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상식, "훔볼트의 ‘Bildung’ 개념에 대한 교육학적 이해" 한국헤겔학회 (16) : 223-258, 2004
2 정영근, "훔볼트(W. v. Humboldt)의 도야(Bildung) 개념" 한국교육철학학회 (43) : 131-150, 2008
3 홍은영, "하이돈의 ‘비판적 교육(Bildung)이론’의 특징과 현재성" 한독교육학회 23 (23): 113-133, 2018
4 우정길, "탄생적 상호주관성과 교육 - 비에스타(G. Biesta)의 아렌트(H. Arendt)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6 (36): 53-72, 2014
5 정기섭, "직업교육과 일반교육" 3 (3): 187-197, 1998
6 우정길, "의사소통적 상호주관성의 교육학적 수용가능성 검토 - 마스켈라인(J. Masschelein)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9) : 99-122, 2007
7 우정길, "아렌트(H. Arendt) '탄생성'의 교육학적 수용 – 마스켈라인(J. Masschelein)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5 (35): 139-159, 2013
8 김영래, "발라우프(Th. Ballauff)의 도야개념" 한독교육학회 14 (14): 1-19, 2009
9 조상식, "미학교육의 범주로서 ‘Bildung’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헤겔학회 (29) : 47-69, 2011
10 최종인, "문화역량의 획득으로서의 도야(Bildung) -동양의 전통적 학문에서 이해한 교육을 중심으로" 한독교육학회 24 (24): 79-101, 2019
1 조상식, "훔볼트의 ‘Bildung’ 개념에 대한 교육학적 이해" 한국헤겔학회 (16) : 223-258, 2004
2 정영근, "훔볼트(W. v. Humboldt)의 도야(Bildung) 개념" 한국교육철학학회 (43) : 131-150, 2008
3 홍은영, "하이돈의 ‘비판적 교육(Bildung)이론’의 특징과 현재성" 한독교육학회 23 (23): 113-133, 2018
4 우정길, "탄생적 상호주관성과 교육 - 비에스타(G. Biesta)의 아렌트(H. Arendt)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6 (36): 53-72, 2014
5 정기섭, "직업교육과 일반교육" 3 (3): 187-197, 1998
6 우정길, "의사소통적 상호주관성의 교육학적 수용가능성 검토 - 마스켈라인(J. Masschelein)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9) : 99-122, 2007
7 우정길, "아렌트(H. Arendt) '탄생성'의 교육학적 수용 – 마스켈라인(J. Masschelein)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5 (35): 139-159, 2013
8 김영래, "발라우프(Th. Ballauff)의 도야개념" 한독교육학회 14 (14): 1-19, 2009
9 조상식, "미학교육의 범주로서 ‘Bildung’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헤겔학회 (29) : 47-69, 2011
10 최종인, "문화역량의 획득으로서의 도야(Bildung) -동양의 전통적 학문에서 이해한 교육을 중심으로" 한독교육학회 24 (24): 79-101, 2019
11 김상무, "독일의 교육(Erziehung) 개념에 관한 고찰 -역사적 변천과 관련 개념과의 비교, 그리고 한국의 교육학개론서들의 교육개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44 (44): 27-53, 2022
12 홍은영, "독일교육철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비판적 교육학의 전개와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회 (49) : 89-118, 2013
13 최종인, "도야(Bildung)의 교육적 의미 - 도야 개념의 일반교육학적 측면에서의 수용(受容)을 중심으로" 한독교육학회 21 (21): 119-143, 2016
14 정영근, "도야 개념의 현대 교육적 의미" 14 : 1-17, 2004
15 Giesecke, H., "근대 교육의 종말 : 가족과 학교에 대한 새로운 대안" 내일을 여는 책 2002
16 정영근, "교육학에 “도야(Bildung)” 개념이 필요한가? - 도야의 교육학적 의미와 한국적 논의 -" 한국교육철학학회 (32) : 165-180, 2004
17 박은주, "교육의 목적, 개별화인가, 사회화인가?: 한나 아렌트의 ‘행위’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9 (39): 35-62, 2017
18 우정길, "교실-탄생성의 공간" 한국교육철학학회 37 (37): 131-153, 2015
19 박은주 ; 곽덕주, "가르침의 의미 회복을 위한 일 고찰: 몰렌하우어(K. Mollenhauer)의 교육 개념을 중심으로" 한독교육학회 20 (20): 47-76, 2015
20 조상식, "가르치기 어려운 시대의 교육- 대륙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 한국교육철학회 (46) : 99-121, 2012
21 조상식, "“학습주의 교육” 패러다임 논의에서 Bildung 개념의 흔적 혹은 부재(不在)" 한국교육철학학회 (43) : 173-190, 2008
22 우정길, "‘부자유를 통한 자유’와 교육행위의 지향성 - 탈주체성 또는 상호주관성의 교육이론을 위한 일 고찰" 한국교육철학학회 (38) : 139-164, 2007
23 von Schoenebeck, H., "Unterstützen statt erziehen : Die neue Eltern-Kind-Beziehung" Kösel Verlag 1984
24 Borst, E., "Theorie der Bildung : Eine Einführung" Schneider Verlag Hohengehren 2016
25 Winkler, M., "Stichworte zur Antipädagogik : Elemente einer historisch-systematischen Kritik" Klett-Cotta 1982
26 Flitner, A., "Konrad, sprach die Frau Mama: Über Erziehung und Nicht-Erziehung" Beltz Verlag 2004
27 Giesecke, H., "Ist die bürgerliche Erziehung am Ende?" List Verlag 1977
28 Kupffer, H., "Erziehung – Angriff auf die Freiheit : Essays gegen Pädagogik, die den Lebensweg des Menschen mit Hinweisschildern umstellt" Beltz Verlag 1980
29 Dörpinghaus, A., "Einführung in die Theorie der Bildung"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2012
30 Marotzki, Winfried, "Einführung in die Erziehungswissenschaft"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2005
31 Krüger, H. -H., "Einführung in Grundbegriffe und Grundfragen der Erziehungswissenschaft" Verlag Barbara Budrich 2010
32 von Braunmühl, E., "Antipädagogik: Studien zur Abschaffung der Erziehung" tologo Verlag 2006
33 Miller, A., "Am Anfang war Erziehung" Suhrkamp Verlag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