 철저한 통제 자체에 목적이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1953년 제1공화국보다는 높고 유신 이후보다는 낮은 단계의 통제가 있었으나, 그것의 의도는 정치적 이용이나 일사분란한 통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성장전략상 필요한 노동력 동원 유인에 필요한 통제로 볼 수 있다. 요컨대 1960년대 노동관계법ㆍ제도의 도입 및 변용은 일사분란한 통치적 요소가 다소 수반되었으나, 성장전략에 필요한 노동력 동원에 대응하는 수단과 정도로 전개되고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1960년대 이후 통제적 노동관계법ㆍ제도가 변용(變容)되는 과정을 성장전략의 전환과 연관지을 수 있는지 파악하는 데 있다. 비사(秘史)수집이라는 한계가 있으나, 당시 노동관계...

      이 연구는 1960년대 이후 통제적 노동관계법ㆍ제도가 변용(變容)되는 과정을 성장전략의 전환과 연관지을 수 있는지 파악하는 데 있다. 비사(秘史)수집이라는 한계가 있으나, 당시 노동관계법 제개정 과정과 제도의 실행 과정을 복원해 보는 것이다.
      1960년대 통제적 노동관계법ㆍ제도의 형성 및 변용은 군정에 의한 일사분란한 통치전략의 일환으로 기획되고 관철되었다는 지적이 많다. 5ㆍ16 직후사회단체의 해산 및 재편 과정에서 노조에 대한 강제적 조직재편이나 1963년 이후 노동행정의 전개가 그러하다. 그러나 5ㆍ16 이후 경제개발계획에 따라 통제적 노동관계법ㆍ제도가 전개된 시기적 상황에 연관지으면 성장전략에 대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5ㆍ16 직후 개발의 정치적 기반 마련을 위한 강제적 노조재편, 1963년 내부동원형 성장을 위한 통제적 노동입법 개정, 1970년 외부의존형 성장을 위한 외투기업 및 수출산업을 위한 노동관계특례법 등이 그러하다.
      이들 통제입법은 1953년법에 비하면 통제적이나, 전면적이고 무단의 통제를 보이고 있는 1971년 이후와 1980년 노동입법과 비교하면 보다 이성적인 내용이다. 1960년대 전개된 노동관계법ㆍ제도는 제1공화국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정치적 이용이라는 의도나 1971년 이후 및 1980년대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전면적이고 철저한 통제 자체에 목적이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1953년 제1공화국보다는 높고 유신 이후보다는 낮은 단계의 통제가 있었으나, 그것의 의도는 정치적 이용이나 일사분란한 통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성장전략상 필요한 노동력 동원 유인에 필요한 통제로 볼 수 있다. 요컨대 1960년대 노동관계법ㆍ제도의 도입 및 변용은 일사분란한 통치적 요소가 다소 수반되었으나, 성장전략에 필요한 노동력 동원에 대응하는 수단과 정도로 전개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functions of labor law and system in Korea had been changed as the Korean government adopted the growth oriented economic policy.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unveils the historical evidences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Korean labor law and system were readjusted as the economic policy had been tilted towards growth.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labor law and system since the 5ㆍ16 coup detat were designed to be one part of a whole set of plans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The original forms of labor law and system were perceived to be more rational than those since 1970s and 1980s as the new government needed to induce the economic agents to be cooperative with the development plans engineered by the Korean government.
      However, at the same time, we can not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the labor law and system has gradually changed their roles since the 5ㆍ16 coup detat or 1963 as vehicles controlling agents, while the menu and degree of policy instruments had been readjus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economic growth.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functions of labor law and system in Korea had been changed as the Korean government adopted the growth oriented economic policy.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unveils the historical evidences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functions of labor law and system in Korea had been changed as the Korean government adopted the growth oriented economic policy.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unveils the historical evidences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Korean labor law and system were readjusted as the economic policy had been tilted towards growth.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labor law and system since the 5ㆍ16 coup detat were designed to be one part of a whole set of plans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The original forms of labor law and system were perceived to be more rational than those since 1970s and 1980s as the new government needed to induce the economic agents to be cooperative with the development plans engineered by the Korean government.
      However, at the same time, we can not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the labor law and system has gradually changed their roles since the 5ㆍ16 coup detat or 1963 as vehicles controlling agents, while the menu and degree of policy instruments had been readjus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economic grow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의 의의
      • Ⅱ. 1961.5.16~1971년간 경제개발정책과 노동입법의 전개
      • Ⅲ. 5ㆍ16 이후 성장전략과 통제적 노동관계법ㆍ제도의 형성
      • Ⅳ. 외부의존형 성장전략의 전환과 노동관계법ㆍ제도의 변용
      • Ⅴ. 1971년 이후 무단의 통치를 위한 노동관계법ㆍ제도의 변용
      • Ⅰ. 연구의 의의
      • Ⅱ. 1961.5.16~1971년간 경제개발정책과 노동입법의 전개
      • Ⅲ. 5ㆍ16 이후 성장전략과 통제적 노동관계법ㆍ제도의 형성
      • Ⅳ. 외부의존형 성장전략의 전환과 노동관계법ㆍ제도의 변용
      • Ⅴ. 1971년 이후 무단의 통치를 위한 노동관계법ㆍ제도의 변용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노동관계법의 병인-자유설립주의와 Tripartism의 확립" 1964

      2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 나남출판 1997

      3 "한국노동운동사: 경제개발기의 노동운동(1961-1987)" 2004

      4 "한국노동법의 변천 한국의 노동경제" 문학과지성사 1980

      5 "한겨레 21" 1995

      6 "제2차경제개발계획 평가보고서" 1972

      7 "입법상으로 본 건국 이후의 노동정책의 변화" 1970

      8 "우리나라 노동법제의 특징과 변천 노동법의 제문제" 박영사 1983

      9 "우리나라 노동법의 궤적" (10) : 1984

      10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동문제 서울대 법학연구소" 1978

      1 "현노동관계법의 병인-자유설립주의와 Tripartism의 확립" 1964

      2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 나남출판 1997

      3 "한국노동운동사: 경제개발기의 노동운동(1961-1987)" 2004

      4 "한국노동법의 변천 한국의 노동경제" 문학과지성사 1980

      5 "한겨레 21" 1995

      6 "제2차경제개발계획 평가보고서" 1972

      7 "입법상으로 본 건국 이후의 노동정책의 변화" 1970

      8 "우리나라 노동법제의 특징과 변천 노동법의 제문제" 박영사 1983

      9 "우리나라 노동법의 궤적" (10) : 1984

      10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동문제 서울대 법학연구소" 1978

      11 "아시아 권위주의 국가의 노동정치와 노동운동-한국과 대만의 비교" 1993

      12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1963

      13 "새시대에 맞는 노동정책을" 조선일보 19801980

      14 "사회법제의 변천-그 평가와 전망" (15) : 1998

      15 "박정희 정권 시대의 노동정책과 노사관계" 도서출판 풀빛 -185, 2002

      16 "다국적 기업과 노동문제 고시연구" 1975

      17 "노동조합과 정치정당" 1960

      18 "노동입법과 정책의 표리" (55) : 1969

      19 "노동법의 반성과 과제" 1992

      20 "노동기본권 연구" 1985

      21 "노동관계법의 개정안과 그 문제점-삼민회안과 노동총안을 보고" 1964

      22 "국방연구원 과정지시 국내정치력의 분석" 1962

      23 "국가보위와 단체행동 및 단체교섭권" (4) : 1972

      24 "경제개발기의 노동운동" 1999

      25 "1960년대 한국의 노동정책과 노사관계" 백산서당 1998

      26 "16이후 노동조합의 재편과 한국노총 체제의 성립" 한국사회사학회 55 :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8-0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노사관계학회 ->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7 1.247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