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대통령과 국무위원들이 모여 국정을 논의하는 국무회의 내용을 정리한 국무회의록을 통해 그 당시 논의된 국가관리 내용과 국가관리를 담당하는 중요한 부분의 하나인 공무원 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대통령과 국무위원들이 모여 국정을 논의하는 국무회의 내용을 정리한 국무회의록을 통해 그 당시 논의된 국가관리 내용과 국가관리를 담당하는 중요한 부분의 하나인 공무원 인...
이 논문은 대통령과 국무위원들이 모여 국정을 논의하는 국무회의 내용을 정리한 국무회의록을 통해 그 당시 논의된 국가관리 내용과 국가관리를 담당하는 중요한 부분의 하나인 공무원 인사정책에 대한 내용을 정리, 분석한 것이다. 원자료가 되는 국무회의록은 신두영 국무원 사무국장이 1958년 1월 초부터 1960년 이승만 대통령 하야시까지 개최된 국무회의를 정리한 것이다. 이때는 대외적으로 대미원조의 감소와 함께 대일관계의 진전이 불가피해지는 시기이다. 대미원조의 감소와 균형예산의 실시로 국내 경제는 어려움을 겪게 되고, 공무원의 정원조정도 예산문제로 인해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국가관리의 내용을 통해 당시 최고위층에서 고려해야했던 국내 정책에 대해 알아보고, 공무원에 대해 언급된 내용을 토대로 기존 연구에서 간과하고 있던 제1공화국 후기의 인사정책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제1공화국 후기에 준비되기 시작한 경제계획과 공무원 제도 및 인적 구성의 현대화는 제3공화국 경제발전의 토대가 되었다고 본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지향,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2" 책세상 2006
2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 오십년" 한국행정학회 2006
3 이한빈, "한국행정의 역사적 분석" 한국행정문제연구소 1969
4 서원석, "한국행정사료집" 한국행정연구원 1996
5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60년" 한국행정연구원 2008
6 김운태, "한국정치론" 박영사 2004
7 박문옥, "한국정부론" 박영사 1968
8 안병만, "한국정부론" 다산출판사 1996
9 박태균, "한국전쟁 이후 이승만 정부의 경제부흥전략" 28 (28): 2007
10 진영재, "한국권력구조의 이해" 나남출판 2004
1 박지향,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2" 책세상 2006
2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 오십년" 한국행정학회 2006
3 이한빈, "한국행정의 역사적 분석" 한국행정문제연구소 1969
4 서원석, "한국행정사료집" 한국행정연구원 1996
5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60년" 한국행정연구원 2008
6 김운태, "한국정치론" 박영사 2004
7 박문옥, "한국정부론" 박영사 1968
8 안병만, "한국정부론" 다산출판사 1996
9 박태균, "한국전쟁 이후 이승만 정부의 경제부흥전략" 28 (28): 2007
10 진영재, "한국권력구조의 이해" 나남출판 2004
11 안용식, "한국관료연구" 대영문화사 2001
12 이완범, "한국 정권교체의 국제정치-1950년대 전반기 미국의 이승만 제거 계획, 후반기 미국의 이승만 후계체제 모색과 1960년 4월 이승만 퇴진" 28 (28): 2007
13 김일영, "통치자로서의 이승만대통령. in : 이승만대통령 재평가"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6
14 이희영, "제1공화국 국무회의록" 시대공론사 2006
15 정윤재, "정치리더십과 한국민주주의" 나남출판 2003
16 이한빈, "일하며 생각하며" 조선일보사 1996
17 이종익, "일본제국주의군상" 나남출판 1987
18 박동서, "인사행정론" 법문사 2002
19 박경원, "인사행정: 제도적 기초. in : 한국행정60년" 한국행정연구원 2008
20 이원순, "인간 이승만" 신태양사 1995
21 안철현, "이승만체제의 권력기반과 성격" 28 (28): 1994
22 프란체스카 도너 리, "이승만대통령의 건강" 도서출판 촛불 2006
23 유영익, "이승만대통령 재평가"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6
24 정용덕, "이승만 정부의 관료제. in : 1950년대 한국사의 재조명" 선인 2004
25 올리버, R., "신화에 가린 인물 이승만-The Man Behind the Myth"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2
26 정용덕, "신제도주의연구" 대영문화사 1999
27 안병영, "시대별 국가 과제와 행정학의 대응분석. in : 「한국행정학오십년」" 한국행정학회 2006
28 우정은, "비합리성 이면의 합리성을 찾아서-이승만 시대 수입대체산업화의 정치경제학-. in :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책세상 2006
29 송인상, "부흥과 성장" 21세기 북스 1994
30 김일영, "발전국가의 형성과정. in : 한국행정60년" 한국행정연구원 2008
31 이인수, "대한민국의 건국" 도서출판 촛불 2001
32 안용식, "대한민국관료연구(Ⅲ)"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6
33 안용식, "대한민국관료연구(Ⅱ)"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6
34 안용식, "대한민국관료연구(Ⅰ)"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5
35 김충남, "대통령과 국가경영"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36 대한민국 공보실, "대통령 이승만 박사 담화집 제3집"
37 대한민국 공보실, "대통령 이승만 박사 담화집 제2집"
38 대한민국 공보실, "대통령 이승만 박사 담화집 제1집"
39 김호진, "“한국의 국가자율성 분석모형-이론적 고찰-,” 「민주사회의 성숙을 위한 공공행정」" 한국행정학회 1988
40 Huntington, Samuel. P., "Political Order in Changing Society" Yale University Press 1968
41 Lee, Hahn-Been, "Korea: Time, Change, and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Hawaii 1966
42 Barrow, C., "Critical Theories of the State" Wisconsin University Press 1993
43 Skocpol, T., "Bringing the State Back In: Strategies of Analysis in Current Research. in : Bringing the State Back In" Cambridge Univ. Press 1985
44 문정인, "1950년대 한국사의 재조명" 선인 2004
일본 국가공무원제도의 변혁 흐름: 하토야마 정권의 개혁 사례를 중심으로
해방이후 우리나라 중앙부처 공무원 교육훈련에 대한 추세분석
공무원연금제도 개편에 관한 국민과 공무원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7 | 1.47 | 1.4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5 | 1.46 | 1.648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