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철민, "한국 시민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시민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9 (39): 175-192, 2017
2 송현정 ; 윤노아,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개념과 목표에 대한 델파이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3 (53): 83-116, 2021
3 이범웅, "프랑스 시민교육의 탐색을 통한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함의에 대한 고찰"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5) : 265-297, 2021
4 한나 아렌트, "칸트 정치철학 강의" 푸른숲 2002
5 강대현 ; 은지용, "초․중등 사회과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4 (54): 221-245, 2022
6 장의관, "좋은 사람과 좋은 시민의 긴장: 아리스토텔레스 정치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정치학회 45 (45): 5-29, 2011
7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도서출판 길 2017
8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17
9 에티엔 발리바르, "우리, 유럽의 시민들? : 세계화와 민주주의의 재발명" 후마니타스 2010
10 손병석, "왜 친애(philia)가 정의보다 더 중요한가? :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적 친애(politikē philia)와 호모노이아(homonoia) 그리고 덕친애의 관계를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131) : 1-29, 2020
1 정철민, "한국 시민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시민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9 (39): 175-192, 2017
2 송현정 ; 윤노아,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개념과 목표에 대한 델파이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3 (53): 83-116, 2021
3 이범웅, "프랑스 시민교육의 탐색을 통한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함의에 대한 고찰"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5) : 265-297, 2021
4 한나 아렌트, "칸트 정치철학 강의" 푸른숲 2002
5 강대현 ; 은지용, "초․중등 사회과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4 (54): 221-245, 2022
6 장의관, "좋은 사람과 좋은 시민의 긴장: 아리스토텔레스 정치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정치학회 45 (45): 5-29, 2011
7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도서출판 길 2017
8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17
9 에티엔 발리바르, "우리, 유럽의 시민들? : 세계화와 민주주의의 재발명" 후마니타스 2010
10 손병석, "왜 친애(philia)가 정의보다 더 중요한가? :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적 친애(politikē philia)와 호모노이아(homonoia) 그리고 덕친애의 관계를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131) : 1-29, 2020
11 김상돈,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민적 친애" 한국윤리학회 1 (1): 43-70, 2020
12 손윤락,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민 교육에서 덕 - 성격과 음악" 한국동서철학회 (69) : 31-49, 2013
13 장지원, "아리스토텔레스의 공교육론: 정치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40 (40): 151-170, 2018
14 손병석,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연구. 플라톤과의 대화" 한국문화사 2019
15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문예출판사 2002
16 김주환, "시민교육의 한국적 특수성과 그 이율배반적 측면에 대한 검토: 시민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44 (44): 31-51, 2022
17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시학" 도서출판 숲 2017
18 곽덕주, "민주 시민성의 조건으로서 성숙한 자기 관계: 타자 인정에의 욕구의 교육적 지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41 (41): 1-22, 2019
19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문예출판사 2006
20 플라톤, "고르기아스" 아카넷 2021
21 Westheimer, J., "What kind of citizen? : The politics of educating for democracy" 41 (41): 237-269, 2004
22 Friedrich Schiller, "Schillers Werke. Nationalausgabe 20. Band" 309-412, 1962
23 Aristotle,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24 Dewey, J., "Democracy and Education" The MacMillan Company 1916
25 Mclaughlin, T. H., "Citizenship, diversity and education : a philosophical perspective" 21 (21): 235-250, 1992
26 정윤경, "Biesta의 민주시민교육 접근 탐색" 교육연구소 28 (28): 55-82, 2022
27 서영식, "21세기 민주시민교육과 철학의 기여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민교육 담론과 연계해서" 한국동서철학회 (98) : 553-574,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