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종현, "희랍 비극에서의 상황과 행위" 4 : 51-67, 1990
2 박찬국, "현대에 있어서 고향상실의 극복과 하이데거의 존재물음" 1 : 79-124, 1995
3 Havelock. E., "플라톤 서설" 글항아리 2011
4 Kagan. D., "펠로폰네소스전쟁사" 까치글방 2006
5 Thykidides.,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숲 2011
6 이강서, "지중해 철학기행: 모든 길은 플라톤으로 통한다" 효형출판 2007
7 박은정, "자연법의 문제들" 세창출판사 2007
8 Homeros, "일리아드" 숲 2007
9 Romilly. J. de, "왜 그리스인가" 후마니타스 2006
10 강대진, "오이디푸스 왕" 민음사 2009
1 박종현, "희랍 비극에서의 상황과 행위" 4 : 51-67, 1990
2 박찬국, "현대에 있어서 고향상실의 극복과 하이데거의 존재물음" 1 : 79-124, 1995
3 Havelock. E., "플라톤 서설" 글항아리 2011
4 Kagan. D., "펠로폰네소스전쟁사" 까치글방 2006
5 Thykidides.,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숲 2011
6 이강서, "지중해 철학기행: 모든 길은 플라톤으로 통한다" 효형출판 2007
7 박은정, "자연법의 문제들" 세창출판사 2007
8 Homeros, "일리아드" 숲 2007
9 Romilly. J. de, "왜 그리스인가" 후마니타스 2006
10 강대진, "오이디푸스 왕" 민음사 2009
11 이상인, "연민(eleos)과 비극의 도덕: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13장의 '비극적 죄'(hamartia)를 중심으로" 64 : 83-119, 2000
12 한정숙, "여성은 이렇게 말했다 -서양 고전과 역사 속의 여성주체들-" 도서출판 길 2008
13 최혜영, "안티고네 담론 소포클레스 및 세네카, 장 아누이, 브레히트를 중심으로 본 소재의 변용" 한국서양고전학회 (27) : 151-186, 2006
14 Apollodoros, "아폴로도로스 신화집" 민음사 2005
15 최혜영, "아테네 비극의 정치적 함의와 페르시아 전쟁 -오이디푸스 및 아가멤논 왕가의 비극을 중심으로-"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18) : 103-122, 2006
16 Aristophanes, "아리스토파네스 희극 전집 1" 숲 2010
17 Aristotle, "시학" 문예출판사 1995
18 Sophocles, "소포클레스 비극전집" 숲 2008
19 Scofield. K. R.,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아카넷 2005
20 강대진, "비극의 비밀" 문학동네 2013
21 Plato, "법률" 서광사 2009
22 박구용, "도구적 이성 비판" 문예출판사 2006
23 Bonnard. A., "그리스인 이야기 2" 책과 함께 2011
24 이근삼, "그리스 희곡의 이해" 현암사 2007
25 조의설, "그리스 희곡의 이해" 현암사 2007
26 Diogenes Laertios., "그리스 철학자 열전" 동서문화사 2008
27 문혜경, "그리스 신화와 비극에서 개인의식 출현" 한국서양고전학회 (24) : 31-58, 2005
28 천병희, "그리스 비극의 이해" 문예출판사 2002
29 김상봉, "그리스 비극에 대한 편지" 한길사 2003
30 김진경, "그리스 비극과 민주정치" 일조각 1991
31 임철규, "그리스 비극" 한길사 2007
32 최혜영, "그리스 문명" 살림출판사 2004
33 Plato, "국가" 서광사 2004
34 김인곤, "고르기아스" 이제이북스 2011
35 Cooper. J. M., "Plato: Complete Works"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97
36 Burkett. W., "Greek Relig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37 Liddell. H. G., "A Greek-English Lexicon: with a revised suppli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96