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매운맛 선호도가 식품섭취유형, 혈중지질 및 항산화성 비타민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0575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매운맛 선호도가 성인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영양생화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매운맛을 좋아하며 즐겨먹는 사람과 싫어하며 적게 먹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매운맛 선호도...

      매운맛 선호도가 성인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영양생화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매운맛을 좋아하며 즐겨먹는 사람과 싫어하며 적게 먹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매운맛 선호도에 따른 식품섭취유형, 영양소 섭취상태, 나아가 혈중 지질 및 항산화성 비타민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남자대상자의 경우 매운맛 선호도가 높은 그룹의 육류와 당질식품 섭취량이 선호도가 낮은 그룹의 경우 보다 적으며, 여자대상자는 매운맛 선호도가 높은 그룹의 육류 섭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운맛 선호도가 높은 그룹의 고추가루와 김치 섭취량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일일 평균 영양소 섭취 상태는 매운맛 선호도가 낮은 군에게서 부족한 경향을 띠었으며, 특히 항산화성 비타민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매운맛을 좋아하는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혈중 중성지질 및 총 콜레스테롤 수준은 약간 낮은 경향을 띄었다. 또한, 매운맛 선호도가 낮은 그룹에 비해 매운맛 선호도가 높은 여자 그룹의 혈중 비타민 C 수준이 높았으며, 남자의 경우 비타민 A 및 베타카로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로 보아, 매운맛 선호도는 식품 섭취 유형에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혈중 및 항산화성 비타민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obtain a basic nutritional and biochemical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t taste preference and the risk of chronic diseases, the effect of hot taste preference on food intake pattern, serum lipid and antioxidative vitamin leve...

      In order to obtain a basic nutritional and biochemical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t taste preference and the risk of chronic diseases, the effect of hot taste preference on food intake pattern, serum lipid and antioxidative vitamin levels were investigated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male subjects with hot taste preference tended to take more vegetable, while the female subjects with hot taste preference to take more meat.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with hot taste preference took more hot pepper and kimchi from their daily food compared to the subjects without hot taste preference. Daily nutrient intakes of subjects with hot taste preference, particularly antioxidative vitamin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subjects without hot taste preference. Hot taste preference influenced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s well as serum vitamin C, A, and beta-carotene. Serum vitamin C level in the female subjects with hot taste prefer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 subjects without hot taste preference. In addition, vitamin A and beta-carotene levels in the male subjects with hot taste pre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male subjects without hot taste preference.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hot taste preference affects daily food intakes pattern, and it positively influences blood lipid and antioxidative vitamins leve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