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는 17세기에 이르러 힘이라는 개념이 정립되고 마침내 뉴턴의 물리학이 탄생하기까지 과정 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이 책의 본문은 모두 8개 장, 520여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5583
20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책에는 17세기에 이르러 힘이라는 개념이 정립되고 마침내 뉴턴의 물리학이 탄생하기까지 과정 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이 책의 본문은 모두 8개 장, 520여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
이 책에는 17세기에 이르러 힘이라는 개념이 정립되고 마침내 뉴턴의 물리학이 탄생하기까지 과정
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이 책의 본문은 모두 8개 장, 520여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을 전반
부 6개 장 320여 쪽과 후반부 2개 장 200여 쪽으로 크게 나눌 수가 있다. 이 책의 후반부 2개 장의 제목은 7장 뉴턴과 힘의 개념, 8장 뉴턴 동역학인데, 이 두 장을 이용하여 웨스트펄 교수는 뉴턴의 물리학이 수립되기까지 뉴턴의 마음속에서 힘에 대한 개념이 어떻게 발전되어 나갔는지를 마치 눈에 보듯이 생생하게 재생시켜 놓고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그는 뉴턴이 남긴 노트를 포함한 방대한 자료를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 꼼꼼하게 조사한 다음 그 자료들을 다시 시간 순으로 배열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책의 제목인 ‘뉴턴의 물리학과 힘’은 바로 이 마지막 두 장의 내용을 대표한다. 이 책의 앞부분 6개 장에서 웨스트펄 교수는 뉴턴 이전에 힘과 그리고 동역학에 대한 개념이 어떻게 발전되었는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 부분 여섯 장의 제목을 보면, 1장 갈릴레오와 새로운 역학, 2장 데카르트와 기계론적 철학, 3장 17세기 중반의 역학, 4장 크리스찬 호이겐스의 운동학, 5장 17세기 말의 역학, 6장 이프니치의 동역학 등이다. 뉴턴이 물리학을 수립하기까지의 과정을 제대로 설명하자면 그 이전 17세기 역학에 대한 개념이 변천된 역사를 소개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 책의 부제인 ‘17세기의 동역학’은 바로 이 부분의 내용을 대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