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소포클레스 안티고네의 교육적 의의 = Educational Approach on Sophocles' Antigo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75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texts of Greek tragedy were used as methods of citizen education for Athenians and other Greek citizens. In this hypothesis, the educational approach is needed to analyze the authors and tragedies in Athens. Sophocles is well known as a master of Greek tragedies, and even famous philosopher Aristotle highly praised him in Poetika. Furthermore, Antigone has been an important and key piece of literature in the field of philosophy and feministic studies.
      The two main characters, Antigone and Creon, are very different in two ways. The first way is their understanding of law and customs(nomos), which are their moral principles for their decisions. Antigone buried her brother, Polineikes, because she believed that he had the right to rest in Hades even though he triggered a civil war in Thebai. On the other hand, Creon proclaimed, "anyone who buried this traitor would be killed by stoning." Antigone's moral principles are based on natural law; however, Creon blamed Zeus,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natural laws, for he believed in his power, authority and reason to rule Thebai.
      The second way they are different is their attitudes after they confront their fates. Antigone walked into a stone tomb by herself. Also, she was very pragmatic in that she decided to leave her home in Thebai. In Creon's rule, laws and customs were different compared to laws and customs of Thebai. Therefore, the laws and customs under Creon’s rule were not customary and familiar to Antigone. She made a decision to transfer her conformity polis. On the other hand, Creon’s greediness has been escalating. He was stopped by his hubristic behavior after he lost his son and wife for their suicides.
      Antigone is well known to its various approaches of analyses of the text. It also has multipl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e rapid changing society, we should reconsider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e Classics.
      번역하기

      The contexts of Greek tragedy were used as methods of citizen education for Athenians and other Greek citizens. In this hypothesis, the educational approach is needed to analyze the authors and tragedies in Athens. Sophocles is well known as a master ...

      The contexts of Greek tragedy were used as methods of citizen education for Athenians and other Greek citizens. In this hypothesis, the educational approach is needed to analyze the authors and tragedies in Athens. Sophocles is well known as a master of Greek tragedies, and even famous philosopher Aristotle highly praised him in Poetika. Furthermore, Antigone has been an important and key piece of literature in the field of philosophy and feministic studies.
      The two main characters, Antigone and Creon, are very different in two ways. The first way is their understanding of law and customs(nomos), which are their moral principles for their decisions. Antigone buried her brother, Polineikes, because she believed that he had the right to rest in Hades even though he triggered a civil war in Thebai. On the other hand, Creon proclaimed, "anyone who buried this traitor would be killed by stoning." Antigone's moral principles are based on natural law; however, Creon blamed Zeus,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natural laws, for he believed in his power, authority and reason to rule Thebai.
      The second way they are different is their attitudes after they confront their fates. Antigone walked into a stone tomb by herself. Also, she was very pragmatic in that she decided to leave her home in Thebai. In Creon's rule, laws and customs were different compared to laws and customs of Thebai. Therefore, the laws and customs under Creon’s rule were not customary and familiar to Antigone. She made a decision to transfer her conformity polis. On the other hand, Creon’s greediness has been escalating. He was stopped by his hubristic behavior after he lost his son and wife for their suicides.
      Antigone is well known to its various approaches of analyses of the text. It also has multipl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e rapid changing society, we should reconsider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e Class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희랍 최고의 비극작가인 소포클레스의 저작 『안티고네』를 교육적 차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오이디푸스 왕』,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와 함께 테바이 3부작으로 분류되는 『안티고네』는 소포클레스가 당대 아테네 사회에 대해 갖고 있던 문제의식을 디오니소스 축제 비극경연 에서 표현하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뚜렷한 교육적, 교훈적 의도를 확인하게 된다. 폴리네이케스의 매장을 두고 안티고네는 신적 원리인 자연법적 관습을 주장하며 크레온의 포고를 비판하는 반면 크레온은 실정법의 엄격한 집행을 강조하며 안티고네의 처형을 시도한다. 윤리적 관점의 극단적인 대조는 아테네 사회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일반적인 현상이었으며, 크레온의 실정법적 태도는 소피스트들의 윤리관의 반영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안티고네는 자신의 상황에서 실존적인 선택을 통해 자신의 정당성을 증명하는 반면 크레온은 극단적인 도구적 이성 속에서 자신의 이익을 위한 활동에 몰두한다. 『안티고네』에서 소포클레스는 인물들의 대조를 통해 긍정적인 인간형과 부정적인 인간형 모두를 조명하며 교육적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안티고네가 지향하는 본래적 행동과 대비되는 크레온의 도구적 행동은 크레온의 파멸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으며, 동시에 안티고네와 크레온의 갈등은 아테네 사회뿐만 아니라 모든 공동체의 시민교육과 긴밀히 관련되는 법률과 관습, 즉 노모스(nomos)에 대한 논의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에서는 희랍 최고의 비극작가인 소포클레스의 저작 『안티고네』를 교육적 차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오이디푸스 왕』,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와 함께 테바이 3부작으로 분...

      이 논문에서는 희랍 최고의 비극작가인 소포클레스의 저작 『안티고네』를 교육적 차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오이디푸스 왕』,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와 함께 테바이 3부작으로 분류되는 『안티고네』는 소포클레스가 당대 아테네 사회에 대해 갖고 있던 문제의식을 디오니소스 축제 비극경연 에서 표현하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뚜렷한 교육적, 교훈적 의도를 확인하게 된다. 폴리네이케스의 매장을 두고 안티고네는 신적 원리인 자연법적 관습을 주장하며 크레온의 포고를 비판하는 반면 크레온은 실정법의 엄격한 집행을 강조하며 안티고네의 처형을 시도한다. 윤리적 관점의 극단적인 대조는 아테네 사회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일반적인 현상이었으며, 크레온의 실정법적 태도는 소피스트들의 윤리관의 반영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안티고네는 자신의 상황에서 실존적인 선택을 통해 자신의 정당성을 증명하는 반면 크레온은 극단적인 도구적 이성 속에서 자신의 이익을 위한 활동에 몰두한다. 『안티고네』에서 소포클레스는 인물들의 대조를 통해 긍정적인 인간형과 부정적인 인간형 모두를 조명하며 교육적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안티고네가 지향하는 본래적 행동과 대비되는 크레온의 도구적 행동은 크레온의 파멸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으며, 동시에 안티고네와 크레온의 갈등은 아테네 사회뿐만 아니라 모든 공동체의 시민교육과 긴밀히 관련되는 법률과 관습, 즉 노모스(nomos)에 대한 논의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현, "희랍 비극에서의 상황과 행위" 4 : 51-67, 1990

      2 박찬국, "현대에 있어서 고향상실의 극복과 하이데거의 존재물음" 1 : 79-124, 1995

      3 Havelock. E., "플라톤 서설" 글항아리 2011

      4 Kagan. D., "펠로폰네소스전쟁사" 까치글방 2006

      5 Thykidides.,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숲 2011

      6 이강서, "지중해 철학기행: 모든 길은 플라톤으로 통한다" 효형출판 2007

      7 박은정, "자연법의 문제들" 세창출판사 2007

      8 Homeros, "일리아드" 숲 2007

      9 Romilly. J. de, "왜 그리스인가" 후마니타스 2006

      10 강대진, "오이디푸스 왕" 민음사 2009

      1 박종현, "희랍 비극에서의 상황과 행위" 4 : 51-67, 1990

      2 박찬국, "현대에 있어서 고향상실의 극복과 하이데거의 존재물음" 1 : 79-124, 1995

      3 Havelock. E., "플라톤 서설" 글항아리 2011

      4 Kagan. D., "펠로폰네소스전쟁사" 까치글방 2006

      5 Thykidides.,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숲 2011

      6 이강서, "지중해 철학기행: 모든 길은 플라톤으로 통한다" 효형출판 2007

      7 박은정, "자연법의 문제들" 세창출판사 2007

      8 Homeros, "일리아드" 숲 2007

      9 Romilly. J. de, "왜 그리스인가" 후마니타스 2006

      10 강대진, "오이디푸스 왕" 민음사 2009

      11 이상인, "연민(eleos)과 비극의 도덕: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13장의 '비극적 죄'(hamartia)를 중심으로" 64 : 83-119, 2000

      12 한정숙, "여성은 이렇게 말했다 -서양 고전과 역사 속의 여성주체들-" 도서출판 길 2008

      13 최혜영, "안티고네 담론 소포클레스 및 세네카, 장 아누이, 브레히트를 중심으로 본 소재의 변용" 한국서양고전학회 (27) : 151-186, 2006

      14 Apollodoros, "아폴로도로스 신화집" 민음사 2005

      15 최혜영, "아테네 비극의 정치적 함의와 페르시아 전쟁 -오이디푸스 및 아가멤논 왕가의 비극을 중심으로-"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18) : 103-122, 2006

      16 Aristophanes, "아리스토파네스 희극 전집 1" 숲 2010

      17 Aristotle, "시학" 문예출판사 1995

      18 Sophocles, "소포클레스 비극전집" 숲 2008

      19 Scofield. K. R.,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아카넷 2005

      20 강대진, "비극의 비밀" 문학동네 2013

      21 Plato, "법률" 서광사 2009

      22 박구용, "도구적 이성 비판" 문예출판사 2006

      23 Bonnard. A., "그리스인 이야기 2" 책과 함께 2011

      24 이근삼, "그리스 희곡의 이해" 현암사 2007

      25 조의설, "그리스 희곡의 이해" 현암사 2007

      26 Diogenes Laertios., "그리스 철학자 열전" 동서문화사 2008

      27 문혜경, "그리스 신화와 비극에서 개인의식 출현" 한국서양고전학회 (24) : 31-58, 2005

      28 천병희, "그리스 비극의 이해" 문예출판사 2002

      29 김상봉, "그리스 비극에 대한 편지" 한길사 2003

      30 김진경, "그리스 비극과 민주정치" 일조각 1991

      31 임철규, "그리스 비극" 한길사 2007

      32 최혜영, "그리스 문명" 살림출판사 2004

      33 Plato, "국가" 서광사 2004

      34 김인곤, "고르기아스" 이제이북스 2011

      35 Cooper. J. M., "Plato: Complete Works"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97

      36 Burkett. W., "Greek Relig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37 Liddell. H. G., "A Greek-English Lexicon: with a revised suppli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2-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1 1.85 2.063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